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3,4학년 미술과 교과서 분석 = A Study on the Analysis of Art Textbooks in the Third and Four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487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This study aims to draw up implications for future curriculum revision and textbook development by analyzing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collecting opinions of expert teachers. To this end, we have set the direction of textbook analysis based on the revision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significance of textbook compilation, and the textbook authorization. In addition, we analyzed the factors that need to collect opinions of expert teachers through preliminary review of textbooks for textbook writing experience and analysis. A total of six experts participated in the study, includ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eachers with doctoral degrees in art education. We conducted a written interview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 implications are derived from textbook analysis and expert teacher opinion gathering. First, abilities that can be raised through art education, such as Art Subject Competencies, need to be presented in textbooks. Second, it is necessary to open the possibility of linking with various fields from the curriculum for the convergence of thinking at the level of the third and fourth graders. Third, in order to realize self-directed learning, more advanced changes are needed beyond the level of activity guidance presented in the current textbooks. Fourth, it is necessary to collect opinions of expert teachers and refiningon functions and content elements in the content system. Fifth, diversification of the evaluation methods presented in textbooks is needed.
      번역하기

      To This study aims to draw up implications for future curriculum revision and textbook development by analyzing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collecting opinions of expert teachers. To this end, we have set the direct...

      To This study aims to draw up implications for future curriculum revision and textbook development by analyzing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collecting opinions of expert teachers. To this end, we have set the direction of textbook analysis based on the revision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significance of textbook compilation, and the textbook authorization. In addition, we analyzed the factors that need to collect opinions of expert teachers through preliminary review of textbooks for textbook writing experience and analysis. A total of six experts participated in the study, includ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eachers with doctoral degrees in art education. We conducted a written interview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 implications are derived from textbook analysis and expert teacher opinion gathering. First, abilities that can be raised through art education, such as Art Subject Competencies, need to be presented in textbooks. Second, it is necessary to open the possibility of linking with various fields from the curriculum for the convergence of thinking at the level of the third and fourth graders. Third, in order to realize self-directed learning, more advanced changes are needed beyond the level of activity guidance presented in the current textbooks. Fourth, it is necessary to collect opinions of expert teachers and refiningon functions and content elements in the content system. Fifth, diversification of the evaluation methods presented in textbooks is need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분석 및 이에 대한 전문가 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향후 교육과정 개정 및 교과서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개정 중점 방향 및 교과서 편찬상의 유의점, 검정 기준을 토대로 교과서 분석의 방향을 세웠으며, 아울러 교과서 집필 경험 및 분석을 위한 교과서 사전 검토를 통하여 전문가 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할 필요가 있는 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전문가 교사는 초등학교에 재직 중이면서 미술교육 박사과정 이상의 교사로 총 6명이 참여하였으며, 분석 결과에 대한 서면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교과서 분석 및 전문가 교사 의견 수렴 결과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 역량과 같이 미술 교육을 통해서 길러질 수 있는 역량, 능력들이 교과서에도 함께 제시될 필요가 있다. 둘째, 3,4학년 군 수준에서도 융·복합적 사고를 위하여 다양한 분야와의 연계 가능성을 교육과정에서부터 열어둘 필요가 있다. 셋째, 자기 주도적 학습의 실현을 위해서는 현재 교과서에 제시된 활동 안내 수준을 넘어 보다 발전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넷째, 내용 체계에서 기능 및 내용 요소에 대한 학교 현장 교사들의 의견 수렴 및 정제 과정이 필요하다. 다섯째, 교과서에 제시되는 평가 방식의 다변화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분석 및 이에 대한 전문가 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향후 교육과정 개정 및 교과서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분석 및 이에 대한 전문가 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향후 교육과정 개정 및 교과서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개정 중점 방향 및 교과서 편찬상의 유의점, 검정 기준을 토대로 교과서 분석의 방향을 세웠으며, 아울러 교과서 집필 경험 및 분석을 위한 교과서 사전 검토를 통하여 전문가 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할 필요가 있는 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전문가 교사는 초등학교에 재직 중이면서 미술교육 박사과정 이상의 교사로 총 6명이 참여하였으며, 분석 결과에 대한 서면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교과서 분석 및 전문가 교사 의견 수렴 결과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 역량과 같이 미술 교육을 통해서 길러질 수 있는 역량, 능력들이 교과서에도 함께 제시될 필요가 있다. 둘째, 3,4학년 군 수준에서도 융·복합적 사고를 위하여 다양한 분야와의 연계 가능성을 교육과정에서부터 열어둘 필요가 있다. 셋째, 자기 주도적 학습의 실현을 위해서는 현재 교과서에 제시된 활동 안내 수준을 넘어 보다 발전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넷째, 내용 체계에서 기능 및 내용 요소에 대한 학교 현장 교사들의 의견 수렴 및 정제 과정이 필요하다. 다섯째, 교과서에 제시되는 평가 방식의 다변화가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용일,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초등미술교과서 개발 방안" 한국미술교육학회 19 (19): 131-160, 2005

      2 이은적, "초등학교 미술 4학년" ㈜비상교육 2017

      3 류재만, "초등학교 미술 4학년" (주)천재교육 2017

      4 김정희, "초등학교 미술 4학년" (주)동아출판 2017

      5 김성숙, "초등학교 미술 4학년" (주)지학사 2017

      6 안금희, "초등학교 미술 4학년" (주)천재교과서 2017

      7 김정선, "초등학교 미술 4학년" (주)금성출판사 2017

      8 류재만, "초등학교 미술 3학년" (주)천재교육 2017

      9 김정희, "초등학교 미술 3학년" (주)동아출판 2017

      10 김정선, "초등학교 미술 3학년" (주)금성출판사 2017

      1 이용일,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초등미술교과서 개발 방안" 한국미술교육학회 19 (19): 131-160, 2005

      2 이은적, "초등학교 미술 4학년" ㈜비상교육 2017

      3 류재만, "초등학교 미술 4학년" (주)천재교육 2017

      4 김정희, "초등학교 미술 4학년" (주)동아출판 2017

      5 김성숙, "초등학교 미술 4학년" (주)지학사 2017

      6 안금희, "초등학교 미술 4학년" (주)천재교과서 2017

      7 김정선, "초등학교 미술 4학년" (주)금성출판사 2017

      8 류재만, "초등학교 미술 3학년" (주)천재교육 2017

      9 김정희, "초등학교 미술 3학년" (주)동아출판 2017

      10 김정선, "초등학교 미술 3학년" (주)금성출판사 2017

      11 김성숙, "초등학교 미술 3학년" (주)지학사 2017

      12 이은적, "초등학교 미술 3학년" ㈜비상교육 2017

      13 안금희, "초등학교 미술 3학년" (주)천재교과서 2017

      14 서제희, "초등 미술교과서에 나타난 학생작품의 교육적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7 (17): 69-81, 2016

      15 김혜수, "초등 교사의 미술 교과서 활용 실태 연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46 : 47-76, 2016

      16 장동호, "창의적 표현의 관점에서 고찰한 초등 미술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문제와 제언"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3 (13): 153-174, 2012

      17 박소영, "미술과 교육과정: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Ⅱ"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18 교육과학기술부, "미술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 361호. 별책 13"

      19 교육부, "미술과 교육과정"

      20 박소영, "미술 교과서 정책에 대한 초·중학교 교사 인식" 한국조형교육학회 (46) : 121-143, 2013

      21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용 도서 개발을 위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기준"

      22 백중열, "2009년 개정 초등 3-4학년 7종 미술교과서 참고작품 적합성 사례분석" 한국기초조형학회 16 (16): 295-315, 2015

      23 황연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 4학년 미술과 교과서의 현장 적합성 검토"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32 (32): 75-97,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5-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교육대학교 미술교육학회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영문명 : Art Education Society Of National Universities In Korea -> Korea Elementary Art Education Associ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미술교육논총 -> 미술교육연구논총 KCI등재후보
      2005-10-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미술교육논총 -> 미술교육연구논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4 0.933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