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구의, "해제, In 譯註 洛江泛月詩" 아세아문화사 6-22, 2007
2 한옥공간연구회, "한옥의 공간문화" 교문사 1-278, 2004
3 정우락, "주자 무이구곡의 한국적 전개와 구곡원림의 인문학적 의미, In 자연에서 찾은 이 상향, 九曲文化" 울산대곡박물관 111-119, 2010
4 윤진영, "조선시대 지방관의 기록화 - 기록화의 유형과 영남지역 지방관의 紀錄畵를 중심으로 -" 영남문화연구원 (16) : 77-124, 2009
5 정우락, "영남지역의 유교문화와 그 교육과정에 대한 모색 -한국학 통합,연계형 교육과 현장자료 수용을 중심으로-" 퇴계연구소 (37) : 211-248, 2005
6 이수건, "영남사림파의 형성" 영남대학교출판부 1-295, 1990
7 정우락, "성주지역 道學의 착근과 江岸學派의 성장" 영남문화연구원 (21) : 45-78, 2012
8 이정웅, "서호 10곡 이야기, In 금호강, 서호를 거닐다" 학이사 1-192, 2011
9 박수진, "문화지리학으로 본 문림고을 장흥의 가사문학" 보고사 2012
10 김태준, "문학지리 한국인의 심상공간 (2책)" 논형 1-478, 2005
1 이구의, "해제, In 譯註 洛江泛月詩" 아세아문화사 6-22, 2007
2 한옥공간연구회, "한옥의 공간문화" 교문사 1-278, 2004
3 정우락, "주자 무이구곡의 한국적 전개와 구곡원림의 인문학적 의미, In 자연에서 찾은 이 상향, 九曲文化" 울산대곡박물관 111-119, 2010
4 윤진영, "조선시대 지방관의 기록화 - 기록화의 유형과 영남지역 지방관의 紀錄畵를 중심으로 -" 영남문화연구원 (16) : 77-124, 2009
5 정우락, "영남지역의 유교문화와 그 교육과정에 대한 모색 -한국학 통합,연계형 교육과 현장자료 수용을 중심으로-" 퇴계연구소 (37) : 211-248, 2005
6 이수건, "영남사림파의 형성" 영남대학교출판부 1-295, 1990
7 정우락, "성주지역 道學의 착근과 江岸學派의 성장" 영남문화연구원 (21) : 45-78, 2012
8 이정웅, "서호 10곡 이야기, In 금호강, 서호를 거닐다" 학이사 1-192, 2011
9 박수진, "문화지리학으로 본 문림고을 장흥의 가사문학" 보고사 2012
10 김태준, "문학지리 한국인의 심상공간 (2책)" 논형 1-478, 2005
11 최은주, "문경새재의 詩的 空間과 意味"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12 정우락, "남명학파의 문학적 상상력" 도서출판 역락 1-743, 2009
13 정우락, "남명문학의 현장" 경인문화사 1-150, 2006
14 박창희, "나루를 찾아서" 서해문집 1-295, 2006
15 이무용, "공간의 문화정치학" 논형 1-389, 2005
16 黃俊良, "錦溪集"
17 李滉, "退溪集年譜"
18 崔興遠, "百弗庵集"
19 정우락, "江岸學과 高靈 儒學에 대한 試論" 퇴계연구소 (43) : 39-94, 2008
20 "東輿備考"
21 정우락, "朝鮮中期 江岸地域의 文學活動과 그 性格 - 낙동강 중류 지역을 중심으로 한 하나의 시론 -" 한국학연구원 (40) : 203-258, 2010
22 李瀷, "星湖僿說"
23 河演, "慶尙道地理志"
24 鄭經世, "愚伏集"
25 李明杰, "嶠南樓亭詩集 上․下" 城東書室 1937
26 정우락, "寒岡 鄭逑의 武屹 경영과 武屹九曲 정착과정" 한국학연구원 (48) : 85-125, 2012
27 손유진, "壬戌泛月N에 나타난 空間 認識의 樣相과 意味"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28 徐居正, "四佳詩集補遺"
29 曺植, "南冥集"
30 金宗直, "佔畢齋集"
31 김종구, "丁時~의 '山中日記'를 통해 본 當代人의 遊山文化 硏究"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7
32 정우락, "16세기 사림파 작가들의 사물관과 문학정신, In 남명학파의 문학적 상상력" 역락 547-603,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