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문화공간-영남에 대한 한문학적 독해 = Comprehension of Cultural Space-Yeongnam during Joseon from the Perspective of Chinese Literatur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delving into how to read Yeongnam in terms of Chinese literature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region as a cultural space during the Joseon period. The cultural space of Yeongnam can be mainly divided into natural and artificial space. While natural space was centered around mountains and rivers, artificial space was presented in various components including towns and villages with scenic pavilions playing the representative role. During Joseon, scholars of Yeongnam created climbing and boating culture in those spaces and developed the pavilion culture of the region by building many pavilions including the Yeongnam Pavilion and using the pavilions to give the commandments of Buddhism and hold poetry parties. In Yeongnam, cultural space was usually organized in five ways, which include granting Confucian ideology to natural space, creating Jipgyeong (集景) around artificial space, creating a space of Wayu(臥遊) and self-reflection based on the ideology of Sung-Confucianism, inheriting the culture of cherishing the memories of ancient sages and succeeding their play culture, and commemorating one-time facts in various ways. They were found universally throughout Joseon, but those organization methods of cultural space were especially further manifested in the Yeongnam region. In Yeongnam, the scholars organized cultural space in such various ways and created their fusion life culture centered around literature, paintings, cultivation of the mind, and play.
      번역하기

      This study focused on delving into how to read Yeongnam in terms of Chinese literature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region as a cultural space during the Joseon period. The cultural space of Yeongnam can be mainly divided into natural and artificia...

      This study focused on delving into how to read Yeongnam in terms of Chinese literature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region as a cultural space during the Joseon period. The cultural space of Yeongnam can be mainly divided into natural and artificial space. While natural space was centered around mountains and rivers, artificial space was presented in various components including towns and villages with scenic pavilions playing the representative role. During Joseon, scholars of Yeongnam created climbing and boating culture in those spaces and developed the pavilion culture of the region by building many pavilions including the Yeongnam Pavilion and using the pavilions to give the commandments of Buddhism and hold poetry parties. In Yeongnam, cultural space was usually organized in five ways, which include granting Confucian ideology to natural space, creating Jipgyeong (集景) around artificial space, creating a space of Wayu(臥遊) and self-reflection based on the ideology of Sung-Confucianism, inheriting the culture of cherishing the memories of ancient sages and succeeding their play culture, and commemorating one-time facts in various ways. They were found universally throughout Joseon, but those organization methods of cultural space were especially further manifested in the Yeongnam region. In Yeongnam, the scholars organized cultural space in such various ways and created their fusion life culture centered around literature, paintings, cultivation of the mind, and pla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구의, "해제, In 譯註 洛江泛月詩" 아세아문화사 6-22, 2007

      2 한옥공간연구회, "한옥의 공간문화" 교문사 1-278, 2004

      3 정우락, "주자 무이구곡의 한국적 전개와 구곡원림의 인문학적 의미, In 자연에서 찾은 이 상향, 九曲文化" 울산대곡박물관 111-119, 2010

      4 윤진영, "조선시대 지방관의 기록화 - 기록화의 유형과 영남지역 지방관의 紀錄畵를 중심으로 -" 영남문화연구원 (16) : 77-124, 2009

      5 정우락, "영남지역의 유교문화와 그 교육과정에 대한 모색 -한국학 통합,연계형 교육과 현장자료 수용을 중심으로-" 퇴계연구소 (37) : 211-248, 2005

      6 이수건, "영남사림파의 형성" 영남대학교출판부 1-295, 1990

      7 정우락, "성주지역 道學의 착근과 江岸學派의 성장" 영남문화연구원 (21) : 45-78, 2012

      8 이정웅, "서호 10곡 이야기, In 금호강, 서호를 거닐다" 학이사 1-192, 2011

      9 박수진, "문화지리학으로 본 문림고을 장흥의 가사문학" 보고사 2012

      10 김태준, "문학지리 한국인의 심상공간 (2책)" 논형 1-478, 2005

      1 이구의, "해제, In 譯註 洛江泛月詩" 아세아문화사 6-22, 2007

      2 한옥공간연구회, "한옥의 공간문화" 교문사 1-278, 2004

      3 정우락, "주자 무이구곡의 한국적 전개와 구곡원림의 인문학적 의미, In 자연에서 찾은 이 상향, 九曲文化" 울산대곡박물관 111-119, 2010

      4 윤진영, "조선시대 지방관의 기록화 - 기록화의 유형과 영남지역 지방관의 紀錄畵를 중심으로 -" 영남문화연구원 (16) : 77-124, 2009

      5 정우락, "영남지역의 유교문화와 그 교육과정에 대한 모색 -한국학 통합,연계형 교육과 현장자료 수용을 중심으로-" 퇴계연구소 (37) : 211-248, 2005

      6 이수건, "영남사림파의 형성" 영남대학교출판부 1-295, 1990

      7 정우락, "성주지역 道學의 착근과 江岸學派의 성장" 영남문화연구원 (21) : 45-78, 2012

      8 이정웅, "서호 10곡 이야기, In 금호강, 서호를 거닐다" 학이사 1-192, 2011

      9 박수진, "문화지리학으로 본 문림고을 장흥의 가사문학" 보고사 2012

      10 김태준, "문학지리 한국인의 심상공간 (2책)" 논형 1-478, 2005

      11 최은주, "문경새재의 詩的 空間과 意味"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12 정우락, "남명학파의 문학적 상상력" 도서출판 역락 1-743, 2009

      13 정우락, "남명문학의 현장" 경인문화사 1-150, 2006

      14 박창희, "나루를 찾아서" 서해문집 1-295, 2006

      15 이무용, "공간의 문화정치학" 논형 1-389, 2005

      16 黃俊良, "錦溪集"

      17 李滉, "退溪集年譜"

      18 崔興遠, "百弗庵集"

      19 정우락, "江岸學과 高靈 儒學에 대한 試論" 퇴계연구소 (43) : 39-94, 2008

      20 "東輿備考"

      21 정우락, "朝鮮中期 江岸地域의 文學活動과 그 性格 - 낙동강 중류 지역을 중심으로 한 하나의 시론 -" 한국학연구원 (40) : 203-258, 2010

      22 李瀷, "星湖僿說"

      23 河演, "慶尙道地理志"

      24 鄭經世, "愚伏集"

      25 李明杰, "嶠南樓亭詩集 上․下" 城東書室 1937

      26 정우락, "寒岡 鄭逑의 武屹 경영과 武屹九曲 정착과정" 한국학연구원 (48) : 85-125, 2012

      27 손유진, "壬戌泛月N에 나타난 空間 認識의 樣相과 意味"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28 徐居正, "四佳詩集補遺"

      29 曺植, "南冥集"

      30 金宗直, "佔畢齋集"

      31 김종구, "丁時~의 '山中日記'를 통해 본 當代人의 遊山文化 硏究"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7

      32 정우락, "16세기 사림파 작가들의 사물관과 문학정신, In 남명학파의 문학적 상상력" 역락 547-603,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 0.949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