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지역 옛 교통로 변천과정과 활용방안 연구 문학 박사 학위 논문 문화재학과 중원대학교 대학원 장 의 혁 옛 로마가 고대 서양의 대표 국가가 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도로 건설에 어느 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149231
괴산 : 중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5
학위논문(박사) -- 중원대학교 일반대학원 , 문화재학과 , 2025. 2
2025
한국어
충청북도
; 26 cm
지도교수: 구자봉
I804:43023-20000086432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문경지역 옛 교통로 변천과정과 활용방안 연구 문학 박사 학위 논문 문화재학과 중원대학교 대학원 장 의 혁 옛 로마가 고대 서양의 대표 국가가 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도로 건설에 어느 다...
문경지역 옛 교통로 변천과정과 활용방안 연구 문학 박사 학위 논문 문화재학과 중원대학교 대학원 장 의 혁 옛 로마가 고대 서양의 대표 국가가 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도로 건설에 어느 다른 국가보다도 진심이었다는 점에서 교통로의 중요성은 더 논하지 않 아도 될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현대에 들어와 어느 나라에도 뒤지지 않을 정도로 많은 고속도로와 국도 및 지방도를 개설하는 과정을 통해 산업화를 이룩할 수 있었다. 그 주요 교통로 건설의 근간에는 오랜 세월 이용되던 옛길이 골격이 되었 음은 자명하다. 옛 교통로는 그것을 오랜 시간 이용하고 오고 간 많은 사람 들이 쌓아온 유무형의 문화유산으로 지리학자들은 물론, 문화인류학, 고고학, 지역학, 민속학 등 인문학의 주요한 연구대상이 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문경은 소백산맥의 중간지점 이남에 자리잡고 있으면서 선사 시대 이래 여러 주요 교통로를 포함하고 있는 교통요지이자 결절지이다. 삼 국시대 최초의 개척기록이 보이는 계립령로의 경우 이전 선사시대부터 이용 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인근의 벌재 역시 삼국시대 주요한 군사적 교통로 였을 것으로 보인다. 삼국통일 이후 신라는 기존 계립령로를 기점으로 확장 된 북방지역을 연결하여 국가를 관리하였다. 또한 수도가 한반도의 중앙으로 이전된 고려시대에는 그 반대로 계립령을 통해 정치사회적으로 중요한 영남 지역을 포섭하는 연결고리가 되었다. 더불어 이때부터 조선시대에까지 유지 되는 X자형 도로망의 형성에 계립령이 중요지점으로서 활용되었다. 조선의 건국과 함께 그 교통로의 중심이 조령으로 이동되었지만 역시 문경지역이 계 속해서 결절지로서 그 주요 지점이 되었다. 특히나 ‘영남대로’의 중간지점으 로서 조선 지배세력의 중심지인 영남지역과 중앙을 연결하는 주축으로 다양 한 기능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역사시대에 상대적으로 다른 교통로에 비해 중요도가 낮았던 이화령로는 일제강점기 ‘신작로’의 건설을 통해 제1등급 도 로가 되어 일제의 대륙진출과 한반도 수탈의 운반로로써 운용되기도 하였다. 해방후에는 일제강점기 이래의 이화령로가 계속 유지되며 산업화가 빨랐던 영남지역과 중앙을 잇는 주요 물류수송로가 되었다. 이처럼 문경지역의 여러 교통로는 선사시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반도 그 어느 지역에서도 볼 수 없는 주요 지점으로서 각 시대적 요구에 따라 지 속적으로 개척되고 이용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그 중요 성이 달라지는 문경지역 교통로의 역사를 살펴보면서 한반도내 대표적 교통 결절지로서 문경지역만이 갖는 특수성을 확인하였을 뿐 아니라 현재도 잔존 상태가 가장 좋은 문화유산으로 남아있는 문경 옛길의 가치와 보존방안에 대 해서도 모색해보고자 한다. 【연구용어】 옛길, 계립령로, 문경새재, 조령로, 벌재로, 이화령로, 죽령로, 추풍령로, 보존활용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