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발해 도성의 구조와 형성과정에 대한 고찰 = An Investigation into the Structure and Formation Process of the Capital of Balha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Balhae's capital system(都城制度) is a step-by-step marker of the completion of the state's governing system(支配體制). The most important subject in investigating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capital of Balhae is Shanggyeongsheng(上京城). That's because Shanggyeongsheng(上京城) with a threefold-castle structure(三重 城) of royal palace(宮城)-internal castle(內城)-external castle(外城) in the side-to-side checkerboard type symmetrical structure has the most paradigmatic castle structure not only in Balhae but also in East Asia. Despite the fact that such structure of Shanggyeongsheng(上京城) has a lot of similarities in the type with Sudangchangansheng(上京城) in Chungwon, scholars were skeptical that it had the same structure with Sudangchangansheng(上京城) at the time when transferring the capital. If we review the result of excavation of Shanggyeongsheng(上京城) and the findings of the senior scholars, it can be understood that Shanggyeongsheng(上京城) has not only the structure of Sudangchangansheng(上京城) but also accepted the principle of construction projected in i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room for reconsideration on the theory of step-by-step construction(段階別築造??) which was claimed based on the point that the construction like today's construction was impossible with the level of national power at that time in that the layers whose difference in construction time between the place No. 2, the central point of the royal palace, and the palaces No. 3~5 could be found were not identified, in that the whole Shanggyeongsheng(上京城) was planned by the same standard scale and finally in that there is a good possibility of accepting Samjoje(三朝制). The Shanggyeongsheng(上京城) is the result of the construction conducted by careful planning from the beginning, and with its close relation with the King Mun's(文王) policy of civilian government(文治), it shows that the governing system of the state was completed during the reign of King Mun. Ther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capital and the principle of construction(造營原理) projected in it are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Chungwon culture(中原文化) was being understood to a considerable level, and this means that the view of the world(天下觀) that he wanted to implement expanded throughout the whole Balhae.
      번역하기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Balhae's capital system(都城制度) is a step-by-step marker of the completion of the state's governing system(支配體制). The most important subject in investigating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capital of Balhae is...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Balhae's capital system(都城制度) is a step-by-step marker of the completion of the state's governing system(支配體制). The most important subject in investigating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capital of Balhae is Shanggyeongsheng(上京城). That's because Shanggyeongsheng(上京城) with a threefold-castle structure(三重 城) of royal palace(宮城)-internal castle(內城)-external castle(外城) in the side-to-side checkerboard type symmetrical structure has the most paradigmatic castle structure not only in Balhae but also in East Asia. Despite the fact that such structure of Shanggyeongsheng(上京城) has a lot of similarities in the type with Sudangchangansheng(上京城) in Chungwon, scholars were skeptical that it had the same structure with Sudangchangansheng(上京城) at the time when transferring the capital. If we review the result of excavation of Shanggyeongsheng(上京城) and the findings of the senior scholars, it can be understood that Shanggyeongsheng(上京城) has not only the structure of Sudangchangansheng(上京城) but also accepted the principle of construction projected in i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room for reconsideration on the theory of step-by-step construction(段階別築造??) which was claimed based on the point that the construction like today's construction was impossible with the level of national power at that time in that the layers whose difference in construction time between the place No. 2, the central point of the royal palace, and the palaces No. 3~5 could be found were not identified, in that the whole Shanggyeongsheng(上京城) was planned by the same standard scale and finally in that there is a good possibility of accepting Samjoje(三朝制). The Shanggyeongsheng(上京城) is the result of the construction conducted by careful planning from the beginning, and with its close relation with the King Mun's(文王) policy of civilian government(文治), it shows that the governing system of the state was completed during the reign of King Mun. Ther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capital and the principle of construction(造營原理) projected in it are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Chungwon culture(中原文化) was being understood to a considerable level, and this means that the view of the world(天下觀) that he wanted to implement expanded throughout the whole Balha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바둑판식 좌우대칭구조로서 궁성 - 황성 - 외성의 3중성 구조를 지닌 상경성은 발해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에서 가장 전범적 인 도성 구조를 지니고 있다. 그래서 발해 도성제도의 변천과정은 발해 중앙행정체제의 완비로 발해정체제도 보편화과정의 단 계적 표지라고 할 수 있다. 그중 가장 중요한 대상은 상경성으로, 그 구조는 중원의 隋唐長安城과 그 형식면에서 많은 유사점 을 지니고 있음에도, 상경천도 당시 수당장안성과 같은 구조를 지니고 있었을까에 대해서는 회의적이었다. 그러나 상경성 발굴 결과와 선학들의 연구결과를 검토해 보면, 상경성은 수당장안성의 외적 구조만이 아니라 그 내면에 투영되어 있는 조영원리도 수용했음을 엿볼 수 있다. 따라서 당시 발해의 국력수준에서 현재와 같은 조영이 불가능함을 주장했던 단계별축조설은 궁성의 중심점인 2호 궁전과 3~5호 궁전 사이에서 조영시기의 차이를 발견할 만한 층위가 확인되지 않은 점, 상경성 전체가 동일한 영조척에 의해서 계획되었다는 점, 그리고 3조제를 수용했을 가능성이 농후한 점 등의 측면에서 좀 더 깊이있는 연구가 필요 하다. 결국 상경성 조영은 치밀한 계획에 의한 문왕 치세 당시 국가의 운영원리가 반영되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따라서 상 경성의 조영과 그 원리는 초축 당시 상당한 정도로 중원문화를 이해하고 있었음을 전제하는 것이며, 상경성이 지니는 위상과 구체적인 의미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하겠다. 더 나아가 이것은 국가의 통치체제가 마련되고 사회전반으로 투영되었으며, 그가 구상하는 天下觀이 발해국 전체로 확대되어갔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번역하기

      바둑판식 좌우대칭구조로서 궁성 - 황성 - 외성의 3중성 구조를 지닌 상경성은 발해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에서 가장 전범적 인 도성 구조를 지니고 있다. 그래서 발해 도성제도의 변천과정은 ...

      바둑판식 좌우대칭구조로서 궁성 - 황성 - 외성의 3중성 구조를 지닌 상경성은 발해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에서 가장 전범적 인 도성 구조를 지니고 있다. 그래서 발해 도성제도의 변천과정은 발해 중앙행정체제의 완비로 발해정체제도 보편화과정의 단 계적 표지라고 할 수 있다. 그중 가장 중요한 대상은 상경성으로, 그 구조는 중원의 隋唐長安城과 그 형식면에서 많은 유사점 을 지니고 있음에도, 상경천도 당시 수당장안성과 같은 구조를 지니고 있었을까에 대해서는 회의적이었다. 그러나 상경성 발굴 결과와 선학들의 연구결과를 검토해 보면, 상경성은 수당장안성의 외적 구조만이 아니라 그 내면에 투영되어 있는 조영원리도 수용했음을 엿볼 수 있다. 따라서 당시 발해의 국력수준에서 현재와 같은 조영이 불가능함을 주장했던 단계별축조설은 궁성의 중심점인 2호 궁전과 3~5호 궁전 사이에서 조영시기의 차이를 발견할 만한 층위가 확인되지 않은 점, 상경성 전체가 동일한 영조척에 의해서 계획되었다는 점, 그리고 3조제를 수용했을 가능성이 농후한 점 등의 측면에서 좀 더 깊이있는 연구가 필요 하다. 결국 상경성 조영은 치밀한 계획에 의한 문왕 치세 당시 국가의 운영원리가 반영되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따라서 상 경성의 조영과 그 원리는 초축 당시 상당한 정도로 중원문화를 이해하고 있었음을 전제하는 것이며, 상경성이 지니는 위상과 구체적인 의미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하겠다. 더 나아가 이것은 국가의 통치체제가 마련되고 사회전반으로 투영되었으며, 그가 구상하는 天下觀이 발해국 전체로 확대되어갔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 "六頂山與渤海鎭" 中國大百科全書出版社 1997

      2 張高, "論渤海遷都上京的原因, In 高句麗渤海硏究集成. 渤海 卷2" 哈爾濱出版社 1997

      3 임상선, "중국의 발해 도성 연구와 복원, In 중국의 한국고대문화연구 분석" 고구려연구재단 2005

      4 김진광, "서고성의 궁전배치를 통해 본 발해 도성제의 변화" 고구려발해학회 38 : 77-99, 2010

      5 宋基豪, "발해의 초기 도읍지와 천도과정, In 于江權兌遠敎授定年紀念論叢" 기념논총간행위원회 1994

      6 송기호, "발해의 천도와 그 배경" 한국고대사학회 36 : 113-138, 2004

      7 김기섭김진광, "발해의 상경 건설과 천도" 한국고대사학회 45 (45): 189-220, 2007

      8 임상선, "발해의 都城體制와 그 특징" 고려사학회 24 (24): 269-306, 2006

      9 주영헌, "발해문화" 사회과학출판사 1971

      10 방학봉, "발해는 무엇 때문에 네 차례나 수도를 옮겼는가" 白山學會 39 : 1992

      1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 "六頂山與渤海鎭" 中國大百科全書出版社 1997

      2 張高, "論渤海遷都上京的原因, In 高句麗渤海硏究集成. 渤海 卷2" 哈爾濱出版社 1997

      3 임상선, "중국의 발해 도성 연구와 복원, In 중국의 한국고대문화연구 분석" 고구려연구재단 2005

      4 김진광, "서고성의 궁전배치를 통해 본 발해 도성제의 변화" 고구려발해학회 38 : 77-99, 2010

      5 宋基豪, "발해의 초기 도읍지와 천도과정, In 于江權兌遠敎授定年紀念論叢" 기념논총간행위원회 1994

      6 송기호, "발해의 천도와 그 배경" 한국고대사학회 36 : 113-138, 2004

      7 김기섭김진광, "발해의 상경 건설과 천도" 한국고대사학회 45 (45): 189-220, 2007

      8 임상선, "발해의 都城體制와 그 특징" 고려사학회 24 (24): 269-306, 2006

      9 주영헌, "발해문화" 사회과학출판사 1971

      10 방학봉, "발해는 무엇 때문에 네 차례나 수도를 옮겼는가" 白山學會 39 : 1992

      11 방학봉, "발해 수도의 변화발전과정에 대한 연구, In 발해사연구 3" 연변대학출판사 1992

      12 방학봉, "발해 상경용천부에 대한 몇가지 문제" 韓國古代學會 2 : 1992

      13 김종복, "발해 상경성의 구조, In 한국의 도성 : 都城 造營의 傳統" 서울시립대 서울학연구소 2003

      14 田村晃一, "발해 상경 용천부지의 고고학적 검토, In 동아시아의 도성과 발해" 동북아역사재단 2008

      15 井上和人, "발해 상경 용천부 도성 계획에 대한 신고찰, In 동아시아의 도성과 발해" 동북아역사재단 2008

      16 김진광, "발해 문왕대의 지배체제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7

      17 김진광, "발해 문왕대의 지배체제 연구" 박문사 2012

      18 양정석, "궁궐유적을 통해 본 발해의 도성, In 발해 5경제와 영역 변천" 동북아역사재단 2007

      19 單慶麟, "高句麗渤海硏究集成. 5" 哈爾濱出版社 1997

      20 李殿福, "高句麗渤海の考古と歷史" 學生社 1991

      21 魏存成, "關于渤海都城的幾個問題" 史學集刊編輯部 3 : 1983

      22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西古城-2000~2005年度渤海國中京顯德府故址田野考古報告" 文物出版社 2007

      23 양정석, "空間構造를 통해 본 新羅의 五小京과 渤海의 五京" 호서사학회 53 (53): 259-305, 2009

      24 齋藤兵甚衛, "琿春, In 琿春ㆍ敦化" 15-18, 1943

      25 "玉海"

      26 丹化沙, "渤海歷史地理硏究情況述略, In 黑龍江文物叢刊 1" 黑龍江文物出版社 1983

      27 임상선, "渤海의 遷都에 대한 考察"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청계사학회 5 : 1988

      28 崔茂藏, "渤海의 起源과 文化" 藝文出版社 1988

      29 魏存成, "渤海都城的布局發展及其與隋唐長安城的關係, In 邊疆考古硏究 2" 科學出版社 2004

      30 孫玉良, "渤海遷都淺議" 北方論叢編輯部 3 : 1983

      31 李强, "渤海舊都卽敖東城置疑-兼對敖東城周長的考證, In 高句麗渤海硏究集成 5" 哈爾濱出版社 1997

      32 劉曉東, "渤海舊國諏議, In 學習與探奈 2" 學習與探奈雜誌社 1985

      33 單慶麟, "渤海舊京城址調査, In 文物 6" 文物出版社 1960

      34 王承禮, "渤海的歷史與文化" 延邊人民出版社 1991

      35 田村晃一, "渤海瓦當文樣に關する若干の考察" 靑山學院大學文學部 史學科硏究室 19 : 2000

      36 劉忠義, "渤海東牟山考, In 松奈學刊 1" 吉林師範大學學報編輯部 1984

      37 驅井和愛, "渤海東京龍原府宮城址考, In 北方文物 4" 北方文物雜誌社 1992

      38 井和愛, "渤海東京龍原府宮城址考, In 中國都城 渤海硏究" 雄山閣 1977

      39 劉曉東, "渤海文化硏究" 黑龍江人民出版社 2006

      40 宋基豪, "渤海政治史硏究" 一潮閣 1995

      41 何光岳, "渤海大氏的來源和遷都, In 求索 2기" 湖南省社會科學院 1990

      42 劉曉東, "渤海國渤州考, In 北方文物 1" 北方文物雜誌社 1987

      43 黑龍江省文物考古硏究所, "渤海國上京龍泉府遺址1997年考古發掘收獲, In 北方文物 4" 北方文物雜誌社 1999

      44 朱國, "渤海史稿" 黑龍江省文物出版社編輯室 1984

      45 姜華昌, "渤海上京龍泉府與唐長安城建築布局的比較" 北方文物雜誌社 2 : 1988

      46 劉曉東, "渤海上京營築時序與刑制淵源硏究, In 中國考古學會第6次年會文集" 文物出版社 1987

      47 龍江省文物考古工作隊, "渤海上京宮城第2ㆍ3ㆍ4號門址發掘簡報, In 文物 11" 文物出版社 1985

      48 趙虹光, "渤海上京城硏究補遺, In 北方文物 4" 北方文物雜誌社 2010

      49 趙虹光, "渤海上京城建制硏究, In 北方文物 4" 北方文物雜誌社 2009

      50 趙虹光, "渤海上京城宮殿建制硏究, In 邊疆考古硏究 8" 科學出版社 2009

      51 劉曉東, "渤海上京城三朝制建制的探奈, In 北方文物 1" 北方文物雜誌社 2006

      52 黑龍江省文物考古硏究所, "渤海上京城 ; 1998~2007年度考古發掘調査報告" 文物出版社 2009

      53 駒井和愛, "渤海の舊國顯州ㆍ中京顯德府について, In 中國都城ㆍ渤海硏究" 雄山閣 1977

      54 酒寄雅志, "渤海の王都と嶺域支配" 古代學協會 50 (50): 1998

      55 양정석, "渤海 宮闕構造의 系譜에 대한 檢討 - 上京城과 西古城의 宮殿址을 중심으로 -" 호서사학회 56 (56): 271-302, 2010

      56 潘馳宇, "淺談唐代渤海國上京龍泉府都城建設文化, In 美術大觀 3" 美術大觀編輯部 2010

      57 千田剛道, "淸岩里寺址と安鶴宮"

      58 방학봉, "比較渤海上京城與唐長安城" 1993

      59 劉忠義, "東牟山在 里, In 學習與探奈 4" 學習與探奈雜誌社 1982

      60 張博泉, "東北古代民族ㆍ考古與疆域" 吉林大學出版社 1998

      61 "新唐書"

      62 浜田耕策, "大欽茂(文王)時代-渤海の歷史的性格, In 고구려연구-발해건국1300주년(698~1998) 6" 학연문화사 1999

      63 "周禮"

      64 吉林省地方志編纂委員會, "吉林省志ㆍ文物志" 吉林人民出版社 1991

      65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吉林琿春市八連城內城建築基址的發掘, In 考古 6"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 2009

      66 吉林大學邊疆考古硏究中心, "吉林敦化敖東城及永勝遺址考古發掘的主要收獲, In 邊疆考古硏究, 2" 科學出版社 2004

      67 吉林大學邊疆考古硏究中心, "吉林敦化市敖東城遺址發掘簡報, In 考古, 9"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 2006

      68 秋山日出雄, "古代宮室發展段階の初步的硏究--渤海諸宮を手掛りとして--, In 原考古學硏究所論集 9" 吉川弘文館 1988

      69 김영하, "古代 遷都의 역사적 의미" 한국고대사학회 36 : 5-18, 2004

      70 齋藤優, "半拉城と他の史跡" 半拉城史刊行會 1978

      71 李强, "勿吉與渤海 "塚上作屋" 初識" 고구려발해학회 26 : 199-216, 2007

      72 "冊府元龜"

      73 小嶋芳孝, "中國吉林省和龍縣西古城周邊の航空寫眞" 고대학연구회 (138) : 1997

      74 楊寬, "中國古代都城制度史硏究" 上海古籍出版社 1993

      75 傅熹年, "中國古代建築史" 中國建築工業出版社 2001

      76 董鑑泓, "中國古代城市的規劃布局藝術與規劃思想, In 時代建築』2" 同濟大學 建筑與城市 劃學院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