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남녀대학생의 양가적 성차별주의가 낙태허용도에 미치는 영향과 결혼의향의 매개효과 = The Effects of Ambivalent Sexism on Acceptance of Abortion Perceived by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Marriage Inten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의 양가적 성차별주의가 낙태허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이에서 결혼의향의 매개효과를 탐색함으로써 한국의 낙태법의 개정 방향에 대한 단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위해, 서울시 소재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남자 대학생 166명과 여자 대학생 166명을 대상으로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대학생의 적대적 성차별을 상당히 낮은 수준이었으며 온정적 성차별은 다소 낮은 수준을 보였다. 결혼의향은 보통을 웃도는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낙태 허용도는 평균보다 약간 높은수준이었다.
      둘째, 남성이고 연령이 높으며, 성관계 경험이 있고 가족의 월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양가적 성차별 수준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교가 대학생의 결혼의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이고 종교가 없으며 성관계 경험이 있는 대학생이 낙태에 더 허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적대적 성차별과 온정적 성차별 모두 낙태 허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대적 성차별과 온정적 성차별 모두 그 수준이 낮을수록 낙태에 보다 허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남녀 대학생의 양가적 성차별주의와 낙태 허용도 사이에서 결혼의향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즉 양가적 성차별 수준이 높을수록 결혼의향이 높고, 결혼의향이 높을수록 낙태 허용도가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낙태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를 살펴보고 향후 낙태법 개정 방향의 단초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의 양가적 성차별주의가 낙태허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이에서 결혼의향의 매개효과를 탐색함으로써 한국의 낙태법의 개정 방향에 대한 단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의 양가적 성차별주의가 낙태허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이에서 결혼의향의 매개효과를 탐색함으로써 한국의 낙태법의 개정 방향에 대한 단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위해, 서울시 소재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남자 대학생 166명과 여자 대학생 166명을 대상으로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대학생의 적대적 성차별을 상당히 낮은 수준이었으며 온정적 성차별은 다소 낮은 수준을 보였다. 결혼의향은 보통을 웃도는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낙태 허용도는 평균보다 약간 높은수준이었다.
      둘째, 남성이고 연령이 높으며, 성관계 경험이 있고 가족의 월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양가적 성차별 수준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교가 대학생의 결혼의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이고 종교가 없으며 성관계 경험이 있는 대학생이 낙태에 더 허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적대적 성차별과 온정적 성차별 모두 낙태 허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대적 성차별과 온정적 성차별 모두 그 수준이 낮을수록 낙태에 보다 허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남녀 대학생의 양가적 성차별주의와 낙태 허용도 사이에서 결혼의향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즉 양가적 성차별 수준이 높을수록 결혼의향이 높고, 결혼의향이 높을수록 낙태 허용도가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낙태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를 살펴보고 향후 낙태법 개정 방향의 단초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상수, "한국형 양가적 성차별주의 척도(K-ASI)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19 (19): 39-66, 2005

      2 안상수, "한국형 다면성별의식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204, 2007

      3 최효미, "청년 미혼층의 결혼 및 출산 의향에 관한 연구" 49-55, 2017

      4 이정원, "적대적 성차별주의와 온정적 성차별주의가 여성관련 정책 및 강간 피해자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208-209, 2009

      5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임신중단(낙태)에 관한 여성의 인식과 경험조사" 2018

      6 보건복지부, "인공임신중절 실태조사 및 종합대책 수립" 2005

      7 우양호, "우리나라 공직사회의양성평등 문제에 대한 새로운 접근: “양가적 성차별 이론(ambivalent sexism theory)”의 규명" 한국행정연구소 52 (52): 271-301, 2014

      8 김경숙, "예비 결혼세대인 미혼 남녀의 성역할태도, 자아존중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결혼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 13 (13): 289-299, 2018

      9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여성의 만혼화와 저출산에 관한 연구" 2010

      10 김재은, "성별에 따른 남성중심집단과 여성중심집단의 양가적 성차별주의와 강간통념의 관계" 한국상담학회 17 (17): 187-205, 2016

      1 안상수, "한국형 양가적 성차별주의 척도(K-ASI)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19 (19): 39-66, 2005

      2 안상수, "한국형 다면성별의식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204, 2007

      3 최효미, "청년 미혼층의 결혼 및 출산 의향에 관한 연구" 49-55, 2017

      4 이정원, "적대적 성차별주의와 온정적 성차별주의가 여성관련 정책 및 강간 피해자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208-209, 2009

      5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임신중단(낙태)에 관한 여성의 인식과 경험조사" 2018

      6 보건복지부, "인공임신중절 실태조사 및 종합대책 수립" 2005

      7 우양호, "우리나라 공직사회의양성평등 문제에 대한 새로운 접근: “양가적 성차별 이론(ambivalent sexism theory)”의 규명" 한국행정연구소 52 (52): 271-301, 2014

      8 김경숙, "예비 결혼세대인 미혼 남녀의 성역할태도, 자아존중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결혼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 13 (13): 289-299, 2018

      9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여성의 만혼화와 저출산에 관한 연구" 2010

      10 김재은, "성별에 따른 남성중심집단과 여성중심집단의 양가적 성차별주의와 강간통념의 관계" 한국상담학회 17 (17): 187-205, 2016

      11 박혜민, "미혼남녀의 정서적·당위적·기능적 결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22 (22): 53-80, 2018

      12 김중백, "미혼남녀의 결혼의향 차이에 미치는 조절변수의 연구" 사회과학연구원 39 (39): 167-189, 2013

      13 서지희, "미혼 취업 여성의 성 역할 태도와 생활 양식이 결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부모 동거 여부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14 오원옥, "대학생의 결혼의식, 원가족 건강성 및 성의식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 15 (15): 232-240, 2009

      15 도미향, "대학생들의 결혼과 출산에 대한 인식이 미래결혼과 출산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16 (16): 163-178, 2011

      16 김현주, "남녀 대학생의 성역할 모델과 취업 및 결혼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66 (66): 191-212, 1995

      17 유계숙, "낙태허용 사유에 대한 여학생의 인식이 낙태예방정책 요구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30 (30): 1-11, 2012

      18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낙태행위의 사회경제적 사유 분석과 관련 정책 개선 방안" 2010

      19 이정환, "낙태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 33 (33): 193-203, 2011

      20 이주희, "낙태관계규정의 실효성 확보 수단" 30 (30): 143-168, 2008

      21 전명희, "간호대학생의 결혼, 임신 및 낙태에 대한 태도" 한국간호교육학회 20 (20): 312-320, 2014

      22 이삼식, "가치관의 변화가 결혼 및 출산 행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6 (26): 95-140, 2006

      23 Becker, J. C., "Why do women endorse hostile and benevolent sexism? The role of salient female subtypes and internalization of sexist contents" 62 : 453-467, 2010

      24 De Lemus, S., "When contact correlates with prejudice: Adolescents’ romantic relationship experience predicts greater benevolent sexism in boys and hostile sexism in girls" 63 : 214-225, 2010

      25 Osborne, D., "When benevolence backfires:Benevolent sexists’ opposition to elective and traumatic abortion" 42 : 291-307, 2012

      26 Misra, R., "Trends in abortion attitude among young adults: 1977-1993" 16 (16): 85-98, 2000

      27 Huang, Y., "The precious vessel: Ambivalent sexism and opposition to elective and traumatic abortion" 71 (71): 436-449, 2014

      28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 1986

      29 Overall, N. C., "The costs and benefits of sexism: Resistance to influence during relationship conflict" 101 (101): 271-290, 2011

      30 Glick, P., "The Ambivalent sexism inventory:Differentiating hostile and benevolent sexism" 70 (70): 491-512, 1996

      31 Wang, G. Z., "Social and cultural determinants of attitudes toward abortion: a test of Reiss’ hypotheses" 41 (41): 93-105, 2004

      32 Major, B., "Perceived discrimination as worldview threat or worldview confirmation: Implications for self-esteem" 92 : 1068-1086, 2007

      33 Begun, S., "Pedestal or gutter: Exploring ambivalent sexism’s relationship with abortion attitudes" 30 (30): 200-215, 2015

      34 Hammond, M. D., "Men’s hostile sexism and biased perceptions of intimate partners: Fostering dissatisfaction and negative behavior in close relationships" 39 (39): 1585-1599, 2013

      35 National Capaign to Prevent Teen Pregnancy, "Magical thinking, Young adult’s attitudes and beliefs about sex, contraception, and unplanned pregnancy, Results from a Public Opinion Survey" 2007

      36 Dardenne, B., "Insidious dangers of benevolent sexism: Consequences for women’s performance" 93 (93): 764-779, 2007

      37 Patel, C. J., "Gender role attitudes and attitudes to abortion: Are there gender differences?" 46 (46): 493-505, 2009

      38 Jelen, T. G., "Gender Role beliefs and attitudes toward abortion:A cross-national exploration 1" 5 (5): 11-22, 2015

      39 Sibley, C., "Differentiating Hostile and benevolent sexist attitudes toward positive and negative sexual female subtypes" 51 (51): 687-696, 2004

      40 Benin, M. H., "Determinants of opposition to abortion: An analysis of the hard and soft scales" 28 (28): 199-216, 1985

      41 Carlton, C.,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 abortion and commitment to the issue" 37 : 619-625, 2000

      42 Hodson, G., "Can left-right differences in abortion support be explained by sexism?" 104 : 118-121, 2017

      43 Glick, P, "Beyond prejudice as simple antipathy:Hostile and benevolent sexism across cultures" 79 (79): 763-775, 2000

      44 Huang, Y., "Benevolent sexism, attitudes toward motherhood, and reproductive rights: A multi-study longitudinal examination of abortion attitudes" 42 (42): 970-984, 2016

      45 Glick, P., "An ambivalent alliance: Hostile and benevolent sexism as complementary justifications for gender inequity" 56 (56): 109-118, 2001

      46 Lee, T. L., "Ambivalent sexism in close relationships: (Hostile) Power and (Benevolent) romance shape relationship ideals" 62 (62): 583-601, 2010

      47 Chrisler, J. C., "Ambivalent sexism and attitudes toward women in different stages of reproductive life: A semantic, cross-cultural approach" 35 : 634-657,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8-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여성개발원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5 1.15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6 1.42 1.559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