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동료평가활동을 통한 협동학습이 대학생 영어말하기와 쓰기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5134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quite necessary to approach both authentic and practical teaching when it comes to English education. Recently, there has been more attention on speaking and writing skills which are productive communication skills. Although these are appropriate ways to evaluate students' linguistic abilities in detail, it is true that many educators have avoided teaching them because they are difficult to assess and also take a lot of time to evaluate. Peer-evaluation i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assessment method to assess process, and rather than just providing assessment results it is also an enabler to make students active in the classroom.
      The peer-evaluation is a different way to evaluate not just a partial function of language but also the knowledge process of acquiring it. The peer-evaluation focuses not only on the result, but more importantly on the process itself. There have been more and more studies about the peer-evaluation however, there are not many studies that have been conduct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peaking and writing communication skill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peer-evaluation between speaking and writing on the TOEFL test in which some common abilities have been proved. It is necessary to further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s it might have a strong effect on future English education. In order to proceed with the peer-evaluation on speaking related to writing, 52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cooperative learning and the peer evaluation at S university in Seoul.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peer-evaluation affected both speaking and writing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lso,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hange of the affective domain between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research.
      To substantiate the effect of the peer-evaluation on speaking and writing, four research questions were formulated and learne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29 subjects) and a control group(23 subjects). Both pre- and post-proficiency test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eer-evaluation. First of al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re-proficiency test,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at the same level of proficiency, in the beginning. Second, the peer-evaluation activity resulted in a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speaking proficiency of the experimental group. Third, the peer-evaluation activity resulted in a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writing proficiency of the experimental group. Fourth, the correlation between speaking and writing was seen in most of the areas in the post proficiency tests and especially correlation between Topic Development (speaking) and Usage (writing) resulted effective. Fifth, pre and post surveys verified that the peer-evaluation activity lowered students' anxiety level and increased their levels of confidence and interest, as well as improving their overall attitude. The results also verified, utilizing open-ended questions, that learn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class than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results from both proficiency tests and surveys substantiated the four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Thus, the peer-evaluation activity should be used for learners to help them study English speaking and writing effectively. Consider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Korea, it will be a challenge for all classes to use the peer-evaluation activity. Nevertheless, it is necessary that further research be undertaken with regard to voluntarily using the peer-evaluation including comparison and analysis between speaking and writing.
      번역하기

      It is quite necessary to approach both authentic and practical teaching when it comes to English education. Recently, there has been more attention on speaking and writing skills which are productive communication skills. Although these are appropriat...

      It is quite necessary to approach both authentic and practical teaching when it comes to English education. Recently, there has been more attention on speaking and writing skills which are productive communication skills. Although these are appropriate ways to evaluate students' linguistic abilities in detail, it is true that many educators have avoided teaching them because they are difficult to assess and also take a lot of time to evaluate. Peer-evaluation i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assessment method to assess process, and rather than just providing assessment results it is also an enabler to make students active in the classroom.
      The peer-evaluation is a different way to evaluate not just a partial function of language but also the knowledge process of acquiring it. The peer-evaluation focuses not only on the result, but more importantly on the process itself. There have been more and more studies about the peer-evaluation however, there are not many studies that have been conduct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peaking and writing communication skill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peer-evaluation between speaking and writing on the TOEFL test in which some common abilities have been proved. It is necessary to further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s it might have a strong effect on future English education. In order to proceed with the peer-evaluation on speaking related to writing, 52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cooperative learning and the peer evaluation at S university in Seoul.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peer-evaluation affected both speaking and writing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lso,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hange of the affective domain between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research.
      To substantiate the effect of the peer-evaluation on speaking and writing, four research questions were formulated and learne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29 subjects) and a control group(23 subjects). Both pre- and post-proficiency test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eer-evaluation. First of al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re-proficiency test,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at the same level of proficiency, in the beginning. Second, the peer-evaluation activity resulted in a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speaking proficiency of the experimental group. Third, the peer-evaluation activity resulted in a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writing proficiency of the experimental group. Fourth, the correlation between speaking and writing was seen in most of the areas in the post proficiency tests and especially correlation between Topic Development (speaking) and Usage (writing) resulted effective. Fifth, pre and post surveys verified that the peer-evaluation activity lowered students' anxiety level and increased their levels of confidence and interest, as well as improving their overall attitude. The results also verified, utilizing open-ended questions, that learn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class than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results from both proficiency tests and surveys substantiated the four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Thus, the peer-evaluation activity should be used for learners to help them study English speaking and writing effectively. Consider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Korea, it will be a challenge for all classes to use the peer-evaluation activity. Nevertheless, it is necessary that further research be undertaken with regard to voluntarily using the peer-evaluation including comparison and analysis between speaking and writ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의 영어학습은 문법, 읽기, 그리고 듣기에서 말하기, 쓰기와 같은 실질적 의사소통능력 중심의 학습으로 그 초점이 바뀌어 가고 있다. 그러나 말하기, 쓰기는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을 좀 더 구체적으로 정확히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다른 영역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그 평가 방법이 까다로워 그 동안 많은 교수자들은 말하기, 쓰기능력에 대한 직접평가(direct assessment)를 기피했었다(정동빈, 2010). 그리고 최근에는 기존의 교수자 중심적인 일방적 평가방식이 학생들의 진정한 의사소통 능력과 언어발달 능력을 타당하게 평가할 수 없다는 비판과 함께, 이에 대한 대안적 평가방법으로서 학습자들의 과업수행과 그로 인한 변화 과정을 중시하는 수행평가가 활발히 도입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학습자들을 중심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학습자들을 적극적으로 수업과정에 참여시키는 수행평가로는 동료평가활동이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말하기와 쓰기에 대한 수행평가 연구가 최근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 말하기와 쓰기의 교육적 연관성을 동료평가로서 평가 분석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본 연구는 현재까지 밝혀진 수많은 학습 및 지도 방법 가운데 말하기, 쓰기와 같은 의사소통능력 평가 및 지도법에 가장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는 수행평가의 동료평가활동을 통하여 말하기의 성취도, 그리고 말하기 능력 향상에 따른 쓰기능력의 연계적 향상도, 또한 말하기, 쓰기 상호간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현재 가장 많은 학습자들이 치르고 있는 시험인 토플시험의 말하기, 쓰기 평가방식을 통하여 각각의 구체적인 효과와 함께 그 연관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미국의 언어평가기관인 ETS가 주관하는 토플(TOEFL) 시험의 말하기와 쓰기시험의 문항들을 분석해보면 구어체 혹은 문어체로 표현한다는 차이점만 있을 뿐 각각의 말하기와 쓰기 문항에 많은 공통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동료평가활동을 통하여 둘 중 어느 한 가지 발화능력이 향상될 때 나머지 발화능력이 함께 향상되는지, 만약 향상된다면 구체적으로 어떠한 요소들에 의하여 향상되는지의 연관성 분석은 교수자, 학습자들로 하여금 앞으로의 영어학습을 진행하는데 있어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행평가의 동료평가방법을 통하여 말하기 수업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한 말하기 및 쓰기능력의 향상도를 비교하였다. 이러한 동료평가활동이 영어 말하기 능력과 쓰기 능력 향상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주며 또한 말하기와 쓰기는 그 향상도에 따라 상호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다양한 평가채점자 그룹의 평가 신뢰도는 어떤 차이가 나는지 그리고 학습자들은 이러한 수행평가에 대하여 어떻게 반응하고 생각하는지 그 정의적 요소를 알아보았다.
      먼저 첫 번째로 동질성 검증을 위하여 실험반, 통제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사전, 사후 평가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두 반은 동일한 반임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로 동료평가를 통한 말하기 및 쓰기 능력의 성취도 검증을 위해서 실험반, 통제반의 말하기, 쓰기 점수를 t-test를 통하여 통계적으로 비교한 결과 실험반의 말하기 및 쓰기 성취도에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음을 검증되었다. 세 번째로, 말하기, 쓰기 영역의 상호 연관성에 대하여 분석해 본 결과, 말하기와 쓰기사이에는 말하기의 주제전달영역과 쓰기의 용법영역이 서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관성이 있음이 검증되었고 말하기 내의 영역들 가운데에는 전체적 설명과 의미전달, 전체적설명과 주제전달, 전체적설명과 언어사용, 의미전달과 언어사용, 의미전달과 주제전달, 언어사용과 주제전달과 같은 요소들이 서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관성이 입증되었다 쓰기 영역들 가운데에는 문법과 용법이 서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관성이 입증되었다. 네 번째로, 이러한 동료평가를 통한 말하기 학습이 학습자들의 영어학습에 대한 정의적 요소(불안감, 흥미도, 자신감,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설문조사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이러한 수행평가학습이 실험반의 불안감을 감소시키며, 흥미도, 자신감, 태도는 향상시켰음을 밝혀내었다. 그리고 좀 더 구체적으로 이러한 학습방법에 대한 학습자들의 의견을 알아보기 위해서 주관식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학습자들은 말하기의 동료평가와 쓰기의 준거평가(ETS Criterion)에서 동일한 피드백을 받아 본인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 수 있었고 또한 말하기 학습을 통하여 쓰기 속도가 향상되었다고 하였다. 그리고 말하기와 쓰기의 연관성으로 인하여 두 영역의 동반향상을 경험했다고 하였다.
      위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설립한 연구문제들은 모두 통계적으로 검증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에 의해 구성된 동료평가활동을 통한 말하기, 쓰기능력 향상 및 말하기, 쓰기능력의 상호 연관성 분석에 대한 검증이 언어 발화를 학습하는 학습자들에게 도움을 주고 앞으로 현장에서 학습자들의 말하기, 쓰기 학습에 본 연구의 결과가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번역하기

      최근의 영어학습은 문법, 읽기, 그리고 듣기에서 말하기, 쓰기와 같은 실질적 의사소통능력 중심의 학습으로 그 초점이 바뀌어 가고 있다. 그러나 말하기, 쓰기는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을 ...

      최근의 영어학습은 문법, 읽기, 그리고 듣기에서 말하기, 쓰기와 같은 실질적 의사소통능력 중심의 학습으로 그 초점이 바뀌어 가고 있다. 그러나 말하기, 쓰기는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을 좀 더 구체적으로 정확히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다른 영역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그 평가 방법이 까다로워 그 동안 많은 교수자들은 말하기, 쓰기능력에 대한 직접평가(direct assessment)를 기피했었다(정동빈, 2010). 그리고 최근에는 기존의 교수자 중심적인 일방적 평가방식이 학생들의 진정한 의사소통 능력과 언어발달 능력을 타당하게 평가할 수 없다는 비판과 함께, 이에 대한 대안적 평가방법으로서 학습자들의 과업수행과 그로 인한 변화 과정을 중시하는 수행평가가 활발히 도입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학습자들을 중심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학습자들을 적극적으로 수업과정에 참여시키는 수행평가로는 동료평가활동이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말하기와 쓰기에 대한 수행평가 연구가 최근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 말하기와 쓰기의 교육적 연관성을 동료평가로서 평가 분석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본 연구는 현재까지 밝혀진 수많은 학습 및 지도 방법 가운데 말하기, 쓰기와 같은 의사소통능력 평가 및 지도법에 가장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는 수행평가의 동료평가활동을 통하여 말하기의 성취도, 그리고 말하기 능력 향상에 따른 쓰기능력의 연계적 향상도, 또한 말하기, 쓰기 상호간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현재 가장 많은 학습자들이 치르고 있는 시험인 토플시험의 말하기, 쓰기 평가방식을 통하여 각각의 구체적인 효과와 함께 그 연관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미국의 언어평가기관인 ETS가 주관하는 토플(TOEFL) 시험의 말하기와 쓰기시험의 문항들을 분석해보면 구어체 혹은 문어체로 표현한다는 차이점만 있을 뿐 각각의 말하기와 쓰기 문항에 많은 공통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동료평가활동을 통하여 둘 중 어느 한 가지 발화능력이 향상될 때 나머지 발화능력이 함께 향상되는지, 만약 향상된다면 구체적으로 어떠한 요소들에 의하여 향상되는지의 연관성 분석은 교수자, 학습자들로 하여금 앞으로의 영어학습을 진행하는데 있어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행평가의 동료평가방법을 통하여 말하기 수업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한 말하기 및 쓰기능력의 향상도를 비교하였다. 이러한 동료평가활동이 영어 말하기 능력과 쓰기 능력 향상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주며 또한 말하기와 쓰기는 그 향상도에 따라 상호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다양한 평가채점자 그룹의 평가 신뢰도는 어떤 차이가 나는지 그리고 학습자들은 이러한 수행평가에 대하여 어떻게 반응하고 생각하는지 그 정의적 요소를 알아보았다.
      먼저 첫 번째로 동질성 검증을 위하여 실험반, 통제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사전, 사후 평가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두 반은 동일한 반임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로 동료평가를 통한 말하기 및 쓰기 능력의 성취도 검증을 위해서 실험반, 통제반의 말하기, 쓰기 점수를 t-test를 통하여 통계적으로 비교한 결과 실험반의 말하기 및 쓰기 성취도에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음을 검증되었다. 세 번째로, 말하기, 쓰기 영역의 상호 연관성에 대하여 분석해 본 결과, 말하기와 쓰기사이에는 말하기의 주제전달영역과 쓰기의 용법영역이 서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관성이 있음이 검증되었고 말하기 내의 영역들 가운데에는 전체적 설명과 의미전달, 전체적설명과 주제전달, 전체적설명과 언어사용, 의미전달과 언어사용, 의미전달과 주제전달, 언어사용과 주제전달과 같은 요소들이 서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관성이 입증되었다 쓰기 영역들 가운데에는 문법과 용법이 서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관성이 입증되었다. 네 번째로, 이러한 동료평가를 통한 말하기 학습이 학습자들의 영어학습에 대한 정의적 요소(불안감, 흥미도, 자신감,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설문조사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이러한 수행평가학습이 실험반의 불안감을 감소시키며, 흥미도, 자신감, 태도는 향상시켰음을 밝혀내었다. 그리고 좀 더 구체적으로 이러한 학습방법에 대한 학습자들의 의견을 알아보기 위해서 주관식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학습자들은 말하기의 동료평가와 쓰기의 준거평가(ETS Criterion)에서 동일한 피드백을 받아 본인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 수 있었고 또한 말하기 학습을 통하여 쓰기 속도가 향상되었다고 하였다. 그리고 말하기와 쓰기의 연관성으로 인하여 두 영역의 동반향상을 경험했다고 하였다.
      위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설립한 연구문제들은 모두 통계적으로 검증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에 의해 구성된 동료평가활동을 통한 말하기, 쓰기능력 향상 및 말하기, 쓰기능력의 상호 연관성 분석에 대한 검증이 언어 발화를 학습하는 학습자들에게 도움을 주고 앞으로 현장에서 학습자들의 말하기, 쓰기 학습에 본 연구의 결과가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1
      • 1.2 연구의 목적 4
      • 1.3 연구문제 4
      • 1.4 연구의 제한점 5
      • Ⅰ. 서 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1
      • 1.2 연구의 목적 4
      • 1.3 연구문제 4
      • 1.4 연구의 제한점 5
      • 1.5 용어의 정리 6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11
      • 2.1 동료평가 11
      • 2.1.1 수행평가와 동료평가 11
      • 2.1.2 수행평가의 종류 13
      • 2.1.3 동료평가의 필요성 19
      • 2.1.4 동료평가의 장점 19
      • 2.1.5 동료평가의 효과 20
      • 2.1.6 수행평가 및 동료평가에 관한 선행연구 23
      • 2.2 협동학습 27
      • 2.2.1 협동학습의 정의 및 필요성 27
      • 2.2.2 협동학습과 동료평가 31
      • 2.2.3 협동학습에 관한 선행연구 34
      • 2.3 영어평가와 역류효과 40
      • 2.3.1 평가의 정의 40
      • 2.3.2 역류효과의 의의 43
      • 2.3.3 영어 말하기/쓰기 평가의 상호 연관성 47
      • 2.3.4 영어평가 및 역류효과에 관한 선행연구 50
      • Ⅲ. 연구 방법 56
      • 3.1 연구 대상 56
      • 3.2 연구대상 사전 동질성 검증 57
      • 3.2.1 말하기 사전 동질성 검사 결과 57
      • 3.2.2 쓰기 사전 동질성 검사 결과 58
      • 3.3 연구 절차 59
      • 3.4 교수-학습 모형 65
      • 3.5 평가 도구 73
      • 3.6 연구 설계 77
      • 3.6.1 연구계획 단계 77
      • 3.6.2 자료수집 및 실험반 수업 계획수립 단계 77
      • 3.6.3 결과 분석 단계 78
      •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79
      • 4.1 연구문제 결과 검증 79
      • 4.1.1 실험-통제집단 간 말하기 사후 검사 결과 80
      • 4.1.2 <연구문제 1> 검증 80
      • 4.1.3 실험-통제집단 간 쓰기 사후 검사 결과 86
      • 4.1.4 <연구문제 2> 검증 87
      • 4.1.5 <연구문제 3> 검증 92
      • 4.1.6 <연구문제 4> 검증 99
      • 4.1.7 설문문항 간 신뢰도 104
      • 4.1.8 실험 후 주관식 설문조사 결과 105
      • 4.1.9 평가자 간 신뢰도 분석 결과 112
      • Ⅴ. 결론 및 제언 113
      • 5.1 결 론 113
      • 5.2 제 언 120
      • 참고문헌 122
      • 부 록 135
      • 국문초록 174
      • Abstract 177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Mehan, "Learning lesson", 1979

      2 성태제, "현대교육평가", 학지사, 2007

      3 이현구, "영어학 콘서트", 2011

      4 Krashen, T.Terrell, "The Natural Approach", The natural approach, 1983

      5 백순근, "수행평가의 원리", 교육과학사, 수행평가의 원리, 2000

      6 이완기, "영어 평가 방법론", 문진미디어, 영어평가 방법론, 2003

      7 Cazden, "Language in the classroom", 1987

      8 Johnson, David W, "Advanced cooperative learning", Interactive Book Co., 1992

      9 Hughes, Arthur, "Testing for language teach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10 Morrow, "Communication in the Classroom", Communication in the classroom, 1981

      1 Mehan, "Learning lesson", 1979

      2 성태제, "현대교육평가", 학지사, 2007

      3 이현구, "영어학 콘서트", 2011

      4 Krashen, T.Terrell, "The Natural Approach", The natural approach, 1983

      5 백순근, "수행평가의 원리", 교육과학사, 수행평가의 원리, 2000

      6 이완기, "영어 평가 방법론", 문진미디어, 영어평가 방법론, 2003

      7 Cazden, "Language in the classroom", 1987

      8 Johnson, David W, "Advanced cooperative learning", Interactive Book Co., 1992

      9 Hughes, Arthur, "Testing for language teach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10 Morrow, "Communication in the Classroom", Communication in the classroom, 1981

      11 진경애, "영어과 수행 평가 방법", 한빛문화, 영어과 수행평가방법, 2005

      12 김영준, "수행평가의 의미와 방법", 1999

      13 남명호, "수행평가의 타당성 연구", 한국교육평가학회, "교육평가연구, 1995

      14 정동빈, "현대 영어언어과학의 이해", 한국문화사, 2010

      15 이명숙, "협동학습과 그 이론적 기초", 2001

      16 Brown, "Teaching by principles. English cliffs", 1994

      17 김성헌(Sung-hun Kim), 김인철(In-churl Kim), "영어수행평가의 의의와 관계", 한국영어교육연구학회, "영어교육연구, 2003

      18 Freeman, "Peer assessment by groups of group work", 1995

      19 Cheng, Warren, "Peer assessment of language proficiency", 2005

      20 Wall, Alderson, "Does washback exist? Applied Linguistics", 1993

      21 Pierce, O'Malley, "Authentic assessment for English language", 1996

      22 Barth, Mitchell, "Elementary education for the 21st century", 1992

      23 남명호, "본질에 가장 근접한 '수행평가'", 1995

      24 이명관, "영어 수행 평가 모형 개발 연구", 2000

      25 최신일, "학문적 논쟁법으로서 협동학습", 2003

      26 정문성, "사회과 협동학습의 유형과 실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회, "한국사회과교육연구회, 1996

      27 최연희, "영어과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2000

      28 Winters, Herman, "A practical guide to alternative assessment", A practical guide to alternative assessment, 1992

      29 Brown H. D., "Principle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Principle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1994

      30 Bachman, "Fundamental considerationin language testing", 1990

      31 박정민(Park Jung Min), 김현주(Kim Hyun-Ju), "영어 쓰기 평가 기준에 대한 재고", 새한영어영문학회, "새한영어영문학, 2010

      32 Savignon, "Communicative competence: Theory and practice", 1983

      33 Berk,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s & application", 1986

      34 Brown, "Principles of language and teaching (5th ed.)", 2007

      35 Slavin, "Synthesis of Research on Cooperative Learning", 1981

      36 Eisner, "The uses and limits of performance assessment", The uses and limits of performance assessment, 1999

      37 Tyler, Ralph W,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Chicago University Press,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71

      38 Oller, "Language tests at school: A pragmatic approach", 1979

      39 Brief, "Peer tutoring and the "conversation of mankind", "Peer tutoring and the ""conversation of mankind", 1984

      40 Taylor, Taylor, B. P., "Teaching composition to low-level ESL students", 1976

      41 김현주, "영어 말하기 평가의 채점과정 연구", 2007

      42 Johnson, David W, "Cooperation and competition : theory and research", Interaction Book Company, 1989

      43 Littlejohn, "Increasing learner involvement in course management", 1983

      44 Johnson, David W, "Active learning : cooperation in the college classroom", Interaction Book Co, 2006

      45 Ko, "Cooperative learning in non-interactive listening tasks", 1998

      46 Baker, "Language testing: A critical survey and practical guide", 1989

      47 Brown, H. Douglas, "Language assessment : principles and classroom practices", Pearson Education, Language assessment: Principles and classroom practices, 2010

      48 진경애, "영어과 수행평가,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영어과 수행평가, 1999

      49 백순근, "(중학교 각 교과별)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원미사, (중학교 각 교과별)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1999

      50 Johnson, Qin, "Cooperative versuscompetitive efforts and problem solving", 1995

      51 황성근, "말하기 교육에서 글쓰기의 효과와 연계방안", 2009

      52 Wiggins, "A true test: toward more authentic and equitable assessment", 1989

      53 Stiggins, "Facing the challenges of a new era of educational assessment", 1991

      54 Large, Hughes, "Staff and peer-group assessment of oral communication skills", 1993

      55 Shiller, "실러의 아동관과 영국의 유아교육(이원영 역)", 1997

      56 Topping, "Peer assessment between students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1998

      57 Slavin, "Cooperatinve learning: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2nd ed.)", "Cooperatinve learning: Theory, 1995

      58 김혜영, "번역교육에서의 동료 평가 및 동료 감수의 효과", 2009

      59 김영서, "영어 말하기 수행평가 방법과 평가 신뢰도 연구", 한국응용언어학회, 1999

      60 Bang, "The use of collaborative work in a college EFL reading classroom", 2002

      61 최은영, "협동학습 과정에서 나타난 학습자들의 수업경험", 2007

      62 Long, "The role of linguistic environment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1996

      63 Eresh, LeMahieu, Gitmer, "Portfolios in large-scale assessment: difficult but not impossible", 1995

      64 Krashen, "The "Fundamental pedagogical principle" on second language teaching", "The ""Fundamental pedagogical principle"" on second language teaching", 1981

      65 Kleimann, Selekman, "The use and sequencing of Dicto-comp exercised. ELT Journal, 2(191)", "The use and sequencing of Dicto-comp exercised. ELT Journal, 1981

      66 Carson, Nelson, "Chinese students' perceptions of ESL peer response group interaction", 1996

      67 서수현, "영어말하기를 위한 한국인의 논리 능력에 대한 고찰", 公州敎育大學 敎育硏究所, 2006

      68 신동일(Shin, Dongil), "영어말하기평가와 담화연구 : 연계연구 가능성 탐색", 한국사회언어학회, 2005

      69 진경애, "성취기준에 근거한 영어과 쓰기 수행 평가 적용 연구", 2002

      70 Priestley, "Performance assessment in education and training: Alterative techniques", 1982

      71 김해동 ( Hae Dong Kim ), "파워포인트를 이용한 그룹 발표에서 동료평가의 활용",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007

      72 McMillan, James H, "Classroom assessment : principles and practice for effective instruction", Allyn and Bacon, Classroom assessment: Principles and practice for effective instruction, 1997

      73 Patri, "The influence of peer feedback on self and peer-assessment of oral skills", 2002

      74 김보경, "협동학습을 적용한 고등학교 영어 쓰기 지도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6

      75 김미영, "협력 학습이 고등학생의 영어 쓰기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76 Shohamy, "The power of tests : The impact of language tests no teaching and learning", 1993

      77 Bailey, "Working for washback: A review of the washback concept in language testing", 1996

      78 North, Alderson, "Standardization of continuous assessment grades. Language testing in 1990's", 1995

      79 정승영 , 윤인숙, "영어 의사소통능력의 신장을 위한 소집단 협동학습 실험", 경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1

      80 최연희, 윤소영, "중학교 영어과 수행평가의 개발과 적용 효과에 대한 분석", 한국응용언어학회, "응용 언어학, 1999

      81 이희경, "영어 말하기 능력의 다집단 교실 평가 가능성에 대한 연구", 2009

      82 King, "High and low achievers' perception and cooperative learning in two small groups", 1993

      83 선종철, 이화자, "말하기 능력 평가를 통한 영어 평가 방법의 개선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어학연구소, "어학연구, 1998

      84 서종훈 ( Jong Hoon Seo ), "말하기 수행평가 사례 연구 -특목고 1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회), 2009

      85 Alderson, "Innovations in language testing? In M. Portal(Ed.) Innovations in language testing", 1986

      86 Canal, Swain, "Theoretical bases of communicative approach to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testing", 1980

      87 박정민, "영어 쓰기 평가 기준 개발 : 평가자간의 채점 과정 분석을 통해",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88 Slavin, "Research on cooperative learning and achievement: What we know, what we need to know", "Research on cooperative learning and achievement: What we know, 1996

      89 Ranta, Lyster, "Corrective feedback and learner uptake:Negotiation of form in communicative classroom", 1997

      90 Slavin, "Developmental and motivational perspectives oncooperative learning : A Reconciliation", 1987

      91 이윤나(Lee, Eyun-Na), 윤현숙(Yoon, Hyunsook), "영어 말하기 전 쓰기 활동이 대학생의 말하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영어교육연구, 2010

      92 이윤나, "영어 쓰기 활동이 성인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0

      93 Morrow, "Communicative language testing: revolution or evolution? In Brumfit, C.J. and Johnson, K", "Communicative language testing: revolution or evolution? In Brumfit, 1979

      94 Wagner, "Portfolioassessment:7thgradestudents'self-evaluationandreflectionofpersonalreadingandwriting", Portfolio assessment: 7th grade students' self-evaluation and reflection of personal reading and writing, 1992

      95 윤소영, "중학교 영어과에서 수행평가와 채점 기준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중학교 영어과에서 수행평가와 채점기준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1999

      96 Mowl, Pain, "Using self and peer assessment to improve students' essay writing: a case study from geography", 1995

      97 김은숙, "말하기 활동을 통한 쓰기 지도 방법이 유아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仁川大學校 敎育大學院, "석사학위 논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98 Mulryan, "Fifth and sixth grades' Involvement and participation in cooperative small groups in mathematics", 1995

      99 Smith, Smith, H., Lancaster, Cooper, "Improving the quality of undergraduate peer assessment: a case for student and staff development", 2002

      100 Jeon, "Performance assessment: Use of self-assessment(SA) for the communicative college English program", 1998

      101 Berman, Macpherson, Schank, "Learning by doing, in C.M. Reigeluth (ed.),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pp.161-180)", "Learning by doing, 1999

      102 최유선(Choi, You-Seon), 김동규(Kim, Dongkyoo), "소그룹 협동학습 활동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영어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영어교육연구, 2010

      103 박은영, "말하기가 쓰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정보 전달하는 말하기ㆍ쓰기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04 김종남, "이해 기능 시험과 말하기 시험과 상관관계 분석: 한국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2005

      105 Hyun, Andrew E.Finch, "Oral testing and self-assessment The way forward? Journal of The Applied Linguistics Association of Korea", 1998

      106 Topping, "The effectiveness of peer tutoring in further and higher education: Atypology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1996

      107 이영식, "영어 말하기 평가의 개발: 평가방법과 채점기준을 중심으로 글로벌 영어교육학회", 2006

      108 Carroll, "The psychology of language testing. in Alan Davies (ed.) Language testing symposium: A psycholinguistic approach", "The Psychology of language testing, 1968

      109 홍정숙, "수행평가 100% 이렇게 한다 : 창의력 신장을 위한 학생 중심 학습 모형과 수행평가 사례", 교육과학사, 1999

      110 최연희, "자가평가 중심의 포트폴리오가 한국 대학생의 영어 청해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교육학회, "Foreign Languages Education, 1999

      111 Leeman, "International input and the incorporation incorporation of feedback: An exploration of NS-NNS and NNS-NNS adult and child", 2003

      112 Rolfe, "Self and peer-assessment in the ESL curriculum. In Brindley, G., editor. The Second Language in Action, 6. Sydney: NCELTR", "Self and peer-assessment in the ESL curriculum. In Brindley, 1990

      113 이수진(Lee, Sujin), 임현우(Lim, Hyun-Woo), "딕토글로스 활동에서 모국어를 통한 의미협상과 영어쓰기 활동이 영어말하기에 미치는 영향",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영어교육연구, 2010

      114 Bryant, Johnson, "Cooperation and competition in the classroom: Perception and preferences as related to students' feeling of personal control", 1973

      115 정양수, "CMC기반의 언어학습 환경에서 행해진 영어 쓰기활동이 영어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언어연구", 2005

      116 Dowson, Mart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otivation, engagement, and achievement: Yields for theory, current issues, and educational practic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2009

      117 이선정, "영어 말하기 디지털 포트폴리오 평가가 중학생의 영어 말하기 능력 및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18 Smith, "Cooperative learning: Effective teamwork for engineering classrooms. Retrieved March 10. 2011. from the World Wide Web: Http://fre.www.ecn.purdue", 1995

      119 Swine, "Large-scale communicative testing: a case study. In Savignon, S.J. and Berns, M., editors, Initiatives in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Reading", "Large-scale communicative testing: a case study. In Savignon, 1984

      120 Sthal, "Cooperative learning: A social studies context and an overview. In cooperative learning in social studies: A handbook for teachers, edited by R. J. Stahl", "Cooperative learning: A social studies context and an overview. In cooperative learning in social studies: A handbook for teachers, 1994

      121 안미경, "고등학교 영어 말하기 평가의 역류효과 (WASHBACK)에 대한 비교 연구: 양방향 평가유형과 일방향 평가유형을 중심으로", 1999

      122 Gere, Stevens, "The language of writing groups: How oral response shapes revision. In S. Freeman (Ed.), The acquisition of written language: Response and revision (pp. 85-105)", "The language of writing groups: How oral response shapes revision. In S. Freeman (Ed.), 1985

      123 Clark, Andrew, "Peer mentoring in higher education: A multidimentional approach to conceptualizing the role of peermentoring programmes in enhancing the first year undergraduate", 2004

      124 Mittan, "The peer review process: Harnessing students' communicative power. In D. M. Johnson & D , H. Roen. (Eds.), Richness in writing: Empowering ESL students, (pp207-219)", "The peer review process: Harnessing students' communicative power. In D. M. Johnson & D , 1989

      125 주경숙, "중학교 2학년 영어 말하기 수행평가에서 평가 방법에 따른 역류 효과의 비교연구 : 교사평가, 자가평가, 동료평가를 중심으로", "중학교 2학년 영어 말하기 수행평가에서 평가 방법에 따른 역류 효과의 비교연구 : 교사평가, 2003

      126 Lipman, "Some thoughts on the formation of reflective education in Teaching-Thinking Skills: Theory and Practice. pp151-161. Edited by J. B. Baron and R. J. Sternberg. NY: W. H", 1987

      127 유환희(Yoo Hwan-hee), 김은주(Kim Eun-Ju), "직소(Jigsaw) 듣기와 읽기 활동의 자료 유형이 한국 대학생 영어 학습자의 영어 말하기 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응용언어학회, 2006

      128 Cazden, Forman, "Exploring Vygotskian perspectives ineducation: The cognitive value of peer interaction. In J. V. Wertsch (Ed), Culture, communication and cognition: Vygotskian perspectives, (pp.332-347)", "Exploring Vygotskian perspectives ineducation: The cognitive value of peer interaction. In J. V. Wertsch (Ed), 1985

      129 Klemm, "Using a formal collaborative learning paradigm for veterinary medical education. Retrieved February 8, 2011 from the World Wide Web: http://scholar lib.vt.edu/ejournal/JVME/ v21-1 / Klemm", "Using a formal collaborative learning paradigm for veterinary medical education. Retrieved February 8, 1994

      130 Swain, "Communicative competence: Some roles of comprehensible input and comprehensible output in its development. In S. Gass and C. Madden (Eds.), Input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pp235-253)", "Communicative competence: Some roles of comprehensible input and comprehensible output in its development. In S. Gass and C. Madden (Eds.), 1985

      131 Green, "Developing measures of communicative proficiency: a test for French immersion students in grades 9 and 10. In Hauptman, P.C., LeBlanc, R., and Wesche, M. B., editors, Second language performance testing", "Developing measures of communicative proficiency: a test for French immersion students in grades 9 and 10. In Hauptman, 1985

      132 Pica, Doughty, "Input and interaction in the communicative language classroom: A comparison of teacher-fronted and group activities. In S. M. Gass & C. Madden (Eds.), Input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pp. 115-132)", "Input and interaction in the communicative language classroom: A comparison of teacher-fronted and group activities. In S. M. Gass & C. Madden (Eds.), 198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