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탈냉전시대의 분쟁과 인도적 위기상황에 대응하고자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가 수행한 역할(특히 유엔평화유지활동에 초점을 맞추어)을 평가한 후, 그 한계를 지적하고 향후 과제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453078
2004
-
349
KCI등재
학술저널
61-85(25쪽)
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탈냉전시대의 분쟁과 인도적 위기상황에 대응하고자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가 수행한 역할(특히 유엔평화유지활동에 초점을 맞추어)을 평가한 후, 그 한계를 지적하고 향후 과제를...
본고는 탈냉전시대의 분쟁과 인도적 위기상황에 대응하고자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가 수행한 역할(특히 유엔평화유지활동에 초점을 맞추어)을 평가한 후, 그 한계를 지적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첫 장에서는 평화유지활동(PKO)의 개념과 역사에 관하여 살펴보고, 이라한 개념들이 국제사회에서 어떻게 적용·발전되어 왔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분쟁지역의 평화와 안전유지를 위한 평화유지활동의 역할이 그동안 왜 성공 혹은 실패하였는지 살펴봄으로써, 유엔 및 다른 기구들에 의해 수행된 PKO가 분쟁종식과 평화유지에 어떠한 기여를 해왔는지 분석하였다. 본고는 이제까지 진행되어온 PKO 활동이 많은 경우 실패하였고 PKO의 역할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많이 있지만, 종합적으로 볼 때 그 기여도가 비관적이라기보다는 낙관적이라고 평가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PKO 활동이 갖고 있는 한계점이 무엇이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앞으로의 과제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므로, 그 다음 장에서는 향후 PKO의 과제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즉 1994년 발생한 르완다 대량학살사건에 있어 왜 유엔이 적절한 대응에 실패했는지를 간략히 살펴보고, 르완다 비극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교훈을 바탕으로 내전, 국제분쟁 및 인도적 위기상황에 있어서의 유엔평화유지군의 활동 및 유엔 전체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ited Nations Peacekeeping Operations (UNPKO) are UN-mandated activities aiming to maintain and restore peace and security the world over. This paper reviews the overall record of UN peacekeeping mission in international and intra-state conflicts. De...
United Nations Peacekeeping Operations (UNPKO) are UN-mandated activities aiming to maintain and restore peace and security the world over. This paper reviews the overall record of UN peacekeeping mission in international and intra-state conflicts. Despite many failures in PKO activities and criticism on the nature and role of PKO, the paper argues that UNPKOs have contributed to peacekeeping and conflict prevention It also focuses on the case of Rwandan genocide in an attempt to explain why peacekeeping often fails. It will first offer a background on the civil war and genocide, followed by an attempt to identify the causes and dynamics of the Rwandan genocide and civil war-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the response of the United Nations. The Rwandan case suggests that while the failure is in line with what could be expected from the limited available evidence from statistical studies on the conditions for successful peacekeeping missions, it proves that quite a few factors indeed contributed to the failure. Finally, this article suggests a more suitable future role of UNPKOs in armed conflicts and humanitarian crisis situations.
목차 (Table of Contents)
The Koreas: No Nuke Talk Till 2005?
Changing Asia needs the U.S.-Japan alliance
U.C.-ROK Relations: Silencing the Loose Cannons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0-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4-2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신아세아질서연구회 -> 신아시아연구소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5-30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신아세아외국어명 : NEW ASIA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2 | 0.72 | 0.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44 | 1.035 | 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