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등여화』의 전파와 조선목판본의 특징 = A Study on the Spread of Jiandeng Yuhua and its Joseon Edi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562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명나라 초기 이정(李禎)의 전기소설집 『전등여화(剪燈餘話)』는 『전등신화』의 영향을 받아서 영락 18년(1420)에 완성되었다. 그리고 선덕(宣德) 8년(1433)에 복건성 건양현(建陽縣)에서 장광...

      명나라 초기 이정(李禎)의 전기소설집 『전등여화(剪燈餘話)』는 『전등신화』의 영향을 받아서 영락 18년(1420)에 완성되었다. 그리고 선덕(宣德) 8년(1433)에 복건성 건양현(建陽縣)에서 장광계(張光啓)에 의하여 간행되었다. 그리고 두 작품은 곧이어 합각본으로 널리 전파되었다. 그러나 현재 초간본은 사라지고 명대 중기 이후의 성화(成化, 1465-1487) 연간 간본과 만력(萬曆, 1573-1619) 연간 간본 등이 전해지고 있다.
      조선 세종(世宗) 연간의 집현전 학자들은 1445년에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를 편찬할 때 주석에서 『전등여화』 「청성무검록(靑城舞劍錄)」의 일부를 채택하여 활용하였다. 이로써 중국본 『전등여화』가 불과 10년 이내에 조선에 전래되어 읽혀지고 있었음을 밝혀주고 있다. 조선 전기에서 중기에 이르기까지 이 책은 『전등신화』와 더불어 조선 문단에 다양한 영향을 주었다. 성임(成任)이 엮은 『태평통재(太平通載)』에도 『전등여화』의 「무마기인(巫馬期仁)」(원제 「長安夜行錄」)과 「설도(薛濤)」(원제 「田洙遇薛濤聯句記」) 등 2편이 수록되어 있다. 『전등여화』의 이름은 『전등신화』, 『효빈집』 등과 더불어 국왕 연산군(燕山君)의 입에서도 직접 거론되어 연행사절단으로 하여금 중국에서 사들여오라고 하였고 또 해독하기 어려운 백화인 한어(漢語)는 당시 읽기 용이한 한문 즉 문자(文字)로 주해를 달아서 간행하라는 말까지도 한 바 있다. 실제로 명종 연간에 『전등신화구해』가 만들어진 것과 같이 『전등여화』도 구해를 하려는 의도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어숙권의 『고사촬요』 기록에 따르면 16세기 전라도 순창(淳昌)에서 『전등여화』가 판각되었다고 했는데 현재 한국에는 원본이 남아있지 않고 일본으로 전해져서 판본의 일부가 남아 전하게 되었다. 도쿄의 국립공문서관 내각문고(內閣文庫)에 있는 후반부가 유일하게 남아 전하는 조선간본이다. 「순창간본」은 임진왜란(1592-1597) 무렵에 일본으로 유출되었고 일본에서는 이를 근거로 원화(元和, 1615-1623) 연간에 고활자본으로 간행되어 널리 전해지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현존하는 명대 판본의 현황과 조선 전래의 상황을 살펴보고, 특히 조선 순창에서 간행된 일본 내각문고 소장본 조선목판본의 판형과 체제 및 후인의 독서기록인 평어(評語) 등 여러 가지 특징을 집중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전등신화』와 함께 조선에 전래되고 간행되었으며 깊은 영향을 끼쳤던 『전등여화』의 실체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당시 문인들의 독서 흔적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izhen (李禎)'s Collection of Legendary Novels Jiandeng Yuhua (剪燈餘話, Renew Tales of Lantern Cutting) was completed in 1420 the Ming Dynasty. It was published in 1433 in Jianyang (建陽) County, Fujian (福建) Province. However, the first e...

      Lizhen (李禎)'s Collection of Legendary Novels Jiandeng Yuhua (剪燈餘話, Renew Tales of Lantern Cutting) was completed in 1420 the Ming Dynasty. It was published in 1433 in Jianyang (建陽) County, Fujian (福建) Province. However, the first edition has disappeared, and Chenghua (成化) Edition and Wanli (萬曆) Edition remains after the mid-Ming period. The Scholars of Joseon court wrote Qing cheng Wu jian-lu (靑城舞劍 錄, The Record of Sword dance in Blue Castle) as foot notes in 1445 when they publish the Yongbieocheonga (龍飛御天歌, the Song of the Dragon Flying to Heaven). This proves that the Chinese edition has been imported and read in Korea within 10 years since 1433.
      Jiandeng Yuhua was published in Sunchang (淳昌) County of Joseon Korea in the 16th century. However, the original disappeared in Korea now, only the latter half remains in the Naikaku’s Library (內閣文庫) in National archives of Japan. At the time of Japanese Invasions of Korea (壬辰倭亂, 1592-1597), the Sunchang edition was taken to Japan. In Japan, the Genna (元和) Edition which is based on the Sunchang edition came out and spread widely.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present status of the existing editions of Ming period and the situation of the introduction in Joseon Dynasty, particularly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Woodblock Edition of Joseon Korea which was published in the 16th century, Sunchang, Ko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현규, "조선에서의 명 이정 전등여화 수용과 변이—가운화환혼기를 중심으로" 열상고전연구회 16 : 155-180, 2002

      2 최용철, "전등삼종(하-전등여화)" 소명출판 2005

      3 최용철, "전등삼종(상-전등신화, 멱등인화)" 소명출판 2005

      4 김완진, "자료소개: 聘聘傳 卷之一"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6 : 169-238, 1985

      5 박재연, "낙선재본 빙빙전(해제)" 학고방 1995

      6 최용철, "금오신화의 판본" 국학자료원 2003

      7 유탁일, "茶谷李樹鳳先生回甲紀念: 古小說硏究論叢" 景仁文化社 1988

      8 崔溶澈, "第四屆國際漢學會議論文集" 中央硏究院 2013

      9 崔溶澈, "第三屆中國小說戱曲國際學術硏討會論文集" 里仁書局 2008

      10 喬光輝, "明代剪燈系列小說硏究"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6

      1 박현규, "조선에서의 명 이정 전등여화 수용과 변이—가운화환혼기를 중심으로" 열상고전연구회 16 : 155-180, 2002

      2 최용철, "전등삼종(하-전등여화)" 소명출판 2005

      3 최용철, "전등삼종(상-전등신화, 멱등인화)" 소명출판 2005

      4 김완진, "자료소개: 聘聘傳 卷之一"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6 : 169-238, 1985

      5 박재연, "낙선재본 빙빙전(해제)" 학고방 1995

      6 최용철, "금오신화의 판본" 국학자료원 2003

      7 유탁일, "茶谷李樹鳳先生回甲紀念: 古小說硏究論叢" 景仁文化社 1988

      8 崔溶澈, "第四屆國際漢學會議論文集" 中央硏究院 2013

      9 崔溶澈, "第三屆中國小說戱曲國際學術硏討會論文集" 里仁書局 2008

      10 喬光輝, "明代剪燈系列小說硏究"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6

      11 杜貴晨, "揷圖本中國文學小叢書" 春風文藝出版社 1999

      12 李明九, "國學資料 제6호(총제18호)" 장서각 1974

      13 李禎, "古本小說叢刊 제5집 제1책" 中華書局 1990

      14 李禎, "剪燈餘話 (韓日合綴本)"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Cultural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6-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Korean Culture ->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민족문화연구 29호 -> 민족문화연구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1 0.7 1.385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