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기업메세나와 전통예술공연 활성화 방안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048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시대의 변화와 함께 문화는 새로운 국가 경쟁력의 결정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 기업은 경제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다. 기업은 본연의 영리추구를 위한 활동 외에 공익을 위해...

      시대의 변화와 함께 문화는 새로운 국가 경쟁력의 결정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 기업은 경제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다. 기업은 본연의 영리추구를 위한 활동 외에 공익을 위해 기업이 가진 보유자원을 활용해 사회를 풍요롭고 활기차게 유지할 책임이 존재하며 이러한 책임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점점 커지고 있다.
      기업메세나는 기업의 사회적 활동과 차이가 있지만 홍보적 성격을 띤 사회적 활동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두산, 삼성 등의 대기업과 중소기업들도 포함되어 적극적인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국내 기업의 메세나 활동은 1990년대 시작되어 2000년대 초반에 안정된 상황에 놓이게 된다. 월드컵과 같은 국제적 행사를 통해 많은 기업이 문화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시작했으며, 이러한 지원이 기업메세나 활동의 촉진을 유발했다.
      문제는 기업메세나 활동의 지원 대상이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주로 미술, 서양음악, 문화예술 인프라 등의 분야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러한 경향으로 문화예술 분야의 불균형 성장이 야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해 기업메세나와 전통예술공연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고려 사항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국가별 메세나 정책과 사례도 살펴보았다. 또한 실증분석을 통해 기업메세나 활동의 인지도와 만족도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총 5장으로 구성되었다. 연구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1장에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연구의 방법과 구성등을 정리하였다. 제2장에서는 기업메세나 연구와 전통예술공연 연구에 대한 이론적 배경에 대해 기술하였다. 제3장에서는 기업메세나 현황과 각국의 메세나 정책을 살펴보고, 2016년 이후에 공연되고 있는 전통예술공연 프로그램을 소개하였다. 제4장에서는 기업메세나와 인지도, 그리고 만족도의 관계를 실증분석하였으며, 제6장에서 활성화 방안을 위한 결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면 기업의 메세나 활동의 수단으로 전통예술공연이 활용되어야 할 이유를 넒은 개념에서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이유를 제시할 수 있다. 하나는 전통예술공연을 기업이 마케팅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다. 첫째, 기업은 전통예술공연은 마케팅 수단으로서 인식하고 있다. 기업의 소비자의 높아진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마케팅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전통예술공연을 활용한 기업의 메세나 활동은 기업이 문화 활동을 지원함으로써 가치를 향상시키는 가치경영을 가능하게 한다. 둘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서 메세나 활동이다. 다변화되고 있는 기업의 경영활동에 문화적 요소를 결합시켜 기업의 높은 수준의 사회적 기업으로 변화될 수 있으며, 지속가능한 성장이 이어 갈 수 있다. 또한 전통예술공연은 인적자원의 잠재능력을 높게 끌어올려 내부 직원의 생산성 증대, 직원만족도 증가 등의 인적자원 활성화를 통해 조직경영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다.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330분가 배포되어 193부가 최종 분석되었다. 설문지는 5점 리커트 척도로 진행되었다. 설문지는 일반적 소비특성에 대한 분석과 인지도와 만족도에 대한 분석, 그리고 요인을 도출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전통예술공연에 대한 인지도 분석에서 공통성(communality)이 0.590로 0.4이상으로 나타남에 따라 측정한 자료가 요인분석을 실시하는데 무리가 없었으며 분석결과 ‘긍정적 인지’와 ‘정보와 관심’으로 이름을 붙였으며, 0.604의 신뢰도 계수를 나타냈다. 전통예술공연에 대한 만족도 분석에서 공통성(communality)도 모두 0.568 이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는데 무리가 없었으며, 분설결과 ‘외부적 만족’과 ‘내부적 만족’으로 명명하였으며, 이 요인을 구성하는 문항들의 신뢰도 계수는 0.812로 나타났다. 전통예술공연을 활용한 기업의 메세나 활동에 대한 문항들에 대해 요인분석 실시 전 측정한 자료와 요인분석의 가정을 만족시키는지 알아보았는데, 분석 결과 두 가지 요인이 추출되어 ‘메세나 활동’‘메세나 효과’로 명명하였으며, 신뢰도 계수는 0.866으로 나타났다.
      연구가설에 대해 검증한 결과 가설1은 ‘기업메세나 활동은 전통예술공연 인지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로 설정되었으며하였. 분석결과 부분적으로 정의 효과가 나타났다. 가설2는 ’기업메세나 활동은 전통예술공연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로 설정하였으며, 분석결과 메세나 활동 증가에 따라 외부적 만족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를 보였으나, 메세나 효과는 부(-)의 관계를 나타냈다. 가설3은 ’전통예술공연 인지도는 전통예술공연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로 설정하였으며, 분석결과 긍정적 인지와 정보와 관심 요인이 증가할수록 외부적 만족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를 나타냈다.
      이상의 문헌연구과 실증연구를 바탕으로 기업메세나의 방법으로 전통예술공연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예술공연 산업이라는 인식의 확대가 필요하다. 전통예술공연도 개인의 활동이라기보다는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산업적 성격을 각지고 있다. 둘째, 전통예술공연의 상품성 확보이다. 대중의 음악적 취향은 항상 변화된다.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사회적 사상의 변화 등과 함께 전통예술공연에 대한 관심도 꾸준히 변화되는 것이다. 셋째, 전통예술공연에 대한 지원 확충이다. 전통공연에 대한 지원은 현대공연인 연극, 음악에 대한 지원보다 부족하다. 넷째, 전통예술공연의 유통경로 확보이다. 유통경로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공연장 확충이 먼저일 것이다. 문화예술 공연장은 상품과 소비자를 연결시키는 매개체이다. 다섯째, 전통예술공연에 대한 홍보가 체계적이지 못하다는 점이다.
      공연의 정보를 얻는 경로는 친인척이나, 동료 등의 주변 사람들에 권유가 많았다. 기업메세나를 통해 전통예술공연과 기업이 상생(win-win)하기 위해서는 기업과 문화예술계의 상호적 필요성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기업은 기업메세나를 통해 기업의 이미지, 사회적 기여 등을 통해 순수예술의 발전을 이끌 필요가 있고, 문화예술은 이러한 기업의 노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목적 •••••••••••••••••••••••••••••••••••••••••••••••••••••••••••••••••••••••••••••••••••••••••••••••••••••••••••••••1
      • 2. 선행연구 •••••••••••••••••••••••••••••••••••••••••••••••••••••••••••••••••••••••••••••••••••••••••••••••••••••••••••••••2
      • 3. 연구방법 •••••••••••••••••••••••••••••••••••••••••••••••••••••••••••••••••••••••••••••••••••••••••••••••••••••••••••••••5
      • Ⅰ. 서론 •••••••••••••••••••••••••••••••••••••••••••••••••••••••••••••••••••••••••••••••••••••••••••••••1
      • 1. 연구목적 •••••••••••••••••••••••••••••••••••••••••••••••••••••••••••••••••••••••••••••••••••••••••••••••••••••••••••••••1
      • 2. 선행연구 •••••••••••••••••••••••••••••••••••••••••••••••••••••••••••••••••••••••••••••••••••••••••••••••••••••••••••••••2
      • 3. 연구방법 •••••••••••••••••••••••••••••••••••••••••••••••••••••••••••••••••••••••••••••••••••••••••••••••••••••••••••••••5
      • Ⅱ. 기업메세나의 정의와 현황 •••••••••••••••••••••••••••••••••••••••••••••••••••••••••••••••••••••••••••••••7
      • 1. 기업메세나의 정의 •••••••••••••••••••••••••••••••••••••••••••••••••••••••••••••••••••••••••••••••••••••••••••••7
      • 2. 기업메세나의 필요성과 목적 •••••••••••••••••••••••••••••••••••••••••••••••••••••••••••••••••••••••••••9
      • 1) 기업메세나의 필요성 •••••••••••••••••••••••••••••••••••••••••••••••••••••••••••••••••••••••••••••••••••9
      • 2) 기업 메세나의 목적 ••••••••••••••••••••••••••••••••••••••••••••••••••••••••••••••••••••••••••••••••••12
      • 3. 기업메세나의 효과와 정책 ••••••••••••••••••••••••••••••••••••••••••••••••••••••••••••••••••••••••••••14
      • 1) 기업메세나의 효과 ••••••••••••••••••••••••••••••••••••••••••••••••••••••••••••••••••••••••••••••••••••14
      • 2) 메세나 정책 방향 ••••••••••••••••••••••••••••••••••••••••••••••••••••••••••••••••••••••••••••••••••••••17
      • 4. 해외 기업메세나 사례연구 ••••••••••••••••••••••••••••••••••••••••••••••••••••••••••••••••••••••••••28
      • 1) 유니레버(Unilever) •••••••••••••••••••••••••••••••••••••••••••••••••••••••••••••••••••••••••••••••••••28
      • 2) 피말락(Fimalac) 그룹 •••••••••••••••••••••••••••••••••••••••••••••••••••••••••••••••••••••••••••••••29
      • 3) BMW(Bayerisches Motorwerk) •••••••••••••••••••••••••••••••••••••••••••••••••••••••••••30
      • 4) Deutsche Bank •••••••••••••••••••••••••••••••••••••••••••••••••••••••••••••••••••••••••••••••••••••••••32
      • 5) 포드재단(The Ford Foundation) ••••••••••••••••••••••••••••••••••••••••••••••••••••••••••33
      • 6) 블룸버그 자선재단(The Bloomberg Philanthropies) ••••••••••••••••••••••34
      • 7) Google Cultural Institute (GCI) ••••••••••••••••••••••••••••••••••••••••••••••••••••••••••35
      • 8) 아사히맥주예술문화재단 ••••••••••••••••••••••••••••••••••••••••••••••••••••••••••••••••••••••••••36
      • 9) 베네세 그룹(Benesse Corporation) •••••••••••••••••••••••••••••••••••••••••••••••••••••37
      • 10) 재팬타바코문화재단(아피니스문화재단) •••••••••••••••••••••••••••••••••••••••••••••38
      • 11) 금호아시아나 그룹 ••••••••••••••••••••••••••••••••••••••••••••••••••••••••••••••••••••••••••••••••••40
      • 12) CJ그룹 •••••••••••••••••••••••••••••••••••••••••••••••••••••••••••••••••••••••••••••••••••••••••••••••••••••••42
      • Ⅲ. 기업메세나와 전통예술공연 지원 ••••••••••••••••••••••••••••••••••••••••••••••••••••••••••••••••43
      • 1. 기업메세나와 전통예술공연의 매치업 필요성 ••••••••••••••••••••••••••••••••••••••••••43
      • 2. 국내 전통예술공연 지원 사례 ••••••••••••••••••••••••••••••••••••••••••••••••••••••••••••••••••••••45
      • 1) 뮤지컬 공연 ••••••••••••••••••••••••••••••••••••••••••••••••••••••••••••••••••••••••••••••••••••••••••••••••45
      • 2) 판소리 공연 ••••••••••••••••••••••••••••••••••••••••••••••••••••••••••••••••••••••••••••••••••••••••••••••••45
      • 3) 고전 각색 공연 ••••••••••••••••••••••••••••••••••••••••••••••••••••••••••••••••••••••••••••••••••••••••••46
      • 4) 협업을 통한 공연 ••••••••••••••••••••••••••••••••••••••••••••••••••••••••••••••••••••••••••••••••••••47
      • 3. 기업메세나 및 전통예술 지원 현황 ••••••••••••••••••••••••••••••••••••••••••••••••••••••••••47
      • 1) 한국의 공연예술 지원 현황 ••••••••••••••••••••••••••••••••••••••••••••••••••••••••••••••••••••47
      • 2) 전통예술공연 현황 ••••••••••••••••••••••••••••••••••••••••••••••••••••••••••••••••••••••••••••••••••••50
      • 3) 기업메세나 활동의 문제점 ••••••••••••••••••••••••••••••••••••••••••••••••••••••••••••••••••••••55
      • Ⅳ. 연구설계 및 실증분석 ••••••••••••••••••••••••••••••••••••••••••••••••••••••••••••••••••••••••••••••••••••••61
      • 1. 조사 및 연구설계 ••••••••••••••••••••••••••••••••••••••••••••••••••••••••••••••••••••••••••••••••••••••••••••61
      • 2. 연구가설의 검증 ••••••••••••••••••••••••••••••••••••••••••••••••••••••••••••••••••••••••••••••••••••••••••••••66
      • 3. 실증분석결과 ••••••••••••••••••••••••••••••••••••••••••••••••••••••••••••••••••••••••••••••••••••••••••••••••••••68
      • 4. 기업메세나와 전통예술공연 활성화 방안 ••••••••••••••••••••••••••••••••••••••••••••••••••85
      • V. 결 론 •••••••••••••••••••••••••••••••••••••••••••••••••••••••••••••••••••••••••••••••••••••••••••••••••••••••••95
      • 참고문헌 ••••••••••••••••••••••••••••••••••••••••••••••••••••••••••••••••••••••••••••••••••••••••••••••••••••102
      • 부록-설문지 •••••••••••••••••••••••••••••••••••••••••••••••••••••••••••••••••••••••••••••••••••••••••••••••••••••107
      • ABSTRACT ••••••••••••••••••••••••••••••••••••••••••••••••••••••••••••••••••••••••••••••••••••••••••••••••••••••••••••••116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임연철, "문화예술 마케팅", 커뮤니케이션북스, 커뮤니케이션북스. pp.37-43, 2007

      2 이재희, "『공연예술경제학』", 삼영사, 삼영사. p.39, 2009

      3 김선영, "무용공연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4 이은미, "“국내 외 문화재단 비교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국제관계대학 원 학위논문, 2009

      5 노진아, "“전통예술공연 발전방안 연구”", 한국예술종합학교 학위논문, 2017

      6 구문모, 김재범, "“기업 문화재단 발전방안 연구”", 한국문화경제학회 용 역보고서, 메세나 연구보고서, p.25, 2015

      7 전경련, "“기업, 기업재단 사회공헌 백서”", 1998

      8 소병희, "기업 메세나 활동에 관한 연구 개관", 한국문화경제학회, 『문화경제연구』, 4(2): 22-30, 2001

      9 김세훈, "「주요 외국의 문화예산 비교 연구」",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3

      10 김혜민, "“국내외 기업문화재단에 관한 비교연구”", 경희대학교 학위논문, 2009

      1 임연철, "문화예술 마케팅", 커뮤니케이션북스, 커뮤니케이션북스. pp.37-43, 2007

      2 이재희, "『공연예술경제학』", 삼영사, 삼영사. p.39, 2009

      3 김선영, "무용공연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4 이은미, "“국내 외 문화재단 비교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국제관계대학 원 학위논문, 2009

      5 노진아, "“전통예술공연 발전방안 연구”", 한국예술종합학교 학위논문, 2017

      6 구문모, 김재범, "“기업 문화재단 발전방안 연구”", 한국문화경제학회 용 역보고서, 메세나 연구보고서, p.25, 2015

      7 전경련, "“기업, 기업재단 사회공헌 백서”", 1998

      8 소병희, "기업 메세나 활동에 관한 연구 개관", 한국문화경제학회, 『문화경제연구』, 4(2): 22-30, 2001

      9 김세훈, "「주요 외국의 문화예산 비교 연구」",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3

      10 김혜민, "“국내외 기업문화재단에 관한 비교연구”", 경희대학교 학위논문, 2009

      11 전혜정, "“국악 문화 활동의 소비 행태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언론 대학원 학위논문, 2010

      12 박진희, 배기형, 정재윤, "한국 무용 공연상품의 메세나지원 활성화 방안", 한국상품학회, 상품학 연구, vol.35, no.3, pp.127-137, 2017

      13 박민생, "“기업메세나활동의 동기와 효과에 관한 고찰”", 대한경영정보학회, 대한경영정보학 회 경영정보연구, 제28권 제3호, p.130, 2009

      14 김경아, "“기업메세나의 현황과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학위논문, 2002

      15 김정은, "한국과 일본 기업 문화재단의 메세나 활동 비교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 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p.59, 2013

      16 신보현, "“기업 메세나가 기업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연구”", 고려대학 교 언론대학원 학위논문, p, 2008

      17 서은희, "“문화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파트너십에 관한 연구”", 추계예술 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학위논문, 2008

      18 이지훈, "“기업의 문화예술 분야 파트너십 유형에 관한 연구“", 추계예술 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학위논문, p.55, 2016

      19 김소영, 이병권, 남정숙, 김민주, "『문화기업의 비밀: 컬처노믹스 시대 의 문화마케팅』", 한국메세나협의회, 메세나 협의회, 2008

      20 정석순, "기업의 문화마케팅이 브랜드 자산 형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중앙 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2003

      21 김경현, "기업메세나 지원을 통한 한국전통무용 활성화 방안연구", 숙명 여자대학교 학위논문, 2007

      22 김선화, 이영선, "문화경영이 기업의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 구",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2011

      23 김예성, 송애정, "“지역활성화 전략 측면에서 본 일본 기업메세나 활동 연구”", 한국지역경제학회, 한국지역경제학회 한국지역경제연구 제22집, pp.175-195, 2012

      24 성재형, "“전통무용공연 관람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무용연구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 한국무용연구학회, pp.29-33, 2015

      25 김지훈, "기업의 문화마켓팅 사례 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 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6 김복희, "“선진 주요국가의 문화산업 및 예술지원정책에 대한 비교 연구”", 중앙 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문화예술경영전공, 학위 논문, 2009

      27 조수희, "“기업의 문화예술지원활동이 경영성과 및 기업 가치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숙 명여자대학교 문화관광학과 문화예술경영전공, 학위논문, 2013

      28 이문희, "“순수전통예술공연예술과 전통예술공연산업의 상호발전을 위한 제안”", 충청대학교 학술지, p.91, 2004

      29 박용기, "“민간섹터의 예술지원에 관한 연구: 미국의 순수창작예술사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학위 논문, 2011

      30 김경희, "「축제 서비스품질이 축제 이미지와 지각된 가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31 김용만, 정희선, 서희정, "기업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의 스포츠 스 폰서십과 메세나의 인과적 모형비교 연구",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지』, 42(4) : 464-469, 2003

      32 공재민, "“전통예술공연의 서비스품질에 따른 관객의 만족도 연구: 2014년 국립극장 공연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학위논문, 2015

      33 문혜옥, "“전통문화예술에 대한 관객감정과 브랜드 인식, 브랜드 이미 지가 고객만족과 재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남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5

      34 정겨운, "“대구 축제 문화상품에 대한 외국인 관광객의 인식이 지역이 미지, 관광객 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경영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35 정세일, "“전통예술공연 콘텐츠산업의 성과 결정 요인에 과한 연구-전통 예술공연 산업 클리스터의 혁신성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