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가 무용경연에 참가하는 의미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 교사의 무용경연 참가 경험을 통해 창의적인 삶의 태도와 무용을 통한 예술적 신체활동의 의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158750
2024
-
초등학교 ; 교사 ; 무용경연 ; Elementary school ; Teacher ; Dance competition
375
KCI등재
학술저널
29-40(1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가 무용경연에 참가하는 의미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 교사의 무용경연 참가 경험을 통해 창의적인 삶의 태도와 무용을 통한 예술적 신체활동의 의미...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가 무용경연에 참가하는 의미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 교사의 무용경연 참가 경험을 통해 창의적인 삶의 태도와 무용을 통한 예술적 신체활동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함께 설문지, 무용경연 요강, 무용경연 신청서 등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G 교육대학교 체육교육과에서 주관하는 ‘전국 초등학교 교사 무용경연’에 참가한 초등학교 교사들 중 독무 참가자 7명과 군무 참가팀 대표 6명, 총 13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무용경연이 끝난 후 온라인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1주일 후에 10명의 답을 받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경연 참가는 무용 활동의 원동력이 된다. 둘째, 무용경연 참가는 무용 전문성을 신장시킨다. 셋째, 무용경연 참가는 무용 열정에 동력을 얻는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무용경연의 발전과 초등학교 교사의 무용 활동 촉진, 더 나아가 교육 현장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위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초등학교 교사의 무용경연 참가는 무용에 관심있는 교사에게 자아실현의 계기와 실력 향상을 통해 지속적인 무용 활동을 할 수 있다는 다양한 관점에서 무용경연의 운영 방안 연구가 필요하다. 초등학교 교사가 무용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무용경연에 참가할 수 있도록 다양한 무용 장르를 만날 수 있는 수업이나 연수 등에 관한 연구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초등학교 교사에게 무용 활동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평생교육으로 활기찬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해당 학교나 교육청 등 관계 단체의 무용 실력 향상과 전문성 신장, 교류 증진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무용경연에 관한 많은 지원과 SNS(Social Network Service), 포스터 등 다양한 채널을 활용하여 적극적으로 홍보함으로써 무용경연 참가자 확대와 관심 제고가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ing in dance competitions. Through the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ing in dance competitions, it aims to understand the creative attitu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ing in dance competitions. Through the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ing in dance competitions, it aims to understand the creative attitude toward life and the meaning of artistic physical activity through dance.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various data, including questionnaires, dance competition guidelines, and dance competition applications, along with literature research. In this study, a total of 13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Dance Competition’ hosted by th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at G University of Education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including 7 solo dance participants and 6 group dance team representatives. After the dance competition ended,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online, and 10 responses were received one week later.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participation in dance competitions becomes the driving force of dance activities. Second, participation in dance competitions increases dance expertise. Third, participation in dance competitions is fueled by passion for dance.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researcher would like to make several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dance competitions, promo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ance activities, and further positive influence on the educational fiel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ion in dance competitions is an opportunity for self-realization for teachers interested in dance, an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management of dance competitions from various perspectives that can enable continuous dance activities through skill improvement. Research is also needed on classes and training to enab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dance activities and participate in dance competitions. Lastly, the dance competition is designed to maximize positive effects such as improving dance skills, increasing professionalism, and promoting exchanges for relevant organizations such as schools, offices of education, etc., so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n live active lives through lifelong education in their daily lives through dance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dance competitions and increase interest in them by providing a lot of support and actively promoting them through various channels such as SNS (Social Network Service) and posters.
목차 (Table of Contents)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자세추정 앱을 이용한 피드백이 제자리 멀리뛰기 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 캐나다 초등학교의 체조교육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초등학교 1·2학년 체육교과 분리에 대한 교사 인식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