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類개념에 대한 公孫龍의 인식과 활용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公孫龍子』 「通變論」의 類개념과 매거논증을 물건의 존재 양상에 관한 「白馬論」, 「指物論」, 「堅白論」, 「名實論」의 담론과 연계하여 고찰함으로써 公孫龍이 類개념을 어떻게 인식하고 활용하고 있는지를 규명한다. 類개념에 대한 公孫龍의 인식과 활용은 類之同과 類之不同의 변별을 기초로 한다. 類개념에 대한 墨子의 인식과 활용이 同類와 非類의 변별을 기초로 하고, 孟子의 인식과 활용이 同類와 不同類의 변별을 기초로 하는 것과 흡사하다. 그러나 公孫龍은 類개념을 인식하거나 활용하는 데 있어서 墨子나 孟子와 차별되는 특징을 보인다. 첫째, 公孫龍은 기본적으로 가치 판단보다는 사실 판단을 더 중시하고 그것도 물건에 대한 지칭과 관련하여 개념 명사와 그 의미의 일치를 문제 삼는다. 둘째, 公孫龍은 類之同과 類之不同을 변별하기 위한 ‘명확한 표준’을 매거의 문제로 드러내고 잘못된 매거논증과 올바른 매거논증, 잘못된 매거와 올바른 매거, 올바른 명실 관계와 올바르지 못한 명실 관계 등을 구별한다. 셋째, 公孫龍은 집합을 중심으로 전체 집합과 집합의 원소가 서로 같은지 서로 다른지를 二無一정확하게는 二非一의 명제로 다루어간다.
      번역하기

      이 글은 『公孫龍子』 「通變論」의 類개념과 매거논증을 물건의 존재 양상에 관한 「白馬論」, 「指物論」, 「堅白論」, 「名實論」의 담론과 연계하여 고찰함으로써 公孫龍이 類개념을 ...

      이 글은 『公孫龍子』 「通變論」의 類개념과 매거논증을 물건의 존재 양상에 관한 「白馬論」, 「指物論」, 「堅白論」, 「名實論」의 담론과 연계하여 고찰함으로써 公孫龍이 類개념을 어떻게 인식하고 활용하고 있는지를 규명한다. 類개념에 대한 公孫龍의 인식과 활용은 類之同과 類之不同의 변별을 기초로 한다. 類개념에 대한 墨子의 인식과 활용이 同類와 非類의 변별을 기초로 하고, 孟子의 인식과 활용이 同類와 不同類의 변별을 기초로 하는 것과 흡사하다. 그러나 公孫龍은 類개념을 인식하거나 활용하는 데 있어서 墨子나 孟子와 차별되는 특징을 보인다. 첫째, 公孫龍은 기본적으로 가치 판단보다는 사실 판단을 더 중시하고 그것도 물건에 대한 지칭과 관련하여 개념 명사와 그 의미의 일치를 문제 삼는다. 둘째, 公孫龍은 類之同과 類之不同을 변별하기 위한 ‘명확한 표준’을 매거의 문제로 드러내고 잘못된 매거논증과 올바른 매거논증, 잘못된 매거와 올바른 매거, 올바른 명실 관계와 올바르지 못한 명실 관계 등을 구별한다. 셋째, 公孫龍은 집합을 중심으로 전체 집합과 집합의 원소가 서로 같은지 서로 다른지를 二無一정확하게는 二非一의 명제로 다루어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relations between the concept of ‘lei [類]’ and inductions by enumeration in tōng-biàn theory [通辯論] and discussions about materials and modalities of being in white-horse theory [白馬論], pointing- thing theory [指物論], hardness-whiteness theory [堅白論], name-material theory [名實論]. This examination aims to reveal how Gōngsūn Lóng recognized and utilized the concept of ‘lei[類]’ that is similar to the generic concept in Aristotelian Logic.
      Gōngsūn Lóng’s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lei [類] was based on discrimination between that of the same class and a different kind of being, similar to Mencius’ recognition and utilization. But unlike Mencius, Gōngsūn Lóng made a unique assertion about them. First of all, he was more concerned with factual judgement than moral judgment, so the coincidence between term and meaning of ward was taken more seriously. Secondly, he emphasized well defined criteria of inductions by enumeration, and then distinguished sameness and differentiation between correct and incorrect inductions by enumeration. Thirdly, he dealt with the proposition of ‘two is not one’ that asserts whether universal set and element of set are the same or different.
      번역하기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relations between the concept of ‘lei [類]’ and inductions by enumeration in tōng-biàn theory [通辯論] and discussions about materials and modalities of being in white-horse theory [白馬論], pointing- thing ...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relations between the concept of ‘lei [類]’ and inductions by enumeration in tōng-biàn theory [通辯論] and discussions about materials and modalities of being in white-horse theory [白馬論], pointing- thing theory [指物論], hardness-whiteness theory [堅白論], name-material theory [名實論]. This examination aims to reveal how Gōngsūn Lóng recognized and utilized the concept of ‘lei[類]’ that is similar to the generic concept in Aristotelian Logic.
      Gōngsūn Lóng’s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lei [類] was based on discrimination between that of the same class and a different kind of being, similar to Mencius’ recognition and utilization. But unlike Mencius, Gōngsūn Lóng made a unique assertion about them. First of all, he was more concerned with factual judgement than moral judgment, so the coincidence between term and meaning of ward was taken more seriously. Secondly, he emphasized well defined criteria of inductions by enumeration, and then distinguished sameness and differentiation between correct and incorrect inductions by enumeration. Thirdly, he dealt with the proposition of ‘two is not one’ that asserts whether universal set and element of set are the same or differ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개요
      • 1. 서론
      • 2. 類개념 인식
      • 3. 類개념 활용
      • 4. 결어
      • 논문개요
      • 1. 서론
      • 2. 類개념 인식
      • 3. 類개념 활용
      • 4. 결어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철신, "후기묵가의 공손룡 비판 고찰 -사물과 인식의 문제를 중심으로-" 철학연구회 (82) : 21-35, 2008

      2 김철신, "중국 고대철학사의 맥락에서 재조명한 『공손룡자』의 사유방식과 세계이해" 한국동양철학회 (33) : 73-94, 2010

      3 이상수, "유의 논리철학 연구: 순자의 '통류'와 한비의 '지류'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4 이경무, "유개념에 대한 맹자의 인식과 활용" 한국공자학회 (29) : 173-204, 2015

      5 풍우란, "완역판 중국철학사 상" 까치글방 2017

      6 A. C. Graham, "도의 논쟁자들: 중국 고대 철학 논쟁" 새물결 2001-, 2001

      7 곽강제, "논리학" 박영사 2004

      8 강지연, "공손룡의 「통변론(通變論)」 연구" 한국동서철학회 (61) : 355-375, 2011

      9 김철신, "공손룡(公孫龍) 철학 이해의 한 방식" 한국철학회 (82) : 47-68, 2005

      10 손영식, "것'의 부정과 세계의 중심: 정재현 교수의 비판에 답함" 철학사상연구소 (26) : 173-209, 2007

      1 김철신, "후기묵가의 공손룡 비판 고찰 -사물과 인식의 문제를 중심으로-" 철학연구회 (82) : 21-35, 2008

      2 김철신, "중국 고대철학사의 맥락에서 재조명한 『공손룡자』의 사유방식과 세계이해" 한국동양철학회 (33) : 73-94, 2010

      3 이상수, "유의 논리철학 연구: 순자의 '통류'와 한비의 '지류'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4 이경무, "유개념에 대한 맹자의 인식과 활용" 한국공자학회 (29) : 173-204, 2015

      5 풍우란, "완역판 중국철학사 상" 까치글방 2017

      6 A. C. Graham, "도의 논쟁자들: 중국 고대 철학 논쟁" 새물결 2001-, 2001

      7 곽강제, "논리학" 박영사 2004

      8 강지연, "공손룡의 「통변론(通變論)」 연구" 한국동서철학회 (61) : 355-375, 2011

      9 김철신, "공손룡(公孫龍) 철학 이해의 한 방식" 한국철학회 (82) : 47-68, 2005

      10 손영식, "것'의 부정과 세계의 중심: 정재현 교수의 비판에 답함" 철학사상연구소 (26) : 173-209, 2007

      11 이경무, "類개념에 대한 墨子의 인식과 활용" 한국공자학회 (38) : 183-215, 2019

      12 정재현, "公孫龍과 後期墨家에 대한 화용론적 해석" 철학연구소 21 : 61-88, 2010

      13 염정삼, "先秦시기 有指와 無指의 논전 - 公孫龍子 指物論을 중심으로 -" 한국중국학회 (71) : 467-492, 2015

      14 李匡武, "中國邏輯史(先秦~現代)" 甘肅人民出版社 1989

      15 勞思光, "中國哲學史(古代篇)" 探求堂 1986

      16 김철신, "中國 古代 論辯思潮의 재발견 - 惠施, 公孫龍, 後期墨家를 중심으로 -" 새한철학회 3 (3): 357-375, 2008

      17 손영식, "『공손룡자』 「지물론」 해석 - 지(指)와 속성 보편주의" 철학연구소 24 : 7-36, 2011

      18 손영식, "『공손룡자』 「백마론」 연구 - 실체와 속성, 존재와 인식 -" 철학연구소 43 : 167-194, 2015

      19 손영식, "『공손룡자』 「견백론」 연구 - 실체의 부정과 속성 보편주의" 동양고전연구소 (32) : 95-128, 2015

      20 오상무, "‘白馬非馬’ 論考" 한국동양철학회 (38) : 25-57, 2012

      21 Chad Hansen,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Routledge 693-703, 1998

      22 Chad Hansen, "Language and Logic in Ancient China" University of Michigan 1983

      23 Chad Hansen, "Chinese Language, Chinese Philosophy, and Truth" 44 (44): 491-519, 1985

      24 김철신, "<<공손룡자>>의 세 주석에 대한타당성 고찰" 동양철학연구회 (51) : 157-182, 2007

      25 손영식, "'공손룡자' 「명실론」 연구 - 속성 지각과 개별자 지시 -" 철학연구소 28 : 7-37,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5 0.984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