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비만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와 심대사성 위험요인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S구, J구 보건소의 대사증후군 센터네 내원한 주민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519141
서울 :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2011
한국어
서울
Associations between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in obese middle-aged women
vi, 69 p. : 도표 ; 26 cm
단면인쇄임
부록수록
지도교수: 추진아
참고문헌: p 46-5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비만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와 심대사성 위험요인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S구, J구 보건소의 대사증후군 센터네 내원한 주민들 ...
본 연구의 목적은 비만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와 심대사성 위험요인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S구, J구 보건소의 대사증후군 센터네 내원한 주민들 중 만18세 이상 65세 미만, BMI ≧ 25㎏/㎡ 인 비만 중년여성 63명을 대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이후에 연구자가 직접 심대사성 위험요인인 생리적 지표 검사를 실시하였다. 건강증진행위 수준은 건강증진 생활양식 도구 Ⅱ(HPLP Ⅱ)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건강증진 생활양식 도구 Ⅱ는 건강책임, 신체활동, 영양, 정신적성장, 스트레스관리의 6개의 하위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을 산출하였으며,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건강증진행위총점과 심대사성 위험요인과의 관련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건강증진행위의 6개의 하부영역 중에서 신체활동(Beta=-.27, p=.028)과 영양(Beta=-.25, p=.032)은 심대사성 위험요인중 하나인 허리둘레와 유의한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 영역은 중성지방(Beta=-.25, p=.046)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셋째, 건강증진행위 수준과 대사증후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건강증진생활양식 도구 의 하부영역인 신체활동과 영양이 심대사성 위험요인 중 허리둘레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으며, 영양 영역은 중성지방과도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심대사성 위험요인의 수준이 부분적으로 건강증진행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건강증진행위총점과 심대사성 위험요인과는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고, 대사증후군 유병률과도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연구 참여자들이 서울시 2개 보건소에 표출된 표본이기 때문에 우리나라 비만 중년여성을 대표하는 표본이라 할 수 없고, 둘째, 건강증진행위와 심대사성 위험요인을 횡단적으로 자료수집 하였기 때문에 원인과 상관관계 보장을 할 수 없다. 셋째, 건강증진행위의 하부영역 일부와 심대사성 위험요인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에도 불구하고 건강증진행위와 총점과의 관련성이 없었기 때문에 표본의 크기를 높인 차후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처음으로 비만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행위와 생리적 지표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한데 의의가 크다. 특히 건강증진행위 가운데서 신체활동과 영양이 허리둘레와 관련이 있다는 연구결과는 심혈관질환예방을 위한 건강결과 지표인 심대사성 위험요인이 건강증진 생활양식 도구에 의해 측정된 건강증진행위에 의해 일부 반영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앞으로 건강증진행위와 건강결과와의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