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중국, 일본의 초등학교 통합교과용 교과서 비교 분석 = A Comparative Analysis of Elementary Integrated Textbooks of Korea, China and Jap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208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eeking some pointers to compilation of a integrated textbook of better quality by comparing our elementary school integrated textbook with those of other countries and analyzing them. One unit(chapter) of each integrated textbook of Korea, China, and Japan was selected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etup of organization of units and of the presentation form of educational contents and activities. As a result, some ideas to supplement for the integrated textbooks of Korean elementary school are proposed, as follows. First, needing to decrease the number of study issues with improving present form which repeatedly states key words having the same lesson title, goal, and study issues. It would be one of the solutions to unify lesson title with goal and state. Second, needing to get diversity of study and presentation form of educational contents and activities. Using some characters or illustrations as well as having various types of text message contents. Third, if intending to apply present form to post-textbook, take the suggestion of making storylines in each chapter. supposing some character is set of heros in a textbook or each chapter, the storyline could be formed by it.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seeking some pointers to compilation of a integrated textbook of better quality by comparing our elementary school integrated textbook with those of other countries and analyzing them. One unit(chapter) of each integrated textbook o...

      This study aims to seeking some pointers to compilation of a integrated textbook of better quality by comparing our elementary school integrated textbook with those of other countries and analyzing them. One unit(chapter) of each integrated textbook of Korea, China, and Japan was selected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etup of organization of units and of the presentation form of educational contents and activities. As a result, some ideas to supplement for the integrated textbooks of Korean elementary school are proposed, as follows. First, needing to decrease the number of study issues with improving present form which repeatedly states key words having the same lesson title, goal, and study issues. It would be one of the solutions to unify lesson title with goal and state. Second, needing to get diversity of study and presentation form of educational contents and activities. Using some characters or illustrations as well as having various types of text message contents. Third, if intending to apply present form to post-textbook, take the suggestion of making storylines in each chapter. supposing some character is set of heros in a textbook or each chapter, the storyline could be formed by i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부, "학교 1-1" 지학사 2014

      2 김재춘,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내용 구성 방식 비교 연구- 한국, 일본, 미국, 영국을 중심으로 -" 한국비교교육학회 17 (17): 157-184, 2007

      3 정광순, "초등학교 1, 2학년 교과서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23-43, 2010

      4 홍미라, "수학 교과서 비교연구 논문에 관한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 44 (44): 201-214, 2005

      5 정광순, "교과서 개발 방식 및 집필 지침" 10 : 24-62, 2011

      6 "品德与生活 1上" 人民敎育出版社 2014

      7 "どきどき わくわく あたらしい せいかつ 上" 東京書籍 2011

      8 김세영,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통합교과 교육과정 및 통합 교과서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의견 분석"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8 (8): 43-72, 2014

      1 교육부, "학교 1-1" 지학사 2014

      2 김재춘,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내용 구성 방식 비교 연구- 한국, 일본, 미국, 영국을 중심으로 -" 한국비교교육학회 17 (17): 157-184, 2007

      3 정광순, "초등학교 1, 2학년 교과서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23-43, 2010

      4 홍미라, "수학 교과서 비교연구 논문에 관한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 44 (44): 201-214, 2005

      5 정광순, "교과서 개발 방식 및 집필 지침" 10 : 24-62, 2011

      6 "品德与生活 1上" 人民敎育出版社 2014

      7 "どきどき わくわく あたらしい せいかつ 上" 東京書籍 2011

      8 김세영,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통합교과 교육과정 및 통합 교과서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의견 분석"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8 (8): 43-72,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1.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3 0.99 1.559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