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독자, 배우, 게이머 - 컴퓨터게임의 미적 경험 = Reader, Actor, and Gamer: The aesthetic experience of computer gam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883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 나는 컴퓨터게임이 제공하는 몰입의 경험이 미적 경험일 수 있음을 논증한다. 이를 위해 나는 먼저 C. 티 응우옌의 ‘행위성의 미학’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그의 이 론이 게임이 제공하는 미적 경험을 해명하는 데 한계가 있음을 지적한다. 게임이 제공할 수 있는 미적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게임만의 독특한 국면보다는 게임이 기존 예술작품과 가지 는 유사한 국면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더 유망한 전략일 수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나는 게임플 레이의 몰입적 경험이 독서나 연기(acting)를 할 때의 몰입적 경험과 유사하다고 주장한다. 그 리고 그 유사성에 기반하여 게임에의 몰입 경험을 분석한다. 게임에 대한 몰입은 ‘상상적 전이’ 의 경험으로서 미적 경험일 수 있다는 것이 나의 주장이다.
      번역하기

      본고에서 나는 컴퓨터게임이 제공하는 몰입의 경험이 미적 경험일 수 있음을 논증한다. 이를 위해 나는 먼저 C. 티 응우옌의 ‘행위성의 미학’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그의 이 론...

      본고에서 나는 컴퓨터게임이 제공하는 몰입의 경험이 미적 경험일 수 있음을 논증한다. 이를 위해 나는 먼저 C. 티 응우옌의 ‘행위성의 미학’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그의 이 론이 게임이 제공하는 미적 경험을 해명하는 데 한계가 있음을 지적한다. 게임이 제공할 수 있는 미적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게임만의 독특한 국면보다는 게임이 기존 예술작품과 가지 는 유사한 국면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더 유망한 전략일 수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나는 게임플 레이의 몰입적 경험이 독서나 연기(acting)를 할 때의 몰입적 경험과 유사하다고 주장한다. 그 리고 그 유사성에 기반하여 게임에의 몰입 경험을 분석한다. 게임에 대한 몰입은 ‘상상적 전이’ 의 경험으로서 미적 경험일 수 있다는 것이 나의 주장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argue that the immersive experience of computer games can be an aesthetic experience. First, I critically examine C. Thi Nguyen’s theory of ‘aesthetics of agency’ and argue that it has limitations in explaining the aesthetic experience offered by games. To understand the aesthetic experiences that games can afford, it might be more promising to focus on similarities between games and traditional artworks rather than on the unique features of games. I argue that the immersive experience gamers have while playing is similar to the immersive experiences of readers’ reading or actors’ acting. Focusing on this similarity, I analyze the immersive experience in games, proposing that this immersion can be understood as imaginative transportation and classified as an aesthetic experience.
      번역하기

      In this paper, I argue that the immersive experience of computer games can be an aesthetic experience. First, I critically examine C. Thi Nguyen’s theory of ‘aesthetics of agency’ and argue that it has limitations in explaining the aesthetic exp...

      In this paper, I argue that the immersive experience of computer games can be an aesthetic experience. First, I critically examine C. Thi Nguyen’s theory of ‘aesthetics of agency’ and argue that it has limitations in explaining the aesthetic experience offered by games. To understand the aesthetic experiences that games can afford, it might be more promising to focus on similarities between games and traditional artworks rather than on the unique features of games. I argue that the immersive experience gamers have while playing is similar to the immersive experiences of readers’ reading or actors’ acting. Focusing on this similarity, I analyze the immersive experience in games, proposing that this immersion can be understood as imaginative transportation and classified as an aesthetic experienc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