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 나는 컴퓨터게임이 제공하는 몰입의 경험이 미적 경험일 수 있음을 논증한다. 이를 위해 나는 먼저 C. 티 응우옌의 ‘행위성의 미학’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그의 이 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88370
이다민 (서울대학교)
2024
Korean
컴퓨터게임 ; 상상 ; 몰입 ; 미적 경험 ; computer game ; imagination ; immersion ; aesthetic experience
KCI등재
학술저널
63-93(3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 나는 컴퓨터게임이 제공하는 몰입의 경험이 미적 경험일 수 있음을 논증한다. 이를 위해 나는 먼저 C. 티 응우옌의 ‘행위성의 미학’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그의 이 론...
본고에서 나는 컴퓨터게임이 제공하는 몰입의 경험이 미적 경험일 수 있음을 논증한다. 이를 위해 나는 먼저 C. 티 응우옌의 ‘행위성의 미학’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그의 이 론이 게임이 제공하는 미적 경험을 해명하는 데 한계가 있음을 지적한다. 게임이 제공할 수 있는 미적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게임만의 독특한 국면보다는 게임이 기존 예술작품과 가지 는 유사한 국면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더 유망한 전략일 수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나는 게임플 레이의 몰입적 경험이 독서나 연기(acting)를 할 때의 몰입적 경험과 유사하다고 주장한다. 그 리고 그 유사성에 기반하여 게임에의 몰입 경험을 분석한다. 게임에 대한 몰입은 ‘상상적 전이’ 의 경험으로서 미적 경험일 수 있다는 것이 나의 주장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argue that the immersive experience of computer games can be an aesthetic experience. First, I critically examine C. Thi Nguyen’s theory of ‘aesthetics of agency’ and argue that it has limitations in explaining the aesthetic exp...
In this paper, I argue that the immersive experience of computer games can be an aesthetic experience. First, I critically examine C. Thi Nguyen’s theory of ‘aesthetics of agency’ and argue that it has limitations in explaining the aesthetic experience offered by games. To understand the aesthetic experiences that games can afford, it might be more promising to focus on similarities between games and traditional artworks rather than on the unique features of games. I argue that the immersive experience gamers have while playing is similar to the immersive experiences of readers’ reading or actors’ acting. Focusing on this similarity, I analyze the immersive experience in games, proposing that this immersion can be understood as imaginative transportation and classified as an aesthetic experience.
암호화폐를 통한 공동체에 나타나는 무위의 공동체적 요소 연구
사진 미학에 나타난 바니타스 알레고리 연구-볼프강 틸만스의 《정물 Still Life》 연작을 중심으로
반성하는 신체, 탈존의 예술: 메를로-퐁티의 신체론이 여는 포스트휴머니즘의 새지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