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메니스커스 드래깅 증착법을 이용한 산화아연 나노선의 수평 정렬 연구 = Facile Meniscus Dragging Depositions for Lateral Alignment of ZnO Nanowir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627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fabricated laterally-aligned ZnO nanowires by using the meniscus dragging deposition (MDD) technique under various deposition conditions. The ZnO nanowire alignment exhibits a linear response with increasing number of deposition cycles, indicating ...

      We fabricated laterally-aligned ZnO nanowires by using the meniscus dragging deposition (MDD) technique under various deposition conditions. The ZnO nanowire alignment exhibits a linear response with increasing number of deposition cycles, indicating that the deposited ZnO nanowires were tightly fixed on the substrate and showing that the degree of alignment was constant at $\sim$65%. Also, we could regulate the density and the degree of alignment by controlling the deposition angle, temperature and speed. The MDD technique for fabricating laterally-aligned ZnO nanowires can be useful for synthesizing functional materials in numerous electronic and optoelectronic devices, including field-effect transistors, nanogenerators and ultraviolet senso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메니스커스 드래깅 증착법 (meniscus dragging deposition, MDD)을 이용해 다양한 분위기에서 산화아연 나노선을 수평 방향으로 정렬하였다. 산화아연 나노선의 수평 정렬정도는 증착 ...

      본 연구에서는 메니스커스 드래깅 증착법 (meniscus dragging deposition, MDD)을 이용해 다양한 분위기에서 산화아연 나노선을 수평 방향으로 정렬하였다. 산화아연 나노선의 수평 정렬정도는 증착 횟수에 선형적으로 비례하였다. 기판 위에 한번 증착된 나노선은 새로운 드래깅 증착에 큰 영향을 받지 않으며, 새로운 나노선 증착 시에는 항상 일정한 비율 ($\sim$65%)로 정렬된 특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증착 각도, 증착 온도 및 증착 속도 등을 조절하여 산화아연 나노선의 정렬 정도 및 정렬 밀도를 조절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산화아연 나노선의 수평 정렬을 위해 사용한 메니스커스 드래깅 증착법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나노발전기 및 자외선 센서 등의 다양한 대면적 전자기기와 광전자기기의 제작에 쉽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C. Kocabas, 1 : 1110-, 2005

      2 D. Chandra,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09

      3 A. M. Morales, 279 : 208-, 1998

      4 X. Duan, 409 : 66-, 2001

      5 D. -M. Shin, 12 : 268-, 2015

      6 Z. W. Pan, 291 : 1947-, 2001

      7 B. Y. Lee, 7 : 351-, 2012

      8 D. -M. Shin, 8 : 3198-, 2015

      9 S. Sapra, 2 : 605-, 2002

      10 H. Huang, 17 : 1652-, 2005

      1 C. Kocabas, 1 : 1110-, 2005

      2 D. Chandra,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09

      3 A. M. Morales, 279 : 208-, 1998

      4 X. Duan, 409 : 66-, 2001

      5 D. -M. Shin, 12 : 268-, 2015

      6 Z. W. Pan, 291 : 1947-, 2001

      7 B. Y. Lee, 7 : 351-, 2012

      8 D. -M. Shin, 8 : 3198-, 2015

      9 S. Sapra, 2 : 605-, 2002

      10 H. Huang, 17 : 1652-, 2005

      11 E. T. Thostenson, 35 : L77-, 2002

      12 F. Du, 72 : 121404-, 2005

      13 W. K. Hong, 90 : 243103-, 2007

      14 Y. Yang, 12 : 2833-, 2012

      15 X. D. Wang, 6 : 2768-, 2006

      16 J. H. Lim, 18 : 2720-, 2006

      17 D. Q. Wang, 90 : 103110-, 2007

      18 Z. Liu, 43 : 155402-, 2010

      19 Y. Huang, 291 : 630-, 2001

      20 A. Tao, 3 : 1229-, 2003

      21 G. H. Yu, 2 : 372-, 2007

      22 Y. Ko, 77 : 964-, 2014

      23 S. W. Hong, 22 : 1826-,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6-09-0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ae Mulli(New Physics) -> New Physics: Sae Mulli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5 0.14 0.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