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공동육아나눔터의 공간구성 및 운영 개선방안 = Improvement in Space Composition and Management in Cooperative Childcare Pla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466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ggest physical standards and supplementary operation data for the cooperative childcare place established to reduce the burden on parents and increase social activities for them and their children through actual space or facility condition, operation, and usage analysi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1) establish the size standard of the cooperative childcare place and establish the differentiated placement standard of the number of rooms and th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size, (2) divide the cooperative childcare place into main, auxiliary, and other spaces, (3) make the main space a variable one, (4) assign personnel such as supervisors and paid volunteers to the cooperative childcare place, set fixed working hours, and extend the time that the children remain in the childcare.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suggest physical standards and supplementary operation data for the cooperative childcare place established to reduce the burden on parents and increase social activities for them and their children through actual space or facility ...

      This study aims to suggest physical standards and supplementary operation data for the cooperative childcare place established to reduce the burden on parents and increase social activities for them and their children through actual space or facility condition, operation, and usage analysi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1) establish the size standard of the cooperative childcare place and establish the differentiated placement standard of the number of rooms and th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size, (2) divide the cooperative childcare place into main, auxiliary, and other spaces, (3) make the main space a variable one, (4) assign personnel such as supervisors and paid volunteers to the cooperative childcare place, set fixed working hours, and extend the time that the children remain in the childca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승미 ; 김선미, "현장 사례로 본 공동육아나눔터의 주요 기능과 운영상 문제 및 활성화 조건"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6 (26): 59-73, 2022

      2 홍다은, "지자체 육아종합지원센터의 프로그램 및 공간구성 분석에 관한 연구" 19 (19): 223-229, 2017

      3 유해미, "지역사회 공동육아 활성화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3

      4 이의숙, "주민참여 수요자맞춤형 찾아가는 공동육아나눔터의 운영 사례: 함께 키우는 아이, 우리의 미래" 250-251, 2015

      5 차성란, "제주 지역 공동육아나눔터 운영 실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2 (22): 1-24, 2018

      6 제주특별자치도 여성가족과, "제주 생활체감형 양성평등 ‘정책 제주처럼’"

      7 고선주, "저출산 대응: 가족내 자녀양육지원강화"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8 (18): 53-77, 2012

      8 최재순, "아동양육과 가족친화적 지역사회환경" 57 (57): 18-24, 2013

      9 최재순 ; 조정현 ; 공은희,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공동육아나눔터에 관한 사례연구: 인천소재 공동육아나눔터의 물리적 실내공간환경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54 (54): 263-278, 2016

      10 차성란,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족품앗이 및 공동육아나눔터 사업운영 전략"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6 (16): 187-209, 2012

      1 이승미 ; 김선미, "현장 사례로 본 공동육아나눔터의 주요 기능과 운영상 문제 및 활성화 조건"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6 (26): 59-73, 2022

      2 홍다은, "지자체 육아종합지원센터의 프로그램 및 공간구성 분석에 관한 연구" 19 (19): 223-229, 2017

      3 유해미, "지역사회 공동육아 활성화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3

      4 이의숙, "주민참여 수요자맞춤형 찾아가는 공동육아나눔터의 운영 사례: 함께 키우는 아이, 우리의 미래" 250-251, 2015

      5 차성란, "제주 지역 공동육아나눔터 운영 실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2 (22): 1-24, 2018

      6 제주특별자치도 여성가족과, "제주 생활체감형 양성평등 ‘정책 제주처럼’"

      7 고선주, "저출산 대응: 가족내 자녀양육지원강화"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8 (18): 53-77, 2012

      8 최재순, "아동양육과 가족친화적 지역사회환경" 57 (57): 18-24, 2013

      9 최재순 ; 조정현 ; 공은희,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공동육아나눔터에 관한 사례연구: 인천소재 공동육아나눔터의 물리적 실내공간환경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54 (54): 263-278, 2016

      10 차성란,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족품앗이 및 공동육아나눔터 사업운영 전략"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6 (16): 187-209, 2012

      11 한국건강가정진흥원, "가족품앗이 및 공동육아나눔터 운영사례" 여성가족부 2011

      12 여성가족부, "2022년 가족사업안내(Ⅱ)" 여성가족부 2022

      13 여성가족부, "2021년 가족사업안내(Ⅱ)" 여성가족부 2021

      14 한국건강가정진흥원, "2020년 가족지원사업 연간결과 보고서" 한국건강가정진흥원 2021

      15 여성가족부, "2018년도 공동육아나눔터사업 안내" 여성가족부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