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행정기관의 효율적인 협업시스템 도입 필요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need on Implementation of effective Collaboration system of the Governm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721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의 협업시스템 도입을 위한 민간기업과 선진국의 선행사례 및 선행연구와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근거로 협업지원 정보시스템 도입 필요성에 대해 실증적 연구를 추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협업관련 충분한 정보 제공과 통합도구에 의한 편리한 정보제공 기능, 협업진행 기능의 필요성과 기존의 협업추진 방식의 개선, 만족도와의 설문항목 간 상관관계 검증을 범위로 하였으며 문헌조사를 통하여 협업의 정의를 살펴보고 본 연구에 사용한 연구모델 및 가설을 수립하였다. 설문은 중앙부처 및 지자체 공무원 1,15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설문결과는 AMOS를 활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타당성 분석을 수행하여 연구모델을 검증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의 협업시스템 도입을 위한 민간기업과 선진국의 선행사례 및 선행연구와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근거로 협업지원 정보시스템 도입 필요성...

      본 연구는 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의 협업시스템 도입을 위한 민간기업과 선진국의 선행사례 및 선행연구와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근거로 협업지원 정보시스템 도입 필요성에 대해 실증적 연구를 추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협업관련 충분한 정보 제공과 통합도구에 의한 편리한 정보제공 기능, 협업진행 기능의 필요성과 기존의 협업추진 방식의 개선, 만족도와의 설문항목 간 상관관계 검증을 범위로 하였으며 문헌조사를 통하여 협업의 정의를 살펴보고 본 연구에 사용한 연구모델 및 가설을 수립하였다. 설문은 중앙부처 및 지자체 공무원 1,15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설문결과는 AMOS를 활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타당성 분석을 수행하여 연구모델을 검증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ncludes the leading practices in collaboration system of central, local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Also reviewing adaptation of the system based upon government employee's survey.The research ranges to information providing function in collaboration and UC, the necessity of collaboration function and improvement of current collaboration system and the satisfaction and correlation verification. The methodology of the research is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The definition of collaboration,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were concluded throughout Literature review. Surveys has been participated by 1,159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employees and the factor, credibility and validity analysis were processed by AMOS to analyze research model verification and correlation analysis. Hypothesis has been verified by regression analysis.
      번역하기

      This research includes the leading practices in collaboration system of central, local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Also reviewing adaptation of the system based upon government employee's survey.The research ranges to information providing fun...

      This research includes the leading practices in collaboration system of central, local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Also reviewing adaptation of the system based upon government employee's survey.The research ranges to information providing function in collaboration and UC, the necessity of collaboration function and improvement of current collaboration system and the satisfaction and correlation verification. The methodology of the research is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The definition of collaboration,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were concluded throughout Literature review. Surveys has been participated by 1,159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employees and the factor, credibility and validity analysis were processed by AMOS to analyze research model verification and correlation analysis. Hypothesis has been verified by regression analysi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 Ⅲ. 연구모형 설계 및 가설설정
      • Ⅳ. 설문분석 결과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 Ⅲ. 연구모형 설계 및 가설설정
      • Ⅳ. 설문분석 결과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Heide, J., 27 (27): 24-36, 1990

      2 Bailey, J.E., 29 (29): 530-545, 1983

      3 양재송, "정보시스템을 활용한 협업환경에서 구성원의 관계특성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4 추한철, "전자정부 프레임워크에 대한 개념적 연구" 3 (3): 75-80, 2011

      5 정국환, "전자정부 선진화를 위한 공공 민간 협업촉진과 역할분담 방안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41-43, 2009

      6 신상영, "전자도시정부 구현에 있어 협업사례와 정책방향"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4

      7 류광열, "성공 비즈니스 모델의 확대 및 협업시스템 적용" 한국생산제조시스템학회 2007

      8 임준형, "범정부 행정정보시스템의 활용성과에 관한 연구: 온나라시스템을 중심으로" 정부학연구소 16 (16): 7-44, 2010

      9 최수정, "기업간 관계특성이 전자적 협력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중소기업의 정보활용역량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5

      10 김수겸, "기업 간 협업 강화를 위한 정보전략계획(ISP)기반의 경영자 정보시스템(EIS) 구축 방법"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0

      1 Heide, J., 27 (27): 24-36, 1990

      2 Bailey, J.E., 29 (29): 530-545, 1983

      3 양재송, "정보시스템을 활용한 협업환경에서 구성원의 관계특성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4 추한철, "전자정부 프레임워크에 대한 개념적 연구" 3 (3): 75-80, 2011

      5 정국환, "전자정부 선진화를 위한 공공 민간 협업촉진과 역할분담 방안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41-43, 2009

      6 신상영, "전자도시정부 구현에 있어 협업사례와 정책방향"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4

      7 류광열, "성공 비즈니스 모델의 확대 및 협업시스템 적용" 한국생산제조시스템학회 2007

      8 임준형, "범정부 행정정보시스템의 활용성과에 관한 연구: 온나라시스템을 중심으로" 정부학연구소 16 (16): 7-44, 2010

      9 최수정, "기업간 관계특성이 전자적 협력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중소기업의 정보활용역량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5

      10 김수겸, "기업 간 협업 강화를 위한 정보전략계획(ISP)기반의 경영자 정보시스템(EIS) 구축 방법"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0

      11 김성희, "공급사슬의 기술적 구조가 협업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분석 :국내 화장품산업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12 Gary P. Pisano, "Which kind of Collaboration Is Right for You" 2008

      13 Barratt, M., "Supply Chain Management" 9 (9): 2004

      14 Roman Chitkara, "Managing the Risks and Rewards of Collaboration" PWC 2008

      15 Alter. S., "Information System, 4th Edition" Prentice Hall 2002

      16 Rick Hayes-Roth, "How to implement National Information Sharing Strategy: Detailed Elements of the Evolutionary Management Approach Required"

      17 Ansell and Gash, "Collaborative Governance in Theory and Practice" 2007

      18 Lynda Gratton, "8ways to build Collaborative Teams" HBR 2007

      19 James W. Cortada, "2020년의 정부와의 지속적인 협업의필요성" IBM 8-11, 2008

      20 기획재정부 예산기준과, "2011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 집행지침"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5 1.15 1.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1 1.13 1.257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