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SCOPUS

      대국민 한옥인식 및 수요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ublic Perception and Demand Characteristics of a Hano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746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ults of a public survey regarding the perception of Hanok over the last 10 years. Hanok is a preservationsubject and unique Korean housing style that has been established as a form of residence today due to the efforts of the government andlocal governments. Trends involving public perception and the demand characteristics of Hanok over the last 10 years were examined. Thepurpose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paring Hanok policies by grasping the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and requirements of Hanok.
      Specifically, the Hanok Perception Survey examined the perception, image, demand, cost, location, transportation, space composition, and scaleof Hanok.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over the last 10 years, Hanok was recognized as a psychological object of traditionand antiquity. The intention to live in a Hanok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pros and cons of a Hanok that over time reflect the tendency tovalue external factors as being nature-friendly. Regarding the location and space of a Hanok, a living environment and space compositioncapable of modern living are required.
      번역하기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ults of a public survey regarding the perception of Hanok over the last 10 years. Hanok is a preservationsubject and unique Korean housing style that has been established as a form of residence today due to the efforts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ults of a public survey regarding the perception of Hanok over the last 10 years. Hanok is a preservationsubject and unique Korean housing style that has been established as a form of residence today due to the efforts of the government andlocal governments. Trends involving public perception and the demand characteristics of Hanok over the last 10 years were examined. Thepurpose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paring Hanok policies by grasping the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and requirements of Hanok.
      Specifically, the Hanok Perception Survey examined the perception, image, demand, cost, location, transportation, space composition, and scaleof Hanok.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over the last 10 years, Hanok was recognized as a psychological object of traditionand antiquity. The intention to live in a Hanok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pros and cons of a Hanok that over time reflect the tendency tovalue external factors as being nature-friendly. Regarding the location and space of a Hanok, a living environment and space compositioncapable of modern living are requir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난 10년 동안 총4회의 대국민 한옥인식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진행된 것이다. 한옥은 한국 고유의 주택 양식으로 보존의 대상이었지만, 정부와 지자체의 노력으로 오늘날 거주의 형태로서 자리매김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10년간 대국민 한옥 인식과 수요의 특성에 관하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즉, 한옥에 대한 특성과 만족도, 그리고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한옥 정책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한옥인식조사는 한옥의 인식과 이미지, 수요 및 비용, 입지 및 교통, 공간구성 및 규모를 살펴보고 있다. 이상의 분석은 전통의 가치를 넘어 시대 흐름에 따라 주거로서 현대인의 생활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으로 결론 짓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지난 10년 동안 총4회의 대국민 한옥인식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진행된 것이다. 한옥은 한국 고유의 주택 양식으로 보존의 대상이었지만, 정부와 지자체의 노력으로 오늘날 거주의 ...

      본 연구는 지난 10년 동안 총4회의 대국민 한옥인식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진행된 것이다. 한옥은 한국 고유의 주택 양식으로 보존의 대상이었지만, 정부와 지자체의 노력으로 오늘날 거주의 형태로서 자리매김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10년간 대국민 한옥 인식과 수요의 특성에 관하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즉, 한옥에 대한 특성과 만족도, 그리고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한옥 정책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한옥인식조사는 한옥의 인식과 이미지, 수요 및 비용, 입지 및 교통, 공간구성 및 규모를 살펴보고 있다. 이상의 분석은 전통의 가치를 넘어 시대 흐름에 따라 주거로서 현대인의 생활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으로 결론 짓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영민 ; 김왕직, "현대한옥의 단위공간 모듈 설정에 관한 연구 - 주칸거리 분석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8 (28): 183-190, 2012

      2 손승광, "현대한옥 단위세대와 집합주거 모델개발 기초연구" 한국주거학회 22 (22): 121-132, 2011

      3 김지민, "지속가능한 ‘한옥’ 개발 및 보급을 위한 수요자 의식 조사 연구" 대한건축학회 23 (23): 101-109, 2007

      4 김지민, "지속 가능한 ‘한옥’ 평면형 개발" 대한건축학회 22 (22): 211-218, 2006

      5 손승광, "전통한옥의 도시집합주거로 발전 가능성 연구" 한국주거학회 19 (19): 71-81, 2008

      6 신치후 ; 김병진, "신한옥마을의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30 (30): 29-43, 2021

      7 권영상, "신한옥마을 조성을 위한 수요자 인식조사 연구" 대한건축학회 26 (26): 97-106, 2010

      8 이경아, "북촌가꾸기사업 이후 한옥의 소유권 변화 및 소유자 인식조사 연구" 대한건축학회 28 (28): 185-192, 2012

      9 Jeonnam-Do, "Standard Hanok design for rural"

      10 Song, I., "Planning and research on building a technology base to promote industrialization of Hanok architectur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3-385, 2008

      1 조영민 ; 김왕직, "현대한옥의 단위공간 모듈 설정에 관한 연구 - 주칸거리 분석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8 (28): 183-190, 2012

      2 손승광, "현대한옥 단위세대와 집합주거 모델개발 기초연구" 한국주거학회 22 (22): 121-132, 2011

      3 김지민, "지속가능한 ‘한옥’ 개발 및 보급을 위한 수요자 의식 조사 연구" 대한건축학회 23 (23): 101-109, 2007

      4 김지민, "지속 가능한 ‘한옥’ 평면형 개발" 대한건축학회 22 (22): 211-218, 2006

      5 손승광, "전통한옥의 도시집합주거로 발전 가능성 연구" 한국주거학회 19 (19): 71-81, 2008

      6 신치후 ; 김병진, "신한옥마을의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30 (30): 29-43, 2021

      7 권영상, "신한옥마을 조성을 위한 수요자 인식조사 연구" 대한건축학회 26 (26): 97-106, 2010

      8 이경아, "북촌가꾸기사업 이후 한옥의 소유권 변화 및 소유자 인식조사 연구" 대한건축학회 28 (28): 185-192, 2012

      9 Jeonnam-Do, "Standard Hanok design for rural"

      10 Song, I., "Planning and research on building a technology base to promote industrialization of Hanok architectur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3-385, 2008

      11 Architecture & Urban Culture Research, "Annual Hanok Statistics"

      12 "Act on Value Enhancement of Hanok and Other Architecture Assets, 12739 § 24"

      13 Sim, K., "A study on characteristics and demand of recent Hanok occupants" 1-270,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