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SCOPUS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업을 통한 고등학교 계획사례 분석 및 공간계획요소 방향 도출 = A Study on the Analysis of High School Planning Cases and the Direction of Space Planning Elements through the Green Smart Future School Proje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746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space planning elements were derived through the main contents of each key element of the Green Smart Future School.
      In add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high school planning cases that required reconstruction, we looked at how the space planning elementsrequired by the project are presented, and what are lacking or what needs to be considered in the architectural plan. The space planningelements of 10 items were analyzed based on planning cases and future planning directions were presented. Future school architecture as aneducational facility requires a more in-depth understanding of changes in the digital-based learning environment, beyond simply planning andproviding the required physical space. In addition,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it is the time when the areas of planning, such as planning ofexternal spaces, linking indoor and outdoor spaces, and symbiosis with the local community, are expanding and becoming more concrete.
      번역하기

      In this study, the space planning elements were derived through the main contents of each key element of the Green Smart Future School. In add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high school planning cases that required reconstruction, we looked at how the ...

      In this study, the space planning elements were derived through the main contents of each key element of the Green Smart Future School.
      In add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high school planning cases that required reconstruction, we looked at how the space planning elementsrequired by the project are presented, and what are lacking or what needs to be considered in the architectural plan. The space planningelements of 10 items were analyzed based on planning cases and future planning directions were presented. Future school architecture as aneducational facility requires a more in-depth understanding of changes in the digital-based learning environment, beyond simply planning andproviding the required physical space. In addition,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it is the time when the areas of planning, such as planning ofexternal spaces, linking indoor and outdoor spaces, and symbiosis with the local community, are expanding and becoming more concret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핵심요소별 추진방향 및 주요 내용들을 통해 공간계획의 요소들을 도출하고, 개축을 필요로 하는 고등학교 계획사례 분석을 통해 사업이 요구하는 공간계획요소들이 어떻게 제시되고 있는지, 부족한 부분 혹은 계획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부분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10개 항목의 공간계획요소들을 계획사례를 바탕으로 분석하여 계획의 현주소를 살펴보고 앞으로의 계획 방향을 제시하였다. 교육시설로서의 미래 학교건축은, 계획가의 입장에서는 단순히 요구되는 물리적 공간을 계획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넘어, 디지털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환경의 변화에 대한 보다 심도있는 이해를 요구하고 있다. 또한 실내공간의 계획뿐만 아니라 외부공간의 계획, 실내·외 공간의 연계, 지역사회와의 공생 등 계획의 영역이 보다 확대되고 구체화되고 있는 시점임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핵심요소별 추진방향 및 주요 내용들을 통해 공간계획의 요소들을 도출하고, 개축을 필요로 하는 고등학교 계획사례 분석을 통해 사업이 요구하는 공...

      본 연구에서는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핵심요소별 추진방향 및 주요 내용들을 통해 공간계획의 요소들을 도출하고, 개축을 필요로 하는 고등학교 계획사례 분석을 통해 사업이 요구하는 공간계획요소들이 어떻게 제시되고 있는지, 부족한 부분 혹은 계획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부분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10개 항목의 공간계획요소들을 계획사례를 바탕으로 분석하여 계획의 현주소를 살펴보고 앞으로의 계획 방향을 제시하였다. 교육시설로서의 미래 학교건축은, 계획가의 입장에서는 단순히 요구되는 물리적 공간을 계획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넘어, 디지털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환경의 변화에 대한 보다 심도있는 이해를 요구하고 있다. 또한 실내공간의 계획뿐만 아니라 외부공간의 계획, 실내·외 공간의 연계, 지역사회와의 공생 등 계획의 영역이 보다 확대되고 구체화되고 있는 시점임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Cho, S. E., "Improving Architecture Planning for the Green Smart Future School Program"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2021

      2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Design Guide for Environmental Development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in Gyeonggi-do"

      3 The Ministry of Education, "A collection of help materials for preparing design guidelines for each key element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2

      4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 Study on the Planning Guidelines for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

      5 The Ministry of Education, "A Comprehensive Action Plan for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

      1 Cho, S. E., "Improving Architecture Planning for the Green Smart Future School Program"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2021

      2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Design Guide for Environmental Development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in Gyeonggi-do"

      3 The Ministry of Education, "A collection of help materials for preparing design guidelines for each key element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2

      4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 Study on the Planning Guidelines for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

      5 The Ministry of Education, "A Comprehensive Action Plan for Green Smart Future School"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