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근무중, 근무시간 이외의 테크노스트레스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6536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소셜 미디어의 사용은 일상생활에서 편리함을 느끼게 해주는 반면 스트레스와 불편함도 수반하게 된다. 조직에서의 소셜 미디어 사용은 업무성과를 향상 시킬 수 있는 반면에 직원들이 역할 스트레스와 작업 침해를 많이 느낄 수 있으며, 퇴근 후에도 직장 사람들로부터 온 연락을 받음으로 인해 개인 생활 침해, 소셜 상호작용 과부하 등을 느낄 수 있다. 그로 인해 소셜 미디어의 사용이 직장 사람들한테 근무 증 뿐만 아니라 퇴근 이후에도 스트레스를 많이 초래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테크노스트레스 이론을 바탕으로 근무시간 중이나 근무시간 이외에 소셜 미디어 사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테크노스트레스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341명의 중국인 위챗 사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구조 방정식 모델을 통하여 통계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통계적 분석결과에 의하면 근무 중에 발생하는 역할 과부하, 역할 충돌, 작업 침해는 테크노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퇴근 후에 발생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개인 생활 침해, FoM도 마찬가지로 테크노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 중에 발생하는 테크노스트레스는 이직 의도에 영향이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퇴근 후에 발생하는 테크노스트레스는 이직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소셜 미디어의 사용은 일상생활에서 편리함을 느끼게 해주는 반면 스트레스와 불편함도 수반하게 된다. 조직에서의 소셜 미디어 사용은 업무성과를 향상 시킬 수 있는 반면에 직원들이 역...

      소셜 미디어의 사용은 일상생활에서 편리함을 느끼게 해주는 반면 스트레스와 불편함도 수반하게 된다. 조직에서의 소셜 미디어 사용은 업무성과를 향상 시킬 수 있는 반면에 직원들이 역할 스트레스와 작업 침해를 많이 느낄 수 있으며, 퇴근 후에도 직장 사람들로부터 온 연락을 받음으로 인해 개인 생활 침해, 소셜 상호작용 과부하 등을 느낄 수 있다. 그로 인해 소셜 미디어의 사용이 직장 사람들한테 근무 증 뿐만 아니라 퇴근 이후에도 스트레스를 많이 초래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테크노스트레스 이론을 바탕으로 근무시간 중이나 근무시간 이외에 소셜 미디어 사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테크노스트레스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341명의 중국인 위챗 사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구조 방정식 모델을 통하여 통계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통계적 분석결과에 의하면 근무 중에 발생하는 역할 과부하, 역할 충돌, 작업 침해는 테크노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퇴근 후에 발생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개인 생활 침해, FoM도 마찬가지로 테크노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 중에 발생하는 테크노스트레스는 이직 의도에 영향이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퇴근 후에 발생하는 테크노스트레스는 이직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use of social media is not only convenient for us in life, but also brings stress and
      discomfort to us. Although the use of social media can improve work performances, it can also
      make workers feel role overload, role conflict,and invasion of work. Besides people can still
      receive messages from colleagues in the workplace after work, so that they will feel social
      interaction overload, privacy of personal life. As a resulu, the use of social media can also
      create a lot of stress for people at work and after 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act of technostress caused by the use of social media during and after working hours
      on turnover intentions.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341 for Chinese WeChat
      users and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tudy found
      that role overload, role conflicts, and invasion of work have a positive relation with
      technostress in work, and also found social interaction overload, invasion of personal life, and
      FoMO have a positive impact on technostress. In work technostress has shown no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with on turnover intention, but after work technostress has shown a positive
      impact on turnover intentions.
      번역하기

      The use of social media is not only convenient for us in life, but also brings stress and discomfort to us. Although the use of social media can improve work performances, it can also make workers feel role overload, role conflict,and invasion of work...

      The use of social media is not only convenient for us in life, but also brings stress and
      discomfort to us. Although the use of social media can improve work performances, it can also
      make workers feel role overload, role conflict,and invasion of work. Besides people can still
      receive messages from colleagues in the workplace after work, so that they will feel social
      interaction overload, privacy of personal life. As a resulu, the use of social media can also
      create a lot of stress for people at work and after 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act of technostress caused by the use of social media during and after working hours
      on turnover intentions.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341 for Chinese WeChat
      users and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tudy found
      that role overload, role conflicts, and invasion of work have a positive relation with
      technostress in work, and also found social interaction overload, invasion of personal life, and
      FoMO have a positive impact on technostress. In work technostress has shown no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with on turnover intention, but after work technostress has shown a positive
      impact on turnover inten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 1
      • 제 2 장. 선행연구 . 5
      • 제 1 절. 테크노스트레스 이론 5
      • 제 3 장. 연구모형 및 가설 9
      • 제 1 절. 근무 중 테크노스트레스 . 10
      • 제 1 장. 서론 . 1
      • 제 2 장. 선행연구 . 5
      • 제 1 절. 테크노스트레스 이론 5
      • 제 3 장. 연구모형 및 가설 9
      • 제 1 절. 근무 중 테크노스트레스 . 10
      • 1 역할 과부하. 10
      • 2 역할 충돌 11
      • 3 작업 침해 12
      • 제 2 절. 퇴근 후 테크노스트레스 . 13
      • 1 사회적 상호작용 과부하 13
      • 2 개임 생활 침해 14
      • 3 고립 공포감. 15
      • 제 3 절. 이직 의도 16
      • 제 4 장. 연구방법 . 18
      • 제 1 절. 설문조사 18
      • 제 2 절. 측정도구 20
      • 제 5 장. 연구결과 . 24
      • 제 1 절. 확인적 요인분석 24
      • 제 2 절. 구조모형 분석 27
      • 제 6 장. 논의 . 31
      • 제 7 장. 결론 . 35
      • 제 1 절. 시사점 . 35
      • 제 2 절.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 36
      • <참고문헌> 37
      • <부록-설문지> 44
      • 영문 초록 5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