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본고에서는 김소희 소장의 전용선 단소산조를 대상으로 채보ㆍ분석하여 음악적 특징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종지형선율에 의해 단락을 구분하여, 단락별 음구조와 선율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474366
서울: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2014
학위논문(예술전문사) --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 음악과 가야금전공 , 2014.02
2014
한국어
679.72 판사항(5)
서울
ii, 65 p.: 악보; 26 cm.
지도교수: 김해숙
참고문헌: p. 48-4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본고에서는 김소희 소장의 전용선 단소산조를 대상으로 채보ㆍ분석하여 음악적 특징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종지형선율에 의해 단락을 구분하여, 단락별 음구조와 선율의...
국문초록
본고에서는 김소희 소장의 전용선 단소산조를 대상으로 채보ㆍ분석하여 음악적 특징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종지형선율에 의해 단락을 구분하여, 단락별 음구조와 선율의 짜임새를 살펴본 뒤, 선행연구된 신쾌동 소장음원, 성창순 소장 음원과 비교고찰하여, 본 음원에서 만의 특징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그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김소희 소장 음원 전용선 산조의 중모리(1)은 58장단 총 9단락으로 나누어 지고, 중중모리는 95장단 총 15단락으로 나누어진다.
둘째, 김소희 소장 음원 중모리(1)에서는 a음본청 계면길, e음본청 계면길을 사용하고, 중중모리는 a음본청 계면길, e음본청 계면길, c음본청 우조길을 사용한다. 즉 본청이 다른 두 종류의 계면조와 한 종류의 우조가 쓰인다. 이중 a음본청 계면길과 완전 4도 아래인 e음본청 계면길은 중요한 음구조를 이룬다.
셋째, 신쾌동 소장 음원은 중모리(1) 59장단, 중중모리 63장단 이고, 성창순 소장 음원에는 중중모리가 구성되어 있지 않다. 본고에서 연구된 음원은 중모리(1) 58장단이고, 중중모리95장단으로 구성되었는데, 신쾌동 소장 음원과 같은 음구조를 사용하지만, 짜임새가 같지 않고, 또한 세 개의 음원에서 같은 선율을 찾아볼 수 없었다.
이 점을 보았을 때 전용선 명인은 매번 녹음을 할 때 마다 머리속에 구성된 음악만으로 즉흥적인 연주를 한 것으로 보인다. 매번 음원마다 다른 가락을 연주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자유로운 길바꿈과 음조직의 질서가 잘 지켜지고 있으며, 매우 체계적인 구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