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설과 동화의 상호텍스트성 고찰과 문학 교육 활용 방안 연구 = Study on the interactive text and literary education of novels and children’s story -Focusing on literature Lee cheong ju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267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wanted to provide a glimpse into. The cultural and educational use of general literature and a children,s story in Korean a scholar of Arts. By accasion the cross-text and literature education versatility of bongoeseo novels and fairy tales, we were able to explore the potential for youth sentiment education as well as the qualitative growth of assimilation.
      Today, the discussion on the education of Youth literature based on the coexistence and concentric relations of general literature and a children,s story is almost nil. I think this study can be a starting point for literary education in the emotional issues that are encountered during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humanity chapter. Researchers ' concerns about how to educate literature can act as an opportunity to be a reflection of the challenges that our education system faces.
      The basic spirit of literature is to humanize human life and to awaken and confront the human first concentric. The first concentric of the human being is the source of human dreams and can be a place of comfort that can be received. This spirit of literature is the driving force in general literature and a children’s story to raise the contact points.
      As a occasion of this study, we can expand our value as a youth literacy education as well as the quality of our studies.
      번역하기

      In this study, we wanted to provide a glimpse into. The cultural and educational use of general literature and a children,s story in Korean a scholar of Arts. By accasion the cross-text and literature education versatility of bongoeseo novels and fair...

      In this study, we wanted to provide a glimpse into. The cultural and educational use of general literature and a children,s story in Korean a scholar of Arts. By accasion the cross-text and literature education versatility of bongoeseo novels and fairy tales, we were able to explore the potential for youth sentiment education as well as the qualitative growth of assimilation.
      Today, the discussion on the education of Youth literature based on the coexistence and concentric relations of general literature and a children,s story is almost nil. I think this study can be a starting point for literary education in the emotional issues that are encountered during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humanity chapter. Researchers ' concerns about how to educate literature can act as an opportunity to be a reflection of the challenges that our education system faces.
      The basic spirit of literature is to humanize human life and to awaken and confront the human first concentric. The first concentric of the human being is the source of human dreams and can be a place of comfort that can be received. This spirit of literature is the driving force in general literature and a children’s story to raise the contact points.
      As a occasion of this study, we can expand our value as a youth literacy education as well as the quality of our stud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청준 소설과 동화의 상호텍스트성과 동심 지향성을 중심으로 중등문학교육으로서의 효용성을 탐색했다. 현재 일반문학과 아동문학의 상생관계와 동심성을 바탕으로 한 청소년 문학교육에 관한 논의는 거의 전무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저변의 문제점을 직시하고, 지금까지 논의된 바 없는 소설과 동화의 상호텍스트성과 중등문학교육으로서의 효용성을 고찰했다.
      현대 사회는 타자를 수용하고 이해하는 긍정적 정서가 결핍된 나 중심의 사고가 만연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들의 인간에 대한 불신과 자존감 추락으로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현상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출발되었다. 이청준 소설과 동화에 나타난 동심성 고찰을 통해, 학습자의 주체적 체험 및 안정적 정서함양의 단초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청소년들이 자신과 타자를 수용하고 이해하는 소통 능력의 토대 마련을 위한 기본 요건이 된다.
      본 연구가 지향하는 문학교육의 기본정신은 청소년들이 스스로의 삶을 성찰할 수 있도록, 인간 시원으로서의 동심을 일깨우고 마주하게 하는 데 있다. 동심지향성에 초점을 둔 교육적 효용성과 방법론에 대한 연구 확대는, 아동문학의 질적 성장과 아울러 청소년 문학교육으로서의 가치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본다. 본 연구의 최종 지향점은 아동문학과 일반문학의 상생관계를 정립하고, 두 분야를 아우르는 연계적 차원의 교육적 가치를 정립하는 데 있다.
      번역하기

      이청준 소설과 동화의 상호텍스트성과 동심 지향성을 중심으로 중등문학교육으로서의 효용성을 탐색했다. 현재 일반문학과 아동문학의 상생관계와 동심성을 바탕으로 한 청소년 문학교육...

      이청준 소설과 동화의 상호텍스트성과 동심 지향성을 중심으로 중등문학교육으로서의 효용성을 탐색했다. 현재 일반문학과 아동문학의 상생관계와 동심성을 바탕으로 한 청소년 문학교육에 관한 논의는 거의 전무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저변의 문제점을 직시하고, 지금까지 논의된 바 없는 소설과 동화의 상호텍스트성과 중등문학교육으로서의 효용성을 고찰했다.
      현대 사회는 타자를 수용하고 이해하는 긍정적 정서가 결핍된 나 중심의 사고가 만연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들의 인간에 대한 불신과 자존감 추락으로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현상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출발되었다. 이청준 소설과 동화에 나타난 동심성 고찰을 통해, 학습자의 주체적 체험 및 안정적 정서함양의 단초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청소년들이 자신과 타자를 수용하고 이해하는 소통 능력의 토대 마련을 위한 기본 요건이 된다.
      본 연구가 지향하는 문학교육의 기본정신은 청소년들이 스스로의 삶을 성찰할 수 있도록, 인간 시원으로서의 동심을 일깨우고 마주하게 하는 데 있다. 동심지향성에 초점을 둔 교육적 효용성과 방법론에 대한 연구 확대는, 아동문학의 질적 성장과 아울러 청소년 문학교육으로서의 가치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본다. 본 연구의 최종 지향점은 아동문학과 일반문학의 상생관계를 정립하고, 두 분야를 아우르는 연계적 차원의 교육적 가치를 정립하는 데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정임, "李淸俊 文學의 아니마 硏究"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0 (40): 365-389, 2012

      2 권석만, "현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학지사 2015

      3 이청준, "할미꽃은 봄을 세는 술래란다" 파랑새어린이 2006

      4 이재철, "한국아동문학" 서문당 1991

      5 프로이트, "프로이트 정신분석학 입문" 범우사 2008

      6 이숭녕, "표준 국어대사전" 민중서관 1981

      7 강지은, "최근 20년간 국내 동화 관련 연구 동향 분석" SCH특수아동교육연구소 4 (4): 67-88, 2017

      8 이아름, "중학생이 지각한 또래 정서적 지지와 정서조절능력이 학교 소속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9 민경환, "정서심리학" 센게이지러닝코리아 2015

      10 제롬 케이건, "정서란 무엇인가?" 아카넷 2009

      1 양정임, "李淸俊 文學의 아니마 硏究"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0 (40): 365-389, 2012

      2 권석만, "현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학지사 2015

      3 이청준, "할미꽃은 봄을 세는 술래란다" 파랑새어린이 2006

      4 이재철, "한국아동문학" 서문당 1991

      5 프로이트, "프로이트 정신분석학 입문" 범우사 2008

      6 이숭녕, "표준 국어대사전" 민중서관 1981

      7 강지은, "최근 20년간 국내 동화 관련 연구 동향 분석" SCH특수아동교육연구소 4 (4): 67-88, 2017

      8 이아름, "중학생이 지각한 또래 정서적 지지와 정서조절능력이 학교 소속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9 민경환, "정서심리학" 센게이지러닝코리아 2015

      10 제롬 케이건, "정서란 무엇인가?" 아카넷 2009

      11 이청준, "잔인한 도시『겨울광장』" 도서출판 한겨레 1994

      12 박원주, "자아탄력성이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 인지적 정서조절과 긍정 및 부정정서의 매개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13 이청준, "잃어버린 말을 찾아서-언어사회학 서설" 문학과지성사 1981

      14 이청준, "인문주의자 무소작 씨의 종생기" 열림원 2008

      15 융, "인격과 전이" 솔 2007

      16 옌리에산 주지엔오구, "이탁오 평전-유교의 전제에 맞선 중국 사상사 최대의 이단아" 돌베개 2005

      17 이청준, "이청준의 인생" 열림원 2004

      18 양정임, "이청준 문학에서 동화의 의미 연구 - 글쓰기 방법을 중심으로 -" 동남어문학회 1 (1): 181-210, 2015

      19 양정임, "이청준 동화에 나타난 ‘죽음’과 ‘이별’의 형상화 방법과 정서적 효과에 관한 연구" 동남어문학회 1 (1): 191-218, 2016

      20 이병한, "이지 문학론-동심설을 중심으로" 한국중국학회 1987

      21 이청준, "이야기 서리꾼" 파랑새어린이 2006

      22 김영민, "우리 시대 탁월한 지적 능력의 소산물" 문학사상사 281 : 263-, 1996

      23 융, "영웅과 어머니 원형" 솔 80-,

      24 이청준, "역사의 정신태를 넘어 넋으로-이청준 『신화의 시대』에 부쳐" 물레 2008

      25 호스트 루스로프, "언어 속의 몸" 한국문화사 2008

      26 최재목, "양명학과 공생, 동심, 교육의 이념" 영남대학교 출판부 1999

      27 이청준, "야윈 젖가슴" 마음산책 2001

      28 이청준, "아름다운 흉터" 열림원 2004

      29 이원수, "아동문학입문" 소년한길 2009

      30 이재철, "아동문학개론" 서문당 2003

      31 김자연, "아동문학 이해와 창작의 실제" 청동거울 2003

      32 이청준, "선생님의 밥그릇" 다림 2003

      33 존 브래드쇼, "상처받은 내면아이 치유" 학지사 2015

      34 데이비드 마이어스, "사회심리학" 한올 2015

      35 이청준, "사랑의 손가락" 문학수첩 2006

      36 자크 랑시에르, "사람들의 고향으로 가는 짧은 여행" 인간사랑 2014

      37 원자경, "사고력 증진을 위한 문학교육 방안 연구" 한국문학교육학회 (30) : 181-209, 2009

      38 이지, "분서Ⅱ" 한길사 2009

      39 이지, "분서Ⅰ" 한길사 2007

      40 이혜원, "백석 시의 동심 지향성과 그 의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문학연구소 2002

      41 가스통 바슐라르, "물과 꿈" 문예출판사 2010

      42 김창원, "문학을 통한 교육" 삼지원 2005

      43 박인기, "문학을 통한 교육" 삼지원 2005

      44 정재찬, "문학교육의 현상과 인식" 역락 2004

      45 구인환, "문학교육론" 삼지원 2017

      46 홍명희, "몽상의 신화적 특성" 프랑스문화예술학회 34 : 415-439, 2010

      47 가스통 바슐라르, "몽상의 시학" 동문선 2007

      48 피트 클릿, "몸은 나보다 먼저 말한다" 청람출판 2004

      49 마틴 셀리그만, "마틴 셀리그만의 긍정심리학" 도서출판 물푸레 2009

      50 데이비드 마이어스, "마이어스의 심리학 개론" 시그마프레스 2013

      51 이청준, "떠돌이 개 깽깽이" 다림 2006

      52 이성훈, "동화의 이해" 건국대출판부 2014

      53 이종현, "동심의 발견과 해방기 동시문학" 청동거울 2008

      54 김종덕, "동백꽃 추출물의 신생혈관생성 및 세포부착 억제 효과" 한국생명과학회 17 (17): 1152-1156, 2007

      55 이청준, "동백꽃 누님" 다림 2010

      56 가스통 바슐라르, "대지 그리고 휴식의 몽상" 문학동네 2016

      57 이청준, "눈길『매잡이』" 민음사 2002

      58 이진경, "노마디즘2" 휴머니스트

      59 이진경, "노마디즘1" 휴머니스트 2009

      60 이청준, "꽃지고 강물흘러" 문이당 2004

      61 알라이다 아스만, "기억의 공간" 그린비 2011

      62 최경숙, "기억연구-아동의 구성기억"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2

      63 장정주, "긍정적 정서 증진 훈련이 대학생의 정적 및 부적 정서, 정서조절의 곤란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1 (31): 421-443, 2015

      64 크리스토퍼 피터슨, "긍정심리학 프라이머" 물푸레

      65 권석만, "긍정심리학" 학지사 2014

      66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5-74호, 국어과 교육과정"

      67 초등상담나무연구회, "공감대화카드 활용 가이드" 인싸이트 2013

      68 가스통 바슐라르, "공간의 시학" 동문선 2003

      69 나리타 류이치, "고향이라는 이야기" 동국대출판부 2007

      70 방민호, "고등학교 문학" 미래엔 2018

      71 최원식, "고등학교 문학" 창비 2018

      72 한철우, "고등학교 문학" 비상교육 2018

      73 김동황, "고등학교 문학" 천재교과서 2018

      74 김창원, "고등학교 문학" 동아출판 2018

      75 류수열, "고등학교 문학" 금성출판사 2018

      76 이승원, "고등학교 문학" 좋은 책 신사고 2018

      77 정재찬, "고등학교 문학" 지학사 2018

      78 정호웅, "고등학교 문학" 천재교육 2018

      79 조정래, "고등학교 문학" 해냄에듀 2018

      80 이청준, "겨울광장" 한겨레 1987

      81 申鉉奉, "尹東柱 詩의 童心志向性 硏究" 漢陽大學校 敎育大學院 1986

      82 이청준, "1998년 제1회 21세기 문학상 수상작품집" 도서출판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Dong Nam Eo-Mun-Hak-Hoi -> Dongnam Journal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2007-06-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Dong Nam Eo-Mun-Hak-Hoi -> The Society of the Dongnam Language & Literatur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2 0.77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