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속성이 고객의 개인소비가치 및 재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impact of Bakery functional product attributes are in the customer's personal consumption value and repurchase behavi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1794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 주제는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속성에 따른 개인소비가치가 재구매행동에 대한 연관성을 파악하여 소비자의 가치와 더해 베이커리 업계의 경영 발전에 도움을 주는 기초적인 자료로 제공 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학문적인 또한 실무적 자료를 제시하고 향후 기능성 베이커리 제품의 마케팅 방법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선행연구의 연구 자료에서 도출한 문헌과 개념들을 정립하여 변수를 추출하였다. 또한 실증분석 자료를 제시하고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의 4가지로 속성 요인은 품질성, 건강 지향성, 가격성, 다양성을 토대로 연구 하였고,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 종류에는 천연발효 및 건강빵, 유기농제품, 글루텐프리, 비건, 키토제품 등으로 기능성 제품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표본은 광주광역시와 전남 지역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을 구매한 대상을 중심으로 2023년 12월 20일 ~ 2024년 1월 20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유효한 설문지 340부를 통계분석을 위해 SPSS/WIN 통계프로그램 24.0를 활용하였다. 신뢰도 검사를 위해 Cronbach′s α를 사용하고 각 요인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 베이커리 기능성제품속성, 개인소비가치, 재구매 행동에 대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와 같은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에 따른 베이커리 기능성제품속성, 개인소비가치, 재구매 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 One way ANOVA를 사용하였다. 사후검증으로 Scheffe방법을 사용하였고, 각 요인간의 관계는 단순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1인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속성이 개인소비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품질성 요인은 기각이 되어 부분채택이 되었다. 건강지향성, 가격성, 다양성은 개인소비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개인이 가지는 건강관심도나 제품의 합리적 가격과 다양한 구성이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을 선택하고 소비하는 소비자에게 중요한 요인이라 볼 수 있는 반면, 제품의 맛과 향, 품질보다 영양, 효과에 대한 기대와 제품 자체의 역할로 인하여 소비하는 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가설 2인 베이커리 기능성제품속성이 재구매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나타났다. 품질성, 건강지향성, 가격성, 다양성은 재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로 제품 소비가 만족스럽다면 우선적으로 구매하며, 다른 사람에게 권장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셋째, 개인소비가치가 재구매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또한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가 구매 목적을 제품의 기능성에 두고 있고 구매하고 있는 제품들에 품질, 가격, 다양성에 대해 만족하고 개인이 가지는 건강지향성에 맞게 제품이 생산되어 판매된다면 재구매 행동으로 연결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에 개인소비가치가 반영되어 구매하는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 속성요인은 품질성, 건강지향성, 가격성, 다양성으로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의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를 파악하는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개인소비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높은 제품의 속성요인은 가격성, 건강지향성 순이었다. 가격이 다소 높아도 일반적인 베이커리 제품과 비교하여 구매의사에는 긍정적인 소비 성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건강을 강조하고 다양한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 개발로 가치 높일 수 있는 활성화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둘째,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속성은 재구매 행동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기능성 제품의 품질과, 다양성 등 여러 조건을 골고루 갖추어진 기능성 제품 개발에 정진하고 합리적인 가격 제공으로 소비자의 재구매 행동을 증가하는 데 노력을 꾸준히 한다면, 개인소비가치에 만족감을 주고 구매 욕구를 증가시켜서 재구매행동으로 이어진다는 점을 시사한다.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의 소비자의 선호도를 파악한 연구결과로 향후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도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본 논문의 연구가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에 관련한 제품 연구로 구매형태,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를 인지하여 기능성 재료들을 파악하고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에 대한 소비가치를 높이는 마케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보안해서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에 대한 다양한 변수들을 적용하여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결과를 바탕으로 실증적인 연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효율적인 방향의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 주제는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속성에 따른 개인소비가치가 재구매행동에 대한 연관성을 파악하여 소비자의 가치와 더해 베이커리 업계의 경영 발전에 도움을 주는 기초적인 자료로 ...

      본 연구 주제는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속성에 따른 개인소비가치가 재구매행동에 대한 연관성을 파악하여 소비자의 가치와 더해 베이커리 업계의 경영 발전에 도움을 주는 기초적인 자료로 제공 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학문적인 또한 실무적 자료를 제시하고 향후 기능성 베이커리 제품의 마케팅 방법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선행연구의 연구 자료에서 도출한 문헌과 개념들을 정립하여 변수를 추출하였다. 또한 실증분석 자료를 제시하고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의 4가지로 속성 요인은 품질성, 건강 지향성, 가격성, 다양성을 토대로 연구 하였고,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 종류에는 천연발효 및 건강빵, 유기농제품, 글루텐프리, 비건, 키토제품 등으로 기능성 제품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표본은 광주광역시와 전남 지역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을 구매한 대상을 중심으로 2023년 12월 20일 ~ 2024년 1월 20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유효한 설문지 340부를 통계분석을 위해 SPSS/WIN 통계프로그램 24.0를 활용하였다. 신뢰도 검사를 위해 Cronbach′s α를 사용하고 각 요인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 베이커리 기능성제품속성, 개인소비가치, 재구매 행동에 대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와 같은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에 따른 베이커리 기능성제품속성, 개인소비가치, 재구매 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 One way ANOVA를 사용하였다. 사후검증으로 Scheffe방법을 사용하였고, 각 요인간의 관계는 단순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1인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속성이 개인소비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품질성 요인은 기각이 되어 부분채택이 되었다. 건강지향성, 가격성, 다양성은 개인소비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개인이 가지는 건강관심도나 제품의 합리적 가격과 다양한 구성이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을 선택하고 소비하는 소비자에게 중요한 요인이라 볼 수 있는 반면, 제품의 맛과 향, 품질보다 영양, 효과에 대한 기대와 제품 자체의 역할로 인하여 소비하는 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가설 2인 베이커리 기능성제품속성이 재구매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나타났다. 품질성, 건강지향성, 가격성, 다양성은 재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로 제품 소비가 만족스럽다면 우선적으로 구매하며, 다른 사람에게 권장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셋째, 개인소비가치가 재구매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또한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가 구매 목적을 제품의 기능성에 두고 있고 구매하고 있는 제품들에 품질, 가격, 다양성에 대해 만족하고 개인이 가지는 건강지향성에 맞게 제품이 생산되어 판매된다면 재구매 행동으로 연결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에 개인소비가치가 반영되어 구매하는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 속성요인은 품질성, 건강지향성, 가격성, 다양성으로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의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를 파악하는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개인소비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높은 제품의 속성요인은 가격성, 건강지향성 순이었다. 가격이 다소 높아도 일반적인 베이커리 제품과 비교하여 구매의사에는 긍정적인 소비 성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건강을 강조하고 다양한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 개발로 가치 높일 수 있는 활성화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둘째,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속성은 재구매 행동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기능성 제품의 품질과, 다양성 등 여러 조건을 골고루 갖추어진 기능성 제품 개발에 정진하고 합리적인 가격 제공으로 소비자의 재구매 행동을 증가하는 데 노력을 꾸준히 한다면, 개인소비가치에 만족감을 주고 구매 욕구를 증가시켜서 재구매행동으로 이어진다는 점을 시사한다.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의 소비자의 선호도를 파악한 연구결과로 향후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도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본 논문의 연구가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에 관련한 제품 연구로 구매형태,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를 인지하여 기능성 재료들을 파악하고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에 대한 소비가치를 높이는 마케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보안해서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에 대한 다양한 변수들을 적용하여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결과를 바탕으로 실증적인 연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효율적인 방향의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consumption value according to bakery functional product attributes and repurchase behavior, and provide basic data to help develop management in the bakery industry in addition to consumer value. Through this study, we aim to present academic and practical data and help with future marketing methods for functional bakery products.
      Variables were extracted by establishing literature and concepts derived from research data from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empirical analysis data was presented and the attribute factors of four types of bakery functional products were studied based on quality, health orientation, price, and diversity. The types of bakery functional products include naturally fermented and healthy bread, organic products, gluten-free, and vegan. , functional products such as keto products were identified.
      The survey sample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20, 2023 to January 20, 2024, focusing on those who purchased functional bakery product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nam-do. 340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hrough SPSS/WIN statistics for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24.0 was used.
      Cronbach's α was used to test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each factor. In addition,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used for the general information of the research subjects, bakery functional product attributes, personal consumption value, and repurchase behavior, and bakery functional products according to the general information of the research subjects. To determine differences in attributes, personal consumption values, and repurchase behavior, t-test and one way ANOVA were used. The Scheffe method was used as a post-tes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 was analyzed using simple correlation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hypothesis are as follows.
      First, Hypothesis 1, bakery functional product attribute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personal consumption value. However, the quality factor was rejected and partially adopted. Health orientation, price, and diversity were found to have an impact on personal consumption value, which means that the individual's health interest and the reasonable price and diverse composition of the product can be seen as important factors for consumers who select and consume functional bakery products.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consumers consume more due to expectations about nutrition and effectiveness and the role of the product itself rather than the taste, aroma, and quality of the product.
      Second, Hypothesis 2, bakery functional product attribute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repurchase behavior. Quality, health orientation, price, and variety have an effect on repurchase behavior. As a result, if the product consumption is satisfactory, the customer purchases it first and recommends it to others.
      Third, personal consumption valu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repurchase behavior. This also leads to repurchase behavior if consumers who purchase functional bakery products focus on the functionality of the product, are satisfied with the quality, price, and diversity of the products they are purchasing, and if the products are produced and sold in accordance with the individual's health orientation. I was able to confirm that it was connected.
      Th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ttribute factors of bakery functional products that are purchased with personal consumption values ​​reflected in bakery functional products are quality, health orientation, price, and diversity, which is meaningful as a study to understand consumers' preferences for bakery functional products. Looking at the research results, the product attribute factors that had a high impact on personal consumption value were price and health orientation, in that order. Even though the price is somewhat high, the consumption intention was positive compared to general bakery products. Therefore, this suggests that a revitalization plan is needed to emphasize health and increase value through the development of various functional bakery products.
      Second, bakery functional product attributes can be see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repurchase behavior. This means that if we devote ourselves to developing functional products that meet various conditions such as quality and diversity of functional products and make consistent efforts to increase consumers' repurchase behavior by providing reasonable prices, we will provide satisfaction with personal consumption value and increase the desire to purchase. This suggests that it leads to repurchase behavior. As a result of a study that identified consumer preferences for bakery functional products, it can be considered to be highly useful as basic research data in the future.
      Third, this paper's research is a product study related to bakery functional products, and suggests that marketing is necessary to identify functional ingredients and increase the consumption value of bakery functional products by recognizing purchasing patterns and changing consumption trends.
      In future research, the need for efficient research is raised by securing these points and applying various variables to bakery functional products to conduct empirical research based on more specialized and systematic resul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consumption value according to bakery functional product attributes and repurchase behavior, and provide basic data to help develop management in the bakery industry in additi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consumption value according to bakery functional product attributes and repurchase behavior, and provide basic data to help develop management in the bakery industry in addition to consumer value. Through this study, we aim to present academic and practical data and help with future marketing methods for functional bakery products.
      Variables were extracted by establishing literature and concepts derived from research data from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empirical analysis data was presented and the attribute factors of four types of bakery functional products were studied based on quality, health orientation, price, and diversity. The types of bakery functional products include naturally fermented and healthy bread, organic products, gluten-free, and vegan. , functional products such as keto products were identified.
      The survey sample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20, 2023 to January 20, 2024, focusing on those who purchased functional bakery product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nam-do. 340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hrough SPSS/WIN statistics for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24.0 was used.
      Cronbach's α was used to test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each factor. In addition,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used for the general information of the research subjects, bakery functional product attributes, personal consumption value, and repurchase behavior, and bakery functional products according to the general information of the research subjects. To determine differences in attributes, personal consumption values, and repurchase behavior, t-test and one way ANOVA were used. The Scheffe method was used as a post-tes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 was analyzed using simple correlation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hypothesis are as follows.
      First, Hypothesis 1, bakery functional product attribute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personal consumption value. However, the quality factor was rejected and partially adopted. Health orientation, price, and diversity were found to have an impact on personal consumption value, which means that the individual's health interest and the reasonable price and diverse composition of the product can be seen as important factors for consumers who select and consume functional bakery products.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consumers consume more due to expectations about nutrition and effectiveness and the role of the product itself rather than the taste, aroma, and quality of the product.
      Second, Hypothesis 2, bakery functional product attribute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repurchase behavior. Quality, health orientation, price, and variety have an effect on repurchase behavior. As a result, if the product consumption is satisfactory, the customer purchases it first and recommends it to others.
      Third, personal consumption valu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repurchase behavior. This also leads to repurchase behavior if consumers who purchase functional bakery products focus on the functionality of the product, are satisfied with the quality, price, and diversity of the products they are purchasing, and if the products are produced and sold in accordance with the individual's health orientation. I was able to confirm that it was connected.
      Th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ttribute factors of bakery functional products that are purchased with personal consumption values ​​reflected in bakery functional products are quality, health orientation, price, and diversity, which is meaningful as a study to understand consumers' preferences for bakery functional products. Looking at the research results, the product attribute factors that had a high impact on personal consumption value were price and health orientation, in that order. Even though the price is somewhat high, the consumption intention was positive compared to general bakery products. Therefore, this suggests that a revitalization plan is needed to emphasize health and increase value through the development of various functional bakery products.
      Second, bakery functional product attributes can be see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repurchase behavior. This means that if we devote ourselves to developing functional products that meet various conditions such as quality and diversity of functional products and make consistent efforts to increase consumers' repurchase behavior by providing reasonable prices, we will provide satisfaction with personal consumption value and increase the desire to purchase. This suggests that it leads to repurchase behavior. As a result of a study that identified consumer preferences for bakery functional products, it can be considered to be highly useful as basic research data in the future.
      Third, this paper's research is a product study related to bakery functional products, and suggests that marketing is necessary to identify functional ingredients and increase the consumption value of bakery functional products by recognizing purchasing patterns and changing consumption trends.
      In future research, the need for efficient research is raised by securing these points and applying various variables to bakery functional products to conduct empirical research based on more specialized and systematic resul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ⅰ
      • 표 목차 ⅳ
      • 그림목차 ⅵ
      • 국문초록 ⅶ
      • Ⅰ. 서론 1
      • 목차 ⅰ
      • 표 목차 ⅳ
      • 그림목차 ⅵ
      • 국문초록 ⅶ
      • Ⅰ. 서론 1
      • 1. 문제의 제기 및 연구의 목적 1
      • 가. 문제의 제기 1
      • 나. 연구의 목적 2
      •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4
      • 가. 연구의 방법 및 범위 4
      • 나. 연구의 흐름도 6
      • Ⅱ. 이론적 배경 7
      • 1. 베이커리의 이론적 고찰 7
      • 가. 베이커리의 개념 및 유형 7
      • 2.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의 이론적 고찰 11
      • 가. 베이커리 기능성 식품의 개념 11
      • 나.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의 종류 13
      • 다.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속성 18
      • 라.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의 선행 연구 26
      • 3. 개인소비가치의 이론적 고찰 29
      • 가. 개인소비가치의 개념 29
      • 나. 개인소비가치의 선행연구 30
      • 4. 재구매 행동의 이론적 고찰 33
      • 가. 재구매 행동의 개념 33
      • 나. 재구매 행동의 선행연구 35
      • Ⅲ. 연구의 설계와 분석방법 37
      • 1. 연구의 모형과 가설설정 37
      • 가. 연구의 모형 설계 37
      • 나. 연구의 가설 설정 38
      •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설문지 구성 44
      • 가. 변수의 조작적 정의 44
      • 나. 설문지의 구성 48
      • 3. 연구의 방법 50
      • 가. 연구의 대상 및 자료 수집 50
      • 나. 자료 분석 방법 51
      • Ⅳ. 연구의 결과 52
      •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 52
      • 가. 연구대상자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 52
      • 나. 연구대상자의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 인식조사 53
      • 2. 변수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56
      • 가.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의 속성요인에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56
      • 나. 개인소비가치 요인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58
      • 다. 재구매 행동 요인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59
      • 3. 각 요인의 일반적인 경향 61
      • 4.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에 따른 기능성 제품속성, 개인소비
      • 가치, 제품구매행동 차이 62
      • 가. 일반적 사항에 따른 품질성 차이 검증 62
      • 나. 일반적 사항에 따른 가격성 차이 검증 63
      • 다. 일반적 사항에 따른 건강지향성 차이 검증 65
      • 라. 일반적 사항에 따른 다양성 차이 검증 66
      • 마. 일반적 사항에 따른 제품속성(전체) 차이 검증 68
      • 바. 일반적 사항에 따른 개인소비가치 인식 차이 검증 70
      • 사. 일반적 사항에 따른 재구매행동 차이 검증 71
      • 5. 연구의 가설검증 73
      • 가. 상관관계검증 73
      • 나.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속성이 개인 소비 가치에 미치는 영향 관계 74
      • 다. 베이커리 기능성 제품속성이 재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 76
      • 라. 개인소비가치가 재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 77
      • 마. 가설검증 결과요약 77
      • Ⅴ. 결론 및 제언 81
      • 1. 연구의 결론 81
      • 2. 연구의 시사점 84
      • 가. 학문적 시사점 84
      • 나. 실무적 시사점 85
      • 3.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86
      • 가. 연구의 한계점 86
      • 나. 향후 연구 방향 87
      • 참고문헌 89
      • ABSTRACT 105
      • 설문지 1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