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공상세도는 부위별 재료명과 시공 또는 설치 방법 및 마감 상태를 명확히 표기해야 하고, 정확한 치수, 축척, 도면 제목, 관련 도면번호 등의 식별정보를 명시해야 한다.(12) 또한 현장에 종...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255592
2022
Korean
건물정보모델 ; 모델링 상세기준 ; 기계전기소방설비 ; 시공상세도 ; 템플릿 ; Building Information Model ; Level of Development ; MEP/FP ; Shop Drawing ; Template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426-436(1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시공상세도는 부위별 재료명과 시공 또는 설치 방법 및 마감 상태를 명확히 표기해야 하고, 정확한 치수, 축척, 도면 제목, 관련 도면번호 등의 식별정보를 명시해야 한다.(12) 또한 현장에 종...
시공상세도는 부위별 재료명과 시공 또는 설치 방법 및 마감 상태를 명확히 표기해야 하고, 정확한 치수, 축척, 도면 제목, 관련 도면번호 등의 식별정보를 명시해야 한다.(12) 또한 현장에 종사하는 기능공과 엔지니어들이 설계도면 및 시방서 등에 불명확하게 설명된 부분을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시공 시 유의사항 등을 바로 인지할 수 있어야 하므로 부재의 치수, 규격, 위치, 이격, 접합방식 등을 시각적으로 명확히 묘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BIM의 시공성을 향상하기 위해서 BIM 템플릿은 부재의 속성값 정보에 치중하기보다 부재의 형상정보(Geometry)와 부재 간의 위상정보(Topology)를 보다 정량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정의되어야 한다. 구체적인 방안으로 본 연구는 ① 템플릿 구성 시 Material과 Routing을 일반적인 설정값이나 프로그램 기본값으로 설정하는 대신 시방서 및 발주처의 요구사항을 입수하여 프로젝트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정의할 것을 권고하며, ② 특히 Library의 상세수준은 LOD 300을 기본으로 하되 부품과 부재의 종류에 따라(Table 5) LOD 350까지 표현할 것을 권고하는 바이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템플릿 설정을 사용하더라도 추출된 일부 시공상세도는 현장에서 요구하는 수준에 못 미칠 수 있다. 그 이유는 시공상세도에는 부재의 재료, 규격과 같이 BIM에서 직접 추출되는 1차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동일한 접합 부분이라도 시공순서를 고려하여 여러 View를 다양한 Scale에서 보여주는 등(5) 2차적인 분석 및 추론 정보도 함께 표기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현재는 공사수급자의 요구사항대로 모델러가 BIM에서 추출된 시공상세도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수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시공성과 가시성을 고려하여 공사수급자가 원하는 디테일과 관점만을 BIM에서 추론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후속 연구가 시공상세도 추출 자동화를 위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and enhance the constructability of BIM, by suggesting a configuration of BIM template to quickly produce comprehensible shop drawings for domestic MEP/FP construction. Shop drawings that describe how the buil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and enhance the constructability of BIM, by suggesting a configuration of BIM template to quickly produce comprehensible shop drawings for domestic MEP/FP construction. Shop drawings that describe how the building and system components will be fabricated and installed during the construction should graphically depict dimension, specification, location of an element, and spacing and joint method between elements as accurately and precisely as possible. Thus, geometry information of model element and topology information between model elements, should be clearly defined in a MEP/FP BIM template. Specifically, construction specification and client’s requirement should be quantitative defined in advance, and then material and routing settings of the template should be customized with them, rather than using system defaults. While some elements can be modeled at LOD 300, the suggested elements and devices shall be defined at LOD 350.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우진 ; 박진호 ; 차용운 ; 현창택 ; 한상원, "시공단계 BIM 활용을 위한 모델 요구조건 체크리스트 개발 - MEP를 중심으로 -" 한국건설관리학회 20 (20): 22-31, 2019
2 최은혜 ; 이택규 ; 김선혜, "설계단계별 기계설비 BIM 설계 프로세스 및 모델링 상세기준 제안" 대한설비공학회 33 (33): 476-483, 2021
3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M Specification for Mechanical Construction SMCS 31 10 10 :2018"
4 BIM Forum, "Level of Development Specification Version 2021" BIMForum 2022
5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LH Specification for General Mechanical Construction LHCS 10 1005 45: 2020"
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Guideline for Preparing Shop Drawing in Construction"
7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Enforcement Rule Of The Construction Technology Promotion Act Article 40"
8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EC Specification for General Mechanical Construction EXCS 31 10 10:2021"
9 최창현 ; 권대용 ; 조상호 ; 김주형, "BIM기반 MEP공사 시공용 도면 작성 자동화 프로세스 제안" 한국BIM학회 10 (10): 22-31, 2020
10 이상헌 ; 김미경 ; 최현아 ; 전한종, "BIM 템플릿 개발을 위한 템플릿 구성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11 (11): 123-130, 2011
1 김우진 ; 박진호 ; 차용운 ; 현창택 ; 한상원, "시공단계 BIM 활용을 위한 모델 요구조건 체크리스트 개발 - MEP를 중심으로 -" 한국건설관리학회 20 (20): 22-31, 2019
2 최은혜 ; 이택규 ; 김선혜, "설계단계별 기계설비 BIM 설계 프로세스 및 모델링 상세기준 제안" 대한설비공학회 33 (33): 476-483, 2021
3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M Specification for Mechanical Construction SMCS 31 10 10 :2018"
4 BIM Forum, "Level of Development Specification Version 2021" BIMForum 2022
5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LH Specification for General Mechanical Construction LHCS 10 1005 45: 2020"
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Guideline for Preparing Shop Drawing in Construction"
7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Enforcement Rule Of The Construction Technology Promotion Act Article 40"
8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EC Specification for General Mechanical Construction EXCS 31 10 10:2021"
9 최창현 ; 권대용 ; 조상호 ; 김주형, "BIM기반 MEP공사 시공용 도면 작성 자동화 프로세스 제안" 한국BIM학회 10 (10): 22-31, 2020
10 이상헌 ; 김미경 ; 최현아 ; 전한종, "BIM 템플릿 개발을 위한 템플릿 구성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11 (11): 123-130, 2011
11 Deng, M, "Automatic generation of fabrication drawings for facade mullions and transoms through BIM models" 42 : 100964-, 2019
12 The 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AIA Contract Document G202-2013,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Protocol Form"
노후 건축물 그린리모델링안 작성에서 전문가와 건물 사용자 관점의 차이에 따른 에너지 절감효과의 분석
벽체일체형 강제순환 태양열온수기의 열성능 평가(제2보: 시뮬레이션)
높은 환산압력 조건에서 R1234ze(E)의 관내측 응축 현상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7-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 | 0.8 | 0.6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1 | 0.44 | 0.622 | 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