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프로이트-라캉 정신분석학에 대한 뤼스 이리가레의 비판적 독해 = Ruce Irigaray’s Critical Reading of Freud-Lacanian Psycho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510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examines Luce Irigaray, one of the theorists of sexual difference feminism that emerged under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from the late 1970s. Specifically, it focuses on Irigaray’s critical interpretation of Freud-Lacan psychoanalysis. In her seminal work Speculum (1974), Irigaray critiques psychoanalysis for excluding women’s sexual differences from the economy of Western theory in order to reproduce male identity. Furthermore, Irigaray embraces Lacan’s concepts and posits that the sexual difference between women and men is an asymmetrical relationship to the origin (mother). In this process, Irigaray actively embodies women’s sexuality, rejects the view that women’s sexuality is symbolically castrated and excluded, and strives to establish women’s imaginary. This is because if female sexuality, which has historically been defined as castrated throughout Western history, is not positively reconceptualized, the basis of sexual difference, which should be respected and acknowledged by both women and men, will become unclear. Irigaray’s theory, which positively theorizes women’s sexual differences, offers effective capabilities to feminism beyond viewing them as negative. By doing so, Irigaray’s work provides a valuable contribution to the feminist discourse on sexual difference.
      번역하기

      This thesis examines Luce Irigaray, one of the theorists of sexual difference feminism that emerged under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from the late 1970s. Specifically, it focuses on Irigaray’s critical interpretation of Freud-Lacan psychoanalysi...

      This thesis examines Luce Irigaray, one of the theorists of sexual difference feminism that emerged under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from the late 1970s. Specifically, it focuses on Irigaray’s critical interpretation of Freud-Lacan psychoanalysis. In her seminal work Speculum (1974), Irigaray critiques psychoanalysis for excluding women’s sexual differences from the economy of Western theory in order to reproduce male identity. Furthermore, Irigaray embraces Lacan’s concepts and posits that the sexual difference between women and men is an asymmetrical relationship to the origin (mother). In this process, Irigaray actively embodies women’s sexuality, rejects the view that women’s sexuality is symbolically castrated and excluded, and strives to establish women’s imaginary. This is because if female sexuality, which has historically been defined as castrated throughout Western history, is not positively reconceptualized, the basis of sexual difference, which should be respected and acknowledged by both women and men, will become unclear. Irigaray’s theory, which positively theorizes women’s sexual differences, offers effective capabilities to feminism beyond viewing them as negative. By doing so, Irigaray’s work provides a valuable contribution to the feminist discourse on sexual differe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1970년대 후반부터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 하에 부상한 차이 페미니즘의 이론가에 속하는 뤼스 이리가레의 성차 페미니즘을 『반사경』(1974) 에 나타난 프로이트-라캉 정신분석학에 대한 이리가레의 비판적 독해를 통해 살펴 본다. 페미니즘 철학자로서 이리가레의 이론적 발돋움인 『반사경』은, 남성 동일자의 재생산을 위해 여성의 성차(sexuel différence)를 서구 이론의 경제 바깥으로 추방 해온 정신분석학에 대한 비판과 함께 라캉의 개념들을 비판적으로 수용해 여성과 남성 간의 성차를 어머니라는 최초의 타자이자 기원에 대한 서로 다른 비대칭적 관계 맺음으로 보는 관계적 차이로 정의한다. 이 과정에서 이리가레는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적극적으로 형상화하고 재개념화하며 여성의 성욕이 상징적으로 거세되어 폐제(forclusion)된 것으로 보는 입장을 거부하며 여성의 상상계를 구축하고자 노력한다. 서구 역사를 통틀어 언제나 거세된 것으로 규정되었던 여성의 섹슈얼리티가 긍정적으로 재개념화되지 않는다면, 성차라는 존중되고 인정되어야 할 근본적인 타자성의 토대 역시 불분명해질 것이기 때문이다. 여성의 성차를 부정성으로 보는 것을 넘어 긍정적으로 이론화하는 이리가레의 이론은 여전히 페미니즘에 유효한 역량을 가져다줄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1970년대 후반부터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 하에 부상한 차이 페미니즘의 이론가에 속하는 뤼스 이리가레의 성차 페미니즘을 『반사경』(1974) 에 나타난 프로이트-라캉 정신분석학...

      이 논문은 1970년대 후반부터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 하에 부상한 차이 페미니즘의 이론가에 속하는 뤼스 이리가레의 성차 페미니즘을 『반사경』(1974) 에 나타난 프로이트-라캉 정신분석학에 대한 이리가레의 비판적 독해를 통해 살펴 본다. 페미니즘 철학자로서 이리가레의 이론적 발돋움인 『반사경』은, 남성 동일자의 재생산을 위해 여성의 성차(sexuel différence)를 서구 이론의 경제 바깥으로 추방 해온 정신분석학에 대한 비판과 함께 라캉의 개념들을 비판적으로 수용해 여성과 남성 간의 성차를 어머니라는 최초의 타자이자 기원에 대한 서로 다른 비대칭적 관계 맺음으로 보는 관계적 차이로 정의한다. 이 과정에서 이리가레는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적극적으로 형상화하고 재개념화하며 여성의 성욕이 상징적으로 거세되어 폐제(forclusion)된 것으로 보는 입장을 거부하며 여성의 상상계를 구축하고자 노력한다. 서구 역사를 통틀어 언제나 거세된 것으로 규정되었던 여성의 섹슈얼리티가 긍정적으로 재개념화되지 않는다면, 성차라는 존중되고 인정되어야 할 근본적인 타자성의 토대 역시 불분명해질 것이기 때문이다. 여성의 성차를 부정성으로 보는 것을 넘어 긍정적으로 이론화하는 이리가레의 이론은 여전히 페미니즘에 유효한 역량을 가져다줄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초롱, "현대 프랑스 페미니즘이 직면한 현실 (1) - 미국산 프랑스 페미니즘의 탄생과 확산을 중심으로" 국제비교한국학회 23 (23): 311-355, 2015

      2 이리가레, 뤼스, "하나이지 않은 성" 동문선

      3 밋첼, 스테판, "프로이트 이후"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0

      4 라이트, 엘리자베스, "페미니즘과 정신분석학 사전" 한신문화사 1997

      5 황주영, "페미니즘과 자연 : 성차이론과 에코페미니즘의 절합" 서울시립대학교 2022

      6 버틀러, 주디스, "젠더 트러블" 문학동네 2008

      7 이명호, "인류세의 성 정치학: 조에 평등주의와 페미니즘의 재구성" 비교문화연구소 62 : 29-52, 2021

      8 황주영, "이리가레의 스펙쿨룸 : 성차와 여성의 정체성" 35 : 10-33, 2008

      9 라캉, 자크, "에크리" 새물결 2019

      10 프로이트, 지그문드, "성욕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 열린책들 1996

      1 강초롱, "현대 프랑스 페미니즘이 직면한 현실 (1) - 미국산 프랑스 페미니즘의 탄생과 확산을 중심으로" 국제비교한국학회 23 (23): 311-355, 2015

      2 이리가레, 뤼스, "하나이지 않은 성" 동문선

      3 밋첼, 스테판, "프로이트 이후"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0

      4 라이트, 엘리자베스, "페미니즘과 정신분석학 사전" 한신문화사 1997

      5 황주영, "페미니즘과 자연 : 성차이론과 에코페미니즘의 절합" 서울시립대학교 2022

      6 버틀러, 주디스, "젠더 트러블" 문학동네 2008

      7 이명호, "인류세의 성 정치학: 조에 평등주의와 페미니즘의 재구성" 비교문화연구소 62 : 29-52, 2021

      8 황주영, "이리가레의 스펙쿨룸 : 성차와 여성의 정체성" 35 : 10-33, 2008

      9 라캉, 자크, "에크리" 새물결 2019

      10 프로이트, 지그문드, "성욕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 열린책들 1996

      11 이리가레, 뤼스, "반사경 : 타자인 여성에 대하여" 꿈꾼문고 2021

      12 그로츠, 엘리자베스, "몸 페미니즘을 향해" 꿈꾼문고 2019

      13 이리가레, 뤼스, "나, 너, 우리 : 차이의 문화를 위하여" 동문선 1996

      14 Lacan, L., "Écrits" Seuil 1996

      15 Amber Jacobs, "The Potential of Theory: Melanie Klein, Luce Irigaray, and th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Cambridge University Press (CUP) 22 (22): 175-193, 2007

      16 Elizabeth Grosz, "The Nature of Sexual Differenceirigaray and Darwin" Informa UK Limited 17 (17): 69-93, 2012

      17 Irigaray, L., "Speculum of the Other Woman" Cornell University Press 1985

      18 Lacan, L., "On Feminine Sexuality, the Limits of Love and Knowledge The Seminar of Jacques Lacan, Book XX, Encore" Norton 1999

      19 Whitford, M., "Luce Irigaray and the Female Imaginary" 43 : 1986

      20 Stone, A., "Irigaray’s Ecological Phenomenology: Towards an Elemental Materialism" 40 : 2015

      21 Deutscher, P., "Irigaray anxietyLuce Irigaray and her ethics for improper selves" 80 : 1996

      22 Margaret Whitford, "Irigaray and the Culture of Narcissism" SAGE Publications 20 : 27-41, 2003

      23 Roberts, L., "Irigaray and PoliticsA Critical Introduction"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9

      24 Gallop, J., "Feminism and Psychoanalysis (The Daughter’s Seduction)" Palgrave Macmillan 198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