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벤야민의 이름으로 : 반(反)폭력과 비폭력의 토포스 = In Benjamin’s name: The Tópos of Counter-Violence and Nonviol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510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ssay aims to establish ‘nonviolence’ as the ultimate criticism of violence in contemporary discourse, given the absence of viable alternative approaches and the emergence of a new paradigm of violence in the 21st century. To achieve this, the essay draws upon the idea of three influential thinkers on violence : Étienne Balibar, Walter Benjamin, and Judith Butler. Balibar, a Marxist theorist proposes a politics of ‘counter-violence’ or ‘politics of civility’ as a realistic alternative to the binary opposition of violence and nonviolence. Benjamin and Butler seek to transcend the world of violence through the practical power of ‘nonviolence’ which is neither oppositional violence nor counter-violence. The politics of nonviolence proposed in this essay avoids blind pacifism and ineffective peace activitism, and rejects discources that manipulate a nonviolence as a principle without demonstrating its efficacy as a means. Instead, the theory of ‘contentious nonviolence’ opposes violence while providing effective theoretical guidance to critique the pathologized fear of violence and the disengaged nonviolence based on negative affirmation. The main argument of this essay is that contentious nonviolence can prevent the potential regression into another form of violence while offering valid theoretical guidance to criticize the unproductive and uncritical stance of nonviolence due to pathological fear of violence.
      번역하기

      This essay aims to establish ‘nonviolence’ as the ultimate criticism of violence in contemporary discourse, given the absence of viable alternative approaches and the emergence of a new paradigm of violence in the 21st century. To achieve this, th...

      This essay aims to establish ‘nonviolence’ as the ultimate criticism of violence in contemporary discourse, given the absence of viable alternative approaches and the emergence of a new paradigm of violence in the 21st century. To achieve this, the essay draws upon the idea of three influential thinkers on violence : Étienne Balibar, Walter Benjamin, and Judith Butler. Balibar, a Marxist theorist proposes a politics of ‘counter-violence’ or ‘politics of civility’ as a realistic alternative to the binary opposition of violence and nonviolence. Benjamin and Butler seek to transcend the world of violence through the practical power of ‘nonviolence’ which is neither oppositional violence nor counter-violence. The politics of nonviolence proposed in this essay avoids blind pacifism and ineffective peace activitism, and rejects discources that manipulate a nonviolence as a principle without demonstrating its efficacy as a means. Instead, the theory of ‘contentious nonviolence’ opposes violence while providing effective theoretical guidance to critique the pathologized fear of violence and the disengaged nonviolence based on negative affirmation. The main argument of this essay is that contentious nonviolence can prevent the potential regression into another form of violence while offering valid theoretical guidance to criticize the unproductive and uncritical stance of nonviolence due to pathological fear of viole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21세기 폭력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이에 대한 대안 부재적 상황을 전제로 폭력에 관한 종래의 세 가지 담론들, 즉 대항 폭력, 반폭력, 그리고 비폭력 사이에서 ‘비폭력’에 대한 새로운 성찰을 통해 폭력을 둘러싼 담론장 내에 비폭력을 폭력비판의 최종심급으로 자리 지정하기 위한 시도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에띠엔 발리바르(É. Balibar), 발터 벤야민(W. Benjamin), 주디스 버틀러(J. Butler)라는 세 사상가의 폭력 담론을 경유한다. 마르크스주의 이론가 발리바르가 대항 폭력과 비폭력 사이에서 ‘폭력에 반대’하는 ‘반폭력의 정치’ 또는 ‘시민다움(civilité)의 정치’ 를 폭력에 대한 현실적 대안으로 제시하는 데 그친 반면, 벤야민과 버틀러는 대항 폭력도 반폭력도 아닌 ‘비폭력’에서 폭력의 세계를 돌파할 수 있는 실천적 힘을 찾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 글이 제안하려는 비폭력의 정치는 맹목적 박애주의의 실천이나 무능한 평화주의에의 요구와 일정한 거리를 둘 뿐만 아니라, 원칙으로서의 비폭력주의는 인정하되, 그 수단의 효율성이 입증될 수 없기에 불가능한 당위적 요구로 비폭력주의를 호도하는 기존의 담론과도 단절한다. 쟁투적 비폭력주의는 폭력에 반대하면서도 또 다른 폭력으로 회귀할 위험성을 미리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폭력에 대한 병적 포비아 때문에 탈맥락적인 비폭력주의가 갖는 부정의한 현실 인준적 태도 또한 비판할 수 있는 유효한 이론적 지침을 마련해 준다는 것이 이 글의 주장이다.
      번역하기

      이 글은 21세기 폭력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이에 대한 대안 부재적 상황을 전제로 폭력에 관한 종래의 세 가지 담론들, 즉 대항 폭력, 반폭력, 그리고 비폭력 사이에서 ‘비폭력’에 대한 새로...

      이 글은 21세기 폭력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이에 대한 대안 부재적 상황을 전제로 폭력에 관한 종래의 세 가지 담론들, 즉 대항 폭력, 반폭력, 그리고 비폭력 사이에서 ‘비폭력’에 대한 새로운 성찰을 통해 폭력을 둘러싼 담론장 내에 비폭력을 폭력비판의 최종심급으로 자리 지정하기 위한 시도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에띠엔 발리바르(É. Balibar), 발터 벤야민(W. Benjamin), 주디스 버틀러(J. Butler)라는 세 사상가의 폭력 담론을 경유한다. 마르크스주의 이론가 발리바르가 대항 폭력과 비폭력 사이에서 ‘폭력에 반대’하는 ‘반폭력의 정치’ 또는 ‘시민다움(civilité)의 정치’ 를 폭력에 대한 현실적 대안으로 제시하는 데 그친 반면, 벤야민과 버틀러는 대항 폭력도 반폭력도 아닌 ‘비폭력’에서 폭력의 세계를 돌파할 수 있는 실천적 힘을 찾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 글이 제안하려는 비폭력의 정치는 맹목적 박애주의의 실천이나 무능한 평화주의에의 요구와 일정한 거리를 둘 뿐만 아니라, 원칙으로서의 비폭력주의는 인정하되, 그 수단의 효율성이 입증될 수 없기에 불가능한 당위적 요구로 비폭력주의를 호도하는 기존의 담론과도 단절한다. 쟁투적 비폭력주의는 폭력에 반대하면서도 또 다른 폭력으로 회귀할 위험성을 미리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폭력에 대한 병적 포비아 때문에 탈맥락적인 비폭력주의가 갖는 부정의한 현실 인준적 태도 또한 비판할 수 있는 유효한 이론적 지침을 마련해 준다는 것이 이 글의 주장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아감벤, 조르조, "호모사케르" 새물결 2008

      2 지젝, 슬라보예, "폭력이란 무엇인가" 난장이

      3 홉스봄, 에릭, "폭력의 시대" 민음사 2008

      4 아렌트, 한나, "폭력의 세기" 이후 1999

      5 소렐, G, "폭력에 대한 성찰" 나남 2007

      6 발리바르, 에띠엔, "폭력과 시민다움" 난장이 2012

      7 프레이저, 낸시, "좌파의 길" 서해문집 2023

      8 아렌트, 한나, "전체주의의 기원" 한길사 2004

      9 진태원, "을들의 민주주의" 그린비 2017

      10 마르크스, 칼, "유대인 문제에 관하여" 책세상 2015

      1 아감벤, 조르조, "호모사케르" 새물결 2008

      2 지젝, 슬라보예, "폭력이란 무엇인가" 난장이

      3 홉스봄, 에릭, "폭력의 시대" 민음사 2008

      4 아렌트, 한나, "폭력의 세기" 이후 1999

      5 소렐, G, "폭력에 대한 성찰" 나남 2007

      6 발리바르, 에띠엔, "폭력과 시민다움" 난장이 2012

      7 프레이저, 낸시, "좌파의 길" 서해문집 2023

      8 아렌트, 한나, "전체주의의 기원" 한길사 2004

      9 진태원, "을들의 민주주의" 그린비 2017

      10 마르크스, 칼, "유대인 문제에 관하여" 책세상 2015

      11 발리바르, 에띠엔, "우리, 유럽의 시민들?" 후마니타스 2010

      12 아감벤, 조르조, "예외 상태" 새물결 2009

      13 베버, 막스, "소명으로서의 정치" 후마니타스 2013

      14 버틀러, 주디스, "비폭력의 힘" 문학동네 2021

      15 데리다, 자크, "법의 힘" 문학과 지성사 2012

      16 아감벤, 조르조, "목적 없는 수단" 난장이 2009

      17 키테이, 에바 페더, "돌봄: 사랑의 노동" 박영사 2016

      18 파농, 프란츠, "대지의 저주받은 자들" 그린비 2004

      19 발리바르, 에띠엔, "대중들의 공포" 도서출판 b

      20 Benjamin, W., "Walter Benjamin Gesammelte Schriften Ⅳㆍ1" Suhrkamp 1991

      21 Benjamin, W., "Walter Benjamin Gesammelte Schriften Ⅱ⋅1" Suhrkamp 1991

      22 Benjamin, W., "Walter Benjamin Gesammelte Schriften Ⅱ⋅1" Suhrkamp 1991

      23 Luca Basso, "The Ambivalence of Gewalt in Marx and Engels: On Balibar's Interpretation" Brill 17 (17): 215-236, 2009

      24 Butler, J., "Precarious Life" Verso 2006

      25 Demirovic, A., "Nach Marx" Suhrkamp 2014

      26 Menke, Ch., "Nach Marx" Suhrkamp 2014

      27 Balibar, É., "Nach Marx" Suhrkamp 2014

      28 Marx, K., "MEW., Bd.4" Dietz 1983

      29 Marx, K., "MEW., Bd.23" Dietz 1975

      30 Marx, K., "MEW., Bd.1" Dietz 1983

      31 Marx, K., "MEW., Bd., 18" Dietz 1973

      32 Marx, K., "MEW., Bd. 19" Dietz 1972

      33 Engels, F., "MEW. Bd.21" Dietz 1981

      34 Engels, F., "MEGA2 I/27" Dietz 1988

      35 Menke, Ch., "Law and violenc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18

      36 Kant, I., "Kritik der reinen Vernunft" Felix Meiner 1956

      37 Menke, Ch., "Kritik der Rechte" Suhrkamp 2015

      38 Simon Swift, "Hannah Arendt, violence and vitality" SAGE Publications 16 (16): 357-376, 2013

      39 Menke, Ch., "Gewalt und Gerechtigkeit Derrida-Benjamin" Suhrkamp 1994

      40 Menke, Ch., "Die Möglichkeit der Revolution" Juli Kletta-Cotta Verlag 69 : 2015

      41 Figal, G., "Dialektischer Negativismus" Suhrkamp 1992

      42 Stacy Clifford Simplican, "Care, disability and violence: theorizing complex dependency in Eva Kittay and Judith Butl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CUP) 30 (30): 217-233, 2015

      43 Honneth, A., "Benjamin-Handbuch: Leben, Werk, Wirkung" J. B. Metzler Verlag 2006

      44 Menke, Ch., "Autonomie und Befreiung" Suhrkamp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