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교육과정을 자율화하기 위한 학교와 국가 두 차원의 기반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리고 이런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자율화를 위한 지역(시도 교육청과 교육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354983
2021
-
KCI등재
학술저널
27-48(2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교육과정을 자율화하기 위한 학교와 국가 두 차원의 기반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리고 이런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자율화를 위한 지역(시도 교육청과 교육지...
이 연구는 교육과정을 자율화하기 위한 학교와 국가 두 차원의 기반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리고 이런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자율화를 위한 지역(시도 교육청과 교육지원청) 차원에서 할 수 있는 역할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교 차원에서는 새교육-열린교육-혁신학교 운동을 해 오는 동안 교사들이 차시나 단원을 재구성하고 개발하는 경험을 축적해 왔다는 점에서, 교육과정을 자율화 하는데 필요한 로컬에서 교육과정을 개발해서 실천할 만한 준비를 어느 정도 갖추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국가 차원에서는 그 동안의 교육과정 정책을 교육과정분권화-교육과정 지역화 및 교육과정 다양화하는 방향으로 추진해 왔다는 점에서, 교육과정 자율화를 위한 정책적 기반을 어느 정도 조성해 왔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은 교육청과 지원청의 역할 초점을 정하고, 교육과정을 자율화하는 새로운 시스템을 만들어서 작동시키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oundation of two dimensions: school and country to autonomous curriculu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d a role that can be played at the local level (city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and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oundation of two dimensions: school and country to autonomous curriculu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d a role that can be played at the local level (city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and education support offices) for the autonomy of the curriculum. First of all, the study found that teachers have accumulated experiences in reorganizing and developing through new education, open education, and innovation school campaigns, And teachers are somewhat prepared to develop and implement local curricula needed to autonomy of the curriculum.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a policy foundation for autonomy of curriculum, decentralization of curriculum and diversification of curriculum. Based on these findings, we propose that the region should focus on the role of the Office of Education and the Support, and play a role in creating and operating a new system that autonomy the curriculum.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석민, "현행 초등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153-174, 2010
2 김종서, "현장 연구법의 이론과 실제" 배영사 1968
3 서근원, "혁신학교는 수업을 혁신하는가?" 한독교육학회 23 (23): 67-87, 2018
4 이경아, "혁신학교 운영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26 (26): 75-100, 2016
5 정광순, "행복학교 학교교육과정의 의미" 경상남도 교육청 혁신과 6-31, 2018
6 강일국, "해방 후 초등학교 현장의 교육과정 개혁 -새교육운동 주도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0 (20): 5-117, 2002
7 정영근, "한국의 학교수준 교육과정 개발(SBCD) 유형특징의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0 (20): 3-75, 2002
8 이혁규, "한국의 수업 연구 역사에 대한 일 견해" 교육연구소 25 (25): 57-82, 2019
9 소경희, "한국의 국가교육과정의 변천과 최근의 개혁 동향" 교육종합연구원 28 (28): 87-103, 2019
10 정진곤, "한국에서의 열린교육 운동의 전개과정과 특성" 9 (9): 177-196, 1999
1 최석민, "현행 초등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153-174, 2010
2 김종서, "현장 연구법의 이론과 실제" 배영사 1968
3 서근원, "혁신학교는 수업을 혁신하는가?" 한독교육학회 23 (23): 67-87, 2018
4 이경아, "혁신학교 운영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26 (26): 75-100, 2016
5 정광순, "행복학교 학교교육과정의 의미" 경상남도 교육청 혁신과 6-31, 2018
6 강일국, "해방 후 초등학교 현장의 교육과정 개혁 -새교육운동 주도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0 (20): 5-117, 2002
7 정영근, "한국의 학교수준 교육과정 개발(SBCD) 유형특징의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0 (20): 3-75, 2002
8 이혁규, "한국의 수업 연구 역사에 대한 일 견해" 교육연구소 25 (25): 57-82, 2019
9 소경희, "한국의 국가교육과정의 변천과 최근의 개혁 동향" 교육종합연구원 28 (28): 87-103, 2019
10 정진곤, "한국에서의 열린교육 운동의 전개과정과 특성" 9 (9): 177-196, 1999
11 오천석, "한국신교육사" 교육과학사 2014
12 유승희, "한국 초등학교 저학년 열린 교실의 특성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6 (6): 145-180, 1998
13 손인수, "한국 군정 교육의 역사적 평가" 13 : 1-89, 1991
14 정광순, "한 교사의 열린교육 체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열린교육학회 12 (12): 1-23, 2004
15 이정훈, "학습공동체로서의 작은 학교 운동에 관한 연구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16 (16): 23-44, 2003
16 정광순, "학교중심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개발 관점 탐색" 4 : 87-109, 2003
17 김춘일, "학교중심 교육과정의 의의와 개발 운영을 위한 과제" 12 : 17-38, 1993
18 최호성, "학교 중심의 자율성을 살리는 교육과정" 15 (15): 151-172, 1997
19 고전, "학교 자율화 정책의 특성과 과제 - 5.31 교육개혁에서 4.15 학교자율화 추진계획까지 -" 한국초등교육학회 21 (21): 199-221, 2008
20 백경선,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에 대한 초등 교원의 인식 조사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47-73, 2010
21 최태호,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을 통한 학교자치 실현 가능성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277-296, 2011
22 정영근,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운영 실태 및 지원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23 박승배, "전라북도 제1기 혁신학교 성과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7 (27): 27-51, 2014
24 이원철, "자율화 시대"
25 김재춘, "이명박 정부의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에 대한 비판적 논의" 한국교육과정학회 29 (29): 47-68, 2011
26 강이화,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변화 추이 분석 - 교육과정 자율화의 관점에서" 한국교육사상학회 30 (30): 1-24, 2016
27 이인효, "열린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및 수업 방법 실행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6
28 김재웅, "열린교육 정책에 대한 교사집단의 불순응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19 (19): 219-238, 2011
29 박수일, "열린교육 교육활동 사례" 3 (3): 139-141, 1995
30 이용숙, "열린교과교육의 실천" 4 (4): 157-165, 1996
31 이윤미, "아비투스 분석으로 본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32 이부영, "서울형 혁신학교 이야기" 살림터 2013
33 김영주, "새로운 물결, 스몰 스쿨" (가을) : 34-39, 1999
34 김세기, "새교육체제 성공사례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79
35 정광순, "새교육, 열린교육, 혁신학교 운동으로 본 초등학교 수업의 변화" 한국초등교육학회 33 (33): 353-378, 2020
36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회, "미래형 교육과정 이렇게 바뀌어야 합니다"
37 이상록, "미군정기 새교육운동과 초등학교 규율연구: 일제말기 초등학교 귤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35 : 114-146, 2000
38 김경희, "국제학업성취도 평가에 나타난 학력의 상향 평준화 현상 심층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39 정기오, "국가교육과정의 법적 성격 지위 및 기능에 관한 연구" 대한교육법학회 21 (21): 275-298, 2009
40 박순경, "국가 교육과정 적용에서의 교육과정 지역화의 실효성 논의(I)- 시·도교육청 수준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의 연구·개발 과업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과정학회 21 (21): 111-127, 2003
41 교육혁신위원회, "교육혁신위원회 2년 활동 백서"
42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1992-16호에 따른 국민학교 교육과정 해설(I)"
43 조영태, "교육내용의 성격: <中庸>의 관점" 한국교육과정학회 20 (20): 23-50, 2002
44 박순경, "교육과정‘지역화’의 흐름과 자리매김"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85-105, 2010
45 박채형, "교육과정 지역화의 성격과 과제" 한국교육과정학회 21 (21): 6-132, 2003
46 김평국, "교육과정 지역화의 가능성과 쟁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47 방기용, "교육과정 자율화의 특징 분석 및 시사점" 31 (31): 53-69, 2010
48 성열관, "교육과정 자율화에 대한 다차원적 논의" (54) : 2008
49 조난심, "교육과정 자율화 현장 적용 모형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50 허숙,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과 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방향"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81-98, 2012
51 정영근,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 수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고찰" 한국교육과정학회 29 (29): 93-119, 2011
52 이옥식, "교육과정 자율화" 한국교육학회 265-268, 2010
53 박순경, "교육과정 분권화의 출발점과 방향 타진을 위한 시론(始論)" 한국교육과정학회 26 (26): 87-105, 2008
54 박순경, "교육과정 분권화의 실태 및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55 신은희, "교육과정 변화에 대한 신제도주의 분석: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정책대학원 2019
56 정광순, "교육과정 거버넌스 실행 모델 연구"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2020
57 정영근, "교육과정 개발 정책으로서의 SBCD 등장의 사적 배경과 성립에 관한 고찰" 한국교육사상학회 26 (26): 111-133, 2012
58 교육인적자원부정책위원회, "교육 개혁 추진 평가 연구" 교육인적자원정책위원회 2002
59 정광순,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문해력"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6 (6): 109-132, 2012
60 강혜영, "고교평준화 정책의 적합성 연구: 학교교육의 실태와 보안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05
61 조동섭, "고교 평준화 정책 분석" 춘천교육대학교 71-91, 1999
62 Boone, S., "Using organizational learning to increase operational and conceptual mental models with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5 (5): 85-99, 2014
63 Gawlik, M. A., "Shared sense-making: How charter school leaders ascribe meaning to accountability" 53 (53): 393-415, 2015
64 Center for Educational Research and Innovation,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OECD 1979
65 Kennedy, K. J.,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as a Policy Option for the 1990s: An Australian Perspective" 7 (7): 180-195, 1992
66 정영근, "SBCD의 교육과정 개발 방법의 고찰" 18 (18): 297-322, 2000
67 Kondakci, Y., "Readiness of teachers for change in schools" 20 (20): 176-197, 2015
68 Miles, M. B., "Mustering the will and skill for change" 47 (47): 57-, 1990
69 Spillane, J. P., "Managing in the middle : School leaders and the enactment of accountability policy" 16 (16): 731-762, 2002
70 Susan M. Drake, "Learning about Curriculum Integration in Hong Kong and South Korea"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4 (4): 31-42, 2010
71 Hargreaves, D. H., "Leading a self-improving school system" National College for School Leadership 2011
72 Cuban, L., "Inside the blank box of classroom practice" Harvard Education Press 2013
73 Cuban, L., "Handbook of research on curriculum" Macmillan 216-247, 1992
74 Shubert, W. H., "Curriculum Books The First Hundred Years" Peter Lang 2002
75 강충열, "7차 교육과정의 지역화⁃개별화 실천 방안 연구" 교육부 2000
76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교육과학기술부 고시 2009-41호 2009.12. 23)"
77 한혜정, "2009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학교자율과정’ 편성 현황 분석 및 시사점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9 (29): 69-90, 2011
교육과정 외적 변화를 통해 본 통합교과 교육과정 구조의 변화 가능성 탐구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시 초등교사가 겪는 어려움 및 개선방안 탐색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9 | 1.09 | 1.0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3 | 0.99 | 1.559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