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심외무물(心外無物), 심외무리(心外無理), 심외무사(心外無事)에 대한 왕양명의 논증을 고찰하면서 다음과 같은 것을 주장한다. (1) 심외무물에 대한 왕양명의 논증은 타당하지 않다. 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365635
200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01-329(29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나는 심외무물(心外無物), 심외무리(心外無理), 심외무사(心外無事)에 대한 왕양명의 논증을 고찰하면서 다음과 같은 것을 주장한다. (1) 심외무물에 대한 왕양명의 논증은 타당하지 않다. 그...
나는 심외무물(心外無物), 심외무리(心外無理), 심외무사(心外無事)에 대한 왕양명의 논증을 고찰하면서 다음과 같은 것을 주장한다. (1) 심외무물에 대한 왕양명의 논증은 타당하지 않다. 그 논증이 타당하다고 해도, 그것은 왕양명의 도덕적 관심에 방해되는 관념론을 함축할 뿐이다. (2) 심외무리에 대한 논증은 기껏해야 의미관념론을 함축할 뿐이다. 그런데 이것은 후기 비트겐슈타인이 비판하고 있는 사적 언어에 불과하다. (3) 사건의 개념이 인간적 행위나 인간적 사건에 한정될 때, 심외무사에 대한 왕양명의 논증은 그의 의도를 가장 잘 보여주고 있다. 그렇지만 그는 도덕 행위 작용과 도덕 행위의 결과를 구분하고 있지 않다. (4) 심외무사를 통해 왕양명이 주장하는 것은 바로 인간의 도덕성은 행위나 실천으로 나타나야 하며, 또 그러한 도덕행위는 자율적인 동기에 근거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가 이 주장을 거부할 이유는 없는 것처럼 보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vestigating Wang Yangming's contention that "there is no things, no principles, and no affairs outside mind", I claim as follows; (1) Wang's argument for "there is no things outside mind" is invalid. Even though it is valid, it implies the ideali...
Investigating Wang Yangming's contention that "there is no things, no principles, and no affairs outside mind", I claim as follows;
(1) Wang's argument for "there is no things outside mind" is invalid. Even though it is valid, it implies the idealism, which is constraint on his moral purpose.
(2) Wang's argument for "there is no principles outside mind" implies the private language. According Wittgenstein, the private langage is an idle language.
(3) Wang's argument for "there is no affairs outside mind" is acceptable. But the affairs depending on our mind should be human events or human actions. Wang fails to distinguish the result of human action from the motive of human action.
(4) The basic ideas shown by the argument that "there is no human affairs outside mind"is acceptable. Because human's morality must be manifest through human action and such moral actions are grounded on the autonomous human motive.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인재, "현상학적 윤리학 정립을 위한 양명 철학적 시론(철학과 현상학 연구)" 한국현상학회 2004
2 조남호, "최재목,『내마음이 등불이다』에 대한 서평" 한국양명학회 (10) : 367-372, 2003
3 풍우란, "중국철학사" 형설출판사 1997
4 왕양명, "전습록" 평민사 2000
5 채인후, "왕양명 철학" 서광사 1996
6 진래, "양명철학" 예문서원 2003
7 황갑연, "심학 체계에서 보는 ‘심생물(心生物)’의 의미(왕양명 철학연구)" 청계 2001
8 정인재, "동서양의 실재관" 정신문화연구원 11 : 1994
9 최재목, "내 마음이 등불이다" 이학사 2003
1 정인재, "현상학적 윤리학 정립을 위한 양명 철학적 시론(철학과 현상학 연구)" 한국현상학회 2004
2 조남호, "최재목,『내마음이 등불이다』에 대한 서평" 한국양명학회 (10) : 367-372, 2003
3 풍우란, "중국철학사" 형설출판사 1997
4 왕양명, "전습록" 평민사 2000
5 채인후, "왕양명 철학" 서광사 1996
6 진래, "양명철학" 예문서원 2003
7 황갑연, "심학 체계에서 보는 ‘심생물(心生物)’의 의미(왕양명 철학연구)" 청계 2001
8 정인재, "동서양의 실재관" 정신문화연구원 11 : 1994
9 최재목, "내 마음이 등불이다" 이학사 2003
The Philosophical Method of Dai Zhen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陽明學 -> 양명학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3 | 0.63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2 | 0.39 | 1.123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