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생성형 AI를 활용한 한국어 신어의 사전 항목 자동 생성과 평가 = AI-Based Automated Generation and Expert Evaluation of Dictionary Entries for Korean Neologis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366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생성형 AI를 활용해 한국어 신어에 대한 사전 항목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그 결과를 평가해 신어 연구 및 사전학 분야에서 생성형 AI의 활용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에서 출현 빈도가 3회 이상 관찰되는 신어 9개를 선정하고, GPT-4o 모델을 활용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실험을 수행했다. 실험 결과, 형식 항목에서는 합성어 유형의 생성 정확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혼성어 및 두음절어 유형에서는 형태 단위의 체계적인 분석과 조어 유형 분류 능력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내용 항목 중 뜻풀이는 신어에 담긴 표현 의도와 의미 맥락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였으며, 용례는 사용 맥락, 연어 구성 등 다양한 측면에서 전형성이 떨어지는 등의 한계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생성형 AI가 신어 자료 구축의 초기 단계에서 초안 생성을 위한 도구로는 부분적으로 활용 가능하지만, 최종적인 사전 기술을 위해서는 사전 편찬자의 후편집과 개입이 여전히 필수적임을 보여 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생성형 AI를 활용해 한국어 신어에 대한 사전 항목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그 결과를 평가해 신어 연구 및 사전학 분야에서 생성형 AI의 활용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본 연구는 생성형 AI를 활용해 한국어 신어에 대한 사전 항목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그 결과를 평가해 신어 연구 및 사전학 분야에서 생성형 AI의 활용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에서 출현 빈도가 3회 이상 관찰되는 신어 9개를 선정하고, GPT-4o 모델을 활용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실험을 수행했다. 실험 결과, 형식 항목에서는 합성어 유형의 생성 정확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혼성어 및 두음절어 유형에서는 형태 단위의 체계적인 분석과 조어 유형 분류 능력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내용 항목 중 뜻풀이는 신어에 담긴 표현 의도와 의미 맥락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였으며, 용례는 사용 맥락, 연어 구성 등 다양한 측면에서 전형성이 떨어지는 등의 한계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생성형 AI가 신어 자료 구축의 초기 단계에서 초안 생성을 위한 도구로는 부분적으로 활용 가능하지만, 최종적인 사전 기술을 위해서는 사전 편찬자의 후편집과 개입이 여전히 필수적임을 보여 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and limitations of generative AI in lexicography by automatically generating dictionary entries for Korean neologisms. Using the GPT-4o model with prompt engineering and chain-of-thought (CoT) prompting, 9 neologisms with at least three online occurrences were tested. Results show relatively high accuracy in compounding within formal components, while blending and acronyms revealed weaknesses in morphological analysis and classification. Definitions often missed contextual nuances, and example sentences lacked prototypical usage and appropriate colloc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enerative AI may assist in drafting entries for neologism documentation, particularly during the early stages of lexicographic resource development. However, post-editing and expert intervention remain essential to ensure linguistic accuracy and contextual relevance in the final output.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and limitations of generative AI in lexicography by automatically generating dictionary entries for Korean neologisms. Using the GPT-4o model with prompt engineering and chain-of-thought (CoT) prompting, 9 neologisms ...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and limitations of generative AI in lexicography by automatically generating dictionary entries for Korean neologisms. Using the GPT-4o model with prompt engineering and chain-of-thought (CoT) prompting, 9 neologisms with at least three online occurrences were tested. Results show relatively high accuracy in compounding within formal components, while blending and acronyms revealed weaknesses in morphological analysis and classification. Definitions often missed contextual nuances, and example sentences lacked prototypical usage and appropriate colloc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enerative AI may assist in drafting entries for neologism documentation, particularly during the early stages of lexicographic resource development. However, post-editing and expert intervention remain essential to ensure linguistic accuracy and contextual relevance in the final outpu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