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세기 한국어 이중 언어 사전 고찰 - 『노한사전』(1874), 『한불자전』(1880),『한영자전』(1890),『한영자전』(1897)을 중심으로 - = Bilingual Dictionaries Involving Korean in the 19th Century - A Lexicographical Analysi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366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세기 한국어 이중 언어 사전은 대역어 중심의 어휘집 형식을 갖추면서도, 단순한 번역 도구를 넘어 당시 외국인 편찬자들의 언어 기술 방식과 문화적 인식을 담은 중요한 역사적 자료다. 본고는 대표적인 네 종류의 이중 언어 사전−푸칠로의 『노한사전』(1874), 파리외방선교회 한국선교단의 『한불자전』(1880), 언더우드의 『한영자전』(1890), 게일의 『한영자전』(1897)−을 대상으로 그 편찬 목적, 사전의 거시·미시 구조, 표제어의 문화적 특성 등을 비교 분석했다. 특히 친족어, 종교 용어, 사회 문화적 표제어의 수록 방식과 설명 양상은 사전 편찬자의 시각과 텍스트 목적에 따라 상이한 문화 기술 방식이 작동했음을 보여 준다. 이러한 분석은 19세기 사전을 단순한 대역 어휘집으로 평가하는 것을 넘어, 당대 한국어와 외국어, 한국과 외국 문화의 접촉을 담은 복합적 텍스트로서 새롭게 해석하려는 시도다.
      번역하기

      19세기 한국어 이중 언어 사전은 대역어 중심의 어휘집 형식을 갖추면서도, 단순한 번역 도구를 넘어 당시 외국인 편찬자들의 언어 기술 방식과 문화적 인식을 담은 중요한 역사적 자료다. ...

      19세기 한국어 이중 언어 사전은 대역어 중심의 어휘집 형식을 갖추면서도, 단순한 번역 도구를 넘어 당시 외국인 편찬자들의 언어 기술 방식과 문화적 인식을 담은 중요한 역사적 자료다. 본고는 대표적인 네 종류의 이중 언어 사전−푸칠로의 『노한사전』(1874), 파리외방선교회 한국선교단의 『한불자전』(1880), 언더우드의 『한영자전』(1890), 게일의 『한영자전』(1897)−을 대상으로 그 편찬 목적, 사전의 거시·미시 구조, 표제어의 문화적 특성 등을 비교 분석했다. 특히 친족어, 종교 용어, 사회 문화적 표제어의 수록 방식과 설명 양상은 사전 편찬자의 시각과 텍스트 목적에 따라 상이한 문화 기술 방식이 작동했음을 보여 준다. 이러한 분석은 19세기 사전을 단순한 대역 어휘집으로 평가하는 것을 넘어, 당대 한국어와 외국어, 한국과 외국 문화의 접촉을 담은 복합적 텍스트로서 새롭게 해석하려는 시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orean bilingual dictionaries of the 19th century were primarily compiled as wordlists for translation, yet they also serve as valuable historical records that reflect the linguistic strategies and cultural perceptions of foreign compilers. This study examines four representative dictionaries—Putsillo’s Russian-Korean Dictionary (1874), the Korean-French Dictionary (1880) compiled by the Paris Foreign Missions Society, Underwood’s Korean-English Dictionary (1890), and Gale’s Korean-English Dictionary (1897).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ir compilation purposes, macro- and microstructures, and the treatment of culturally specific entries, this paper highlights the distinctive ways in which Korean language and culture were perceived and documented. Particular focus is placed on kinship terms, religious vocabulary, and culturally embedded expressions, which reveal the varying textual strategies shaped by the compilers’ backgrounds and goals. This study reinterprets these dictionaries not as mere tools for translation but as complex texts that record early instances of intercultural linguistic contact and the beginnings of systematic Korean language description by foreign authors.
      번역하기

      The Korean bilingual dictionaries of the 19th century were primarily compiled as wordlists for translation, yet they also serve as valuable historical records that reflect the linguistic strategies and cultural perceptions of foreign compilers. This s...

      The Korean bilingual dictionaries of the 19th century were primarily compiled as wordlists for translation, yet they also serve as valuable historical records that reflect the linguistic strategies and cultural perceptions of foreign compilers. This study examines four representative dictionaries—Putsillo’s Russian-Korean Dictionary (1874), the Korean-French Dictionary (1880) compiled by the Paris Foreign Missions Society, Underwood’s Korean-English Dictionary (1890), and Gale’s Korean-English Dictionary (1897).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ir compilation purposes, macro- and microstructures, and the treatment of culturally specific entries, this paper highlights the distinctive ways in which Korean language and culture were perceived and documented. Particular focus is placed on kinship terms, religious vocabulary, and culturally embedded expressions, which reveal the varying textual strategies shaped by the compilers’ backgrounds and goals. This study reinterprets these dictionaries not as mere tools for translation but as complex texts that record early instances of intercultural linguistic contact and the beginnings of systematic Korean language description by foreign author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