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의 ‘국가/민족관’과 그 변화양상: 북한이탈주민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중심으로 = North Korean View of the Nation and the People and the Change Patterns: Focus Group Interviews with North Korean Defec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964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recognize the specific value system of the view of the nation and the people of North Korean society in an objective manner and to predict the areas and details of the future conflict of values between the two Koreas. The categorica...

      This study aims to recognize the specific value system of the view of the nation and the people of North Korean society in an objective manner and to predict the areas and details of the future conflict of values between the two Koreas. The categorical approach of the view of the nation and the people has significance in understanding the values of a particular society as it allows the investigation of the most essential areas of the conflict of values considering that North Koreans“ awareness and feelings about the nation and the people are based on the hostil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Koreas, rather than individuals” problems. To this end, this study undertook focus group interviews (FGI) with North Korean defectors in order to approach the key areas of the view of the nation and the people the North Korean society and the conflict of valu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Consequently, the view of the nation and the people of North Korean society developed from the principles of “the people converging into the nation and the loyal people and the devoted country” to the division of the absolute nationalism and the return of the forgotten ethnocentrism.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the North Korean defectors had been realizing their own rights and responsibilities as citizens while going through the transition process from “the North Korean people” to “the people” and “citizen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a direction for follow-up research on the specific aspects of the inter-Korean conflict of values and the exploration of alternatives, which must be included in the process of forming a unified Korean govern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북한사회의 ‘국가/민족관’이라는 특정한 가치체계를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예상 가능한 향후 남북 가치충돌의 영역 및 세부내용을 전망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정 사회의 가치관...

      본 논문은 북한사회의 ‘국가/민족관’이라는 특정한 가치체계를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예상 가능한 향후 남북 가치충돌의 영역 및 세부내용을 전망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정 사회의 가치관을 이해하는데 '국가/민족관'이라는 범주적 접근은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북한주민의 국가와 민족에 대한 인식과 감정은 곧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남북한의 적대적인 분단체제에 토대를 두고 있는 가치충돌의 가장 핵심적인 영역을 미리 살펴볼 수 있다는 장점을 갖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한 ‘초점집단면접(Focusing Group Interview: ‘FGI’)’ 방법을 통해 북한사회의 ‘국가/민족관’과 남북 가치충돌의 핵심 영역에 접근해보고자 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북한사회의 ‘국가/민족관’은 ‘국가로 수렴되는 민족’ 그리고 ‘충성스러운 인민과 헌신하는 국가’ 등의 원리로부터 절대적 국가관의 분열과 잊혀졌던 민족의식의 귀환으로 전개되었다. 나아가 ‘인민’에서 ‘국민’, 그리고 ‘시민’으로의 이행과정과 함께 북한이탈주민 스스로 보편적 권리의식과 시민성의 자각이 이뤄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통일한반도의 형성과정에 있어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남북 가치충돌의 구체적인 양상 및 그 대안 모색과 관련된 후속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정기선 ; 이선미, "한국인의 국민정체성 국제비교연구: 자격요건 평가를 중심으로" 국제비교한국학회 19 (19): 45-72, 2011

      2 윤광일, "한국인 국가정체성의 정치심리학" 평화연구소 4 (4): 5-41, 2017

      3 한나 ; 이승연, "통일 한국을 준비하는 심리학 연구의 방향성: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34 (34): 485-512, 2015

      4 손애리 ; 이내영, "탈북자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 연구: 국가정체성과 다문화수용성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원 19 (19): 5-33, 2012

      5 이병수, "탈북자 가치관의 이중성과 정체성의 분화" 인문학연구원 59 : 121-150, 2014

      6 최대석 ; 조은희, "탈북대학생들의 국가정체성 형성과 변화" 북한연구학회 14 (14): 215-240, 2010

      7 이순형, "탈북가족의 적응과 심리적 통합"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8 모춘흥 ; 이상원, "타자와의 조우: 북한이탈주민의 존재성과 분단체제의 현실 이해" 평화연구소 6 (6): 93-121, 2019

      9 이병수, "코리언의 민족정체성" 선인 2012

      10 김영순, "인천 논현동 북한이탈주민 공동체의 경계 짓기와 경계 넘기" 한국민족문화연구소 (12) : 121-154, 2014

      1 정기선 ; 이선미, "한국인의 국민정체성 국제비교연구: 자격요건 평가를 중심으로" 국제비교한국학회 19 (19): 45-72, 2011

      2 윤광일, "한국인 국가정체성의 정치심리학" 평화연구소 4 (4): 5-41, 2017

      3 한나 ; 이승연, "통일 한국을 준비하는 심리학 연구의 방향성: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34 (34): 485-512, 2015

      4 손애리 ; 이내영, "탈북자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 연구: 국가정체성과 다문화수용성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원 19 (19): 5-33, 2012

      5 이병수, "탈북자 가치관의 이중성과 정체성의 분화" 인문학연구원 59 : 121-150, 2014

      6 최대석 ; 조은희, "탈북대학생들의 국가정체성 형성과 변화" 북한연구학회 14 (14): 215-240, 2010

      7 이순형, "탈북가족의 적응과 심리적 통합"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8 모춘흥 ; 이상원, "타자와의 조우: 북한이탈주민의 존재성과 분단체제의 현실 이해" 평화연구소 6 (6): 93-121, 2019

      9 이병수, "코리언의 민족정체성" 선인 2012

      10 김영순, "인천 논현동 북한이탈주민 공동체의 경계 짓기와 경계 넘기" 한국민족문화연구소 (12) : 121-154, 2014

      11 채정민 ; 이종한,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남북한 문화이질성: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적 적응을 중심으로"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0 (10): 79-101, 2004

      12 김기화, "쉼터 거주 경험이 있는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에 대한 연구" 교육연구소 22 (22): 381-403, 2016

      13 김갑식, "세계화·정보화와 북한의 국가정체성 : ‘주체 사회주의’의 지속과 변화" 통일연구원 13 (13): 145-169, 2004

      14 조정아, "새터민의 문화갈등과 문화적 통합 방안" 한국여성개발원·통일연구원 2006

      15 이희영, "새로운 시민의 참여와 인정투쟁 - 북한이탈주민의 정체성 구성에 대한 구술 사례연구" 한국사회학회 44 (44): 207-241, 2010

      16 강동완, "사람과 사람 : 김정은 시대 ‘북조선 인민’을 만나다" 너나드리 2016

      17 김화순, "분단체제 탈북민 정책의 인식과 이행과제: ‘배제적 통합’의 영속화에 대한 비판" 젠더법학연구소 11 (11): 67-106, 2019

      18 박형중, "북한주민의 일상생활과 대중문화" 도서출판 오름 2003

      19 김창근,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과 통일교육" 한국윤리학회 1 (1): 137-170, 2011

      20 권수현 ; 홍은정, "북한이탈주민의 국가정체성 특징과 결정요인-서울⋅경기⋅인천지역 거주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통일연구원 22 (22): 5-38, 2018

      21 김희진 ; 유호열, "북한이탈주민의 국가정체성 영향 요인" 아시아.유럽미래학회 11 (11): 45-71, 2014

      22 유해숙 ; 이현숙, "북한이탈주민과 남한주민의 인식 비교연구 :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인천학연구원 1 (1): 325-365, 2014

      23 신효숙, "북한이탈여성의 초국적 이주와 가치관 형성: 북한 학교 교육 경험 및 중국-남한으로 이주와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통일교육학회 17 (17): 32-65, 2020

      24 박순성, "북한의 일상생활세계: 외침과 속삭임" 한울 2010

      25 윤미량, "북한의 여성과 가족" 경인문화사 2006

      26 차성환, "북한의 산업화정책과 민족주의" 한국사회역사학회 16 (16): 5-47, 2013

      27 김윤희, "북한에서 ‘임수경 열광’과 도전받은 집단주의" 아세아문제연구원 65 (65): 217-267, 2022

      28 박경숙, "북한사회와 굴절된 근대: 인구, 국가, 주민의 삶"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

      29 김병로, "북한, 조선으로 다시 읽다"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30 김성경, "북한 출신자와 사회 만들기 : 호혜성과 환대의 가능성" 평화연구소 5 (5): 43-74, 2018

      31 김범수, "북한 주민은 ‘우리 국민’인가?" 통일평화연구원 11 (11): 297-350, 2019

      32 최봉대, "북한 사회 주민들의 멘탈리티와 사회적 통합 기제"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2 (2): 1999

      33 김갑식, "북한 민족주의의 전개와 발전: 민족공조론을 중심으로" 평화문제연구소 45 (45): 149-177, 2006

      34 정영철, "북한 민족주의의 이중구조 연구 - 발생론적 민족관과 발전론적 민족관 -" 평화문제연구소 22 (22): 1-39, 2010

      35 김광운, "북한 민족주의 역사학의 궤적과 환경" 한국사연구회 (152) : 273-306, 2011

      36 설동훈, "민족 위계화? 통일시대의 한민족과 타자들" 한국사회역사학회 23 (23): 7-60, 2020

      37 정한울, "대한민국 민족정체성의 변화: “Two Nations-Two States” 정체성 부상에 대한 경험적 연구"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25 (25): 43-86, 2017

      38 곽송연, "냉전시기 8・15에 대한 남북한 기억담론 비교 연구 -최고지도자의 연설문에 나타난 해방과 분단, 국가정체성의 교차를 중심으로-"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34) : 179-208, 2020

      39 정병호, "냉전 정치와 북한 이주민의 침투성 초국가 전략" 심연북한연구소 17 (17): 49-100, 2014

      40 신미녀, "남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의 상호인식을 통해 본 통일준비" 한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 (19): 2010

      41 양문수 ; 이우영, "남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의 마음에 대한 비교 연구: 상호 간 및 내/외집단에 대해 가지는 인식/감정/태도를 중심으로" 북한학연구소 15 (15): 65-103, 2019

      42 권나혜, "남한 내 탈북이주민 대학생의 정체성과 생활경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43 조민, "남북한 민족주의 비교연구" 경기대학교 민족문제연구소 4 : 1997

      44 박민철, "남북의 가치충돌 양상에 대한 예측적 연구 1: 혈연공동체" 인문학연구원 89 : 5-46, 2022

      45 권헌익, "극장국가 북한" 창비 2013

      46 박민철, "국내 이주 코리언 디아스포라의 정체성 변용과 가치지향: 한국(인)과의 가치충돌 양상을 중심으로"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8 (8): 41-75, 2014

      47 김성경, "경험되는 북·중 경계지역과 이동경로 북한이탈주민의 경계 넘기와 초국적 민족 공간의 경계 확장" 한국공간환경학회 22 (22): 114-158, 2012

      48 이수정, "“탈북자 심리”의 문화정치: 분단정치와 신자유주의적 통치의 절합" 심연북한연구소 20 (20): 310-356, 2017

      49 박민철 ; 도지인, "FGI 방법을 활용한 북한이탈주민의 가치관 연구: 그 필요성과 방법 및 의의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79 : 5-35,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