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이태준 소설의 이상과 현실의 형상화 연구 : 해방 전 단편소설의 인물유형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957991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A)study on the figuration of the ideal and the real in Lee Tae-Jun' novel : Focusing on the types of characters in the short stories before the liberation of Korea

      • 형태사항

        iv, 84장 ; 30 cm.

      • 일반주기명

        단국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신종한
        참고문헌 : 79-81장

      • 소장기관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태준은 근대성의 온실이었던 ‘구인회’와 고전부흥운동의 매개를 담당했던『문장』지의 일원이라는 점 때문에 복합적이고 이중적인 면모를 보여 주는 작가이며, 또한 해방 후 사회주의...

      이태준은 근대성의 온실이었던 ‘구인회’와 고전부흥운동의 매개를 담당했던『문장』지의 일원이라는 점 때문에 복합적이고 이중적인 면모를 보여 주는 작가이며, 또한 해방 후 사회주의자로 변신한 그의 행적까지 더하여 연구의 난점을 보여주는 작가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중층적인 성격 때문에 그에 대한 연구는 일관된 방향으로 진행된 논의보다는 예술성과 사회성 또는 근대성과 전통성으로 구별하여 그의 문학이 지니고 있는 총체성을 이중적 성향에서 발견하고자 한 논의들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본고는 현실과의 마찰 속에서 끊임없이 자신의 이상적 삶을 지향하고자 했던 이태준의 세계관을 고찰하여 해방 후 그가 선택한 월북이 어느 날 갑자기 일어난 여정이 아니라 지속적인 이상 지향을 향한 유토피아 인식의 결과였음에 관심을 기울였다.
      따라서 본고는 해방 전 단편소설 속에 구현된 인물들의 운명적 삶을 대상으로 이태준이 지니고 있던 삶의 지향과 번민 의식을 살펴보았다. 우선 해방 전 단편에 주목하고자 한 것은 해방 후 사회주의로 전향한 그의 월북에 대한 단초가 해방 전 단편에서 유일하게 발견될 수 있기 때문이며, 인물유형을 토대로 한 것은 이태준이 작품에서 창출한 인물들이 그가 가장 애정을 지니고 바라본 조선민중들로, 그의 작가인식과 주제인식에 대한 선명함을 가장 총체적으로 피력할 수 있는 주체적 존재들이라는 점 때문이다.
      이러한 것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이태준이 지향하고자 했던 이상적 삶에 대한 실체를 규명하기 위해서, 더 나은 삶을 지향하고자 했던 유토피아 인식과 관련한 논의들의 연계선 상에서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였다. 무엇보다도 에리히 프롬이 마르크스의 사상을 새롭게 해석한 휴머니즘 정신과 관련하여 이태준이 작품 속 인물들에게 구현한 인간애가 소외받지 않고 자신의 삶을 능동적으로 모색할 수 있는 인간의 주체적 실현으로 조선민중들을 향한 그의 인간개념임을 고찰하였다.
      사실 이태준은 같은 시기 순수문학을 전개하던 그 어느 작가보다도 삶에 대한 고뇌와 조선민중을 향한 휴머니티를 토대로 초기 작품부터 지속적으로 사회적 인식을 지니고 작품 활동을 개진해 왔다. 그러나 한편으론 근대화가 진행된 조선의 식민지 자본 속에서 그 근대화를 피할 수 없는 대세라고 인식하면서도 그것에 대한 적극적 의지 표명도 부정적 단절도 하지 못한 채 현실과 이상적 삶과의 괴리 속에 번민한다.
      그리고 이태준의 이러한 번민과 갈등은 1941년을 기준으로 작품인물과 작가인식에서 확연히 달라지는 것이 발견된다. 이전의 인물들 대부분이 자신의 소박한 꿈을 이루지 못하고 근대공간에서 실패하지만 그러한 소외와 패배, 절망 속에서도 끊임없이 모색해오던 이상적 삶을 향한 역동성이 있었다면, 1941년 이후의 인물들은 이전의 울분과 고심은 사라진 채 대세의 운행에 자신을 맡기고 좌절하며 결국 무기력한 허무와 은둔의 자세를 취해 버린다. 그리고 그것은 태평양 전쟁을 비롯하여 각종 신문과 잡지의 폐간이 진행되면서 경험한 이태준 자신의 당시 체념과 허무라는 동질적 체험에 기인하기도 한다. 즉, 1930년대 이태준은 작품 속 인물들의 형상화를 통해서 근대화가 지니고 있는 속성인 개인의 자율과 이성이라는 기치 안에서 있어야 할 세상인 이상적 삶을 지향하며 모색하지만, 1940년대 이르러서는 조선에 불어 닥친 근대화가 결코 인간에 대한 존중과 자율적 삶을 실현할 수 있는 우리의 것이 될 수 없다는 사실에 직면하면서 깊은 체념과 좌절감 속에 탐색의 돛을 거두고 만다.
      따라서 그가 해방 후 월북을 선택한 것은 자신이 갈구하던 이상 지향의 추구를 사회주의 노선에서 다시 한 번 기대한 것이 분명해 보이며, 그 여정은 선택의 적절성 논리를 떠나서 식민지 근대 자본의 모순성에 절감한 이태준이 당시 취할 수 있었던 유토피아 인식의 다른 모습인 것이다. 비록 이태준이 추구하던 삶의 답이 사회주의 국가에서도 여전히 유보되고 말았지만, 무엇보다도 이태준은 식민지 근대라는 왜곡된 현실 속에서 서식하며 삶을 유지하던 조선 민중들을 통하여 식민지 자본의 모순성과 비정함을 절실하게 인식하였다. 그리고 자신의 분신이기도 한 그러한 인물들의 형상화를 통해서 식민지 현실과 이상적 삶과의 괴리 속에서 간단없이 고뇌하며 당대 현실에 대한 객관적 성찰과 인식적 조망을 가지고 미적 형상화라는 예술적 기법을 활용하여 삶의 본질에 대한 질문을 작품 속에 구현한 작가라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ae-Jun Lee is a writer who possesses complex and multiple characteristics built from being the leader of classical revival movement and one of nine members of literature association called "Ku In Association," which had been the driving force of mode...

      Tae-Jun Lee is a writer who possesses complex and multiple characteristics built from being the leader of classical revival movement and one of nine members of literature association called "Ku In Association," which had been the driving force of modernity. Also, he shows the difficulty on his work using the personal experience on becoming a socialist after the National Liberation. Because of the middle class characteristics many of his work conveys more on artistic and social point of view than one-sided point of view. His work also remarkably differentiates modernity and traditional literature. However, the writing shows that crossing the border after the National Liberation is not unexpected result, but a closely planned action that came from his willingness to make the ideal Utopian life to become true.
      Influenced by these background characteristics, the work describes the intentions and tormented consciousness of fateful lifestyles before the National Liberation. The main reason for focusing on pre National Liberation is because Lee's socialistic character began to appear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k done before the liberation. The characters in his work are traditional liberal Koreans that put all the stories together.
      Based on these aspects, idealistic Utopian lifestyle is closely examined in controversial and theoretical structures. Lee especially describes his human concept towards liberal Koreans as Erich Fromm used humanism to interpret Mrxism in untraditional ways. He conveys that humanity is not alienated and possibility of successfully finding one's ideal life.
      More than any other writers, Lee continuously delivers the work on the life of agony and humanity towards liberal Koreans. However on one side of view, it fails to clearly differentiate the ideal life from the reality even when modernization is an inevitable social movement in colonialism.
      Also, Lee's agony mental conflict shifts from the point of his works done after the year 1941. In his previous works, the characters dynamically seek for different ways to accomplish their dreams in modern society even after continuous failures. In comparison, the works done after 1941 the characters tend to be seemed as helpless followers who are mostly influenced by the social shift instead of seeking their own ideal lives. Also, as the Pacific War started and many newspaper and magazine publishers began to cease publication, Lee began to lose the core purposes and start to give up his original believes. In other words, the characters in Lee's works during 1930s show how individuals seek for ideal life in modernization of a colony. However, the modernization movement started in 1940s had shown that the individual ideal life could not be accomplished because of lack of respect for individuals and autonomous lifestyle. In result, the hope starts to disappear, and the writer became
      Therefore, it is clear that Lee crossed the board to start seeking for such possibility once again in socialist state. Aside from the discussion on whether he made the right decision, he had shown the different side of Utopian perspective during modern capitalism in a colony. Even though Lee's believes failed to be delivered in socialist states, his statements successfully convey discrepancy and distortion during colonial capital through liberal Koreans. He also carefully, but unclearly, presents the differences between idealistic and realistic lives in both objective and cognitive point of view which is considered as artistic writing techniqu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 1
      • 2. 연구사 검토 5
      • Ⅱ. 이상적 삶에 대한 논의 배경 12
      • Ⅲ. 이상적 삶 모색기 21
      • Ⅰ. 서론 1
      • 1.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 1
      • 2. 연구사 검토 5
      • Ⅱ. 이상적 삶에 대한 논의 배경 12
      • Ⅲ. 이상적 삶 모색기 21
      • 1. 하층민의 순수와 소외 22
      • 2. 노인층의 교섭과 패배 34
      • 3. 지식인의 자기반성과 절망 47
      • Ⅳ. 이상적 삶 좌절기 58
      • 1. 지식인의 무기력과 허무 60
      • 2. 하층민의 자기기만과 회피 64
      • 3. 노인층의 과거로의 도피와 회귀 68
      • Ⅴ. 결론 75
      • 참고문헌 79
      • Abstract 8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