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동선체계 합리화 연구  :  (A Study on Planning Methods of the Street System in Multi-Family Housing Estat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259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way of improvement for the existing street system in multi-family housing estates. It focuses 1) the assessment methods of existing street system using computer programs, 2) the planning methods of the stre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way of improvement for the existing street system in multi-family housing estates. It focuses 1) the assessment methods of existing street system using computer programs, 2) the planning methods of the street system through case study and survey in multi-family housing esta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ing below First, a significant correlation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configuration and space usage were found by Space Syntax model which is known to objective and quantitative planning methods. The model would enable researcher & planner to prodict pedestrian movement and pattern, and arrange the public facilities and spaces in multi-family housing planning. Second, The pedestrian streets perfectly separated from main roadways in multi-family housing estates was used by only few pedestrians and created potential crime problem. Thus it is necessary to build the coexistence with pedestrian and vehicles of street system. "Community Life Road" is a coexistence street system. It prevents people from danger situation at night and provides delightful circumstance to the inhabitant in multi-family housing estates. 21 detail suggestions for better street system are described through the survey of 35 diffemt multi-family housing estates. Third, 80 detail plans for the improvement of actual planning methods are described and it classfied 29 groups. The detail plans & groups suggest desirable planning methods for existing street system for multi-family housing estates. It is recommended cooperate with researchers and actual field designer in order to improve the quailty of existing street system and propose sample projec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주거단지내 동선체계를 개선하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1)전산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동선체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방안, 2)사례조사 및 실태조사를 통하여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주거단지내 동선체계를 개선하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1)전산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동선체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방안, 2)사례조사 및 실태조사를 통하여 도로설계의 개선 방안과 계획지침을 도출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계획방법론인 공각구문모델을 주거간지 동선계획에 적용한 결과 한국의 주거단에서도 공간특성과 공간이용과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이 전산모델을 우리나라의 주거단지계획에 응용하여 동선계획의 평가 및 계획안의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통행량과 통행패턴을 사전에 예측할수 있게 됨으로써 각종 시설과 공간을 적재적소에 배치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 보행자 전용도로가 차도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보차분리단지의 경우 이용자수가 적고 야간의 방범 문제가 발생하여 그 대안으로서 분리형 공존도로를 제안하였다. '생활중심도로'라고 명명된 개선안은 거주민의 안전을 보장하면서도 쾌적하고 활기찬 주민의 생활중심공간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제안되었다. 생활중심도로 '구상안'은 계획개념이 충실한 국내외 35개 단지에서 추출된 21개 항목의 계획요소가 반영되었으며 이들 요소를 선택,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안되었다. 셋째, 사례연구를 통해서 추출된 계획요소는 80여개의 항목으로 이를 29개 항목으로 중분류하여 각각의 계획지침을 서술한 바 이후에 단지계획의 개선을 위하여 보편적으로 실무과정에 이용할 수 있다. 앞에서 제시한 연구결론을 실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연구진과 실무진이 공동으로 시범프로젝트를 대상으로 실용화작업을 추진하여야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2 연구의 내용 및 구성
      • 1.2.1 연구의 내용
      • 1.2.2 연구의 구성
      • 제1장 서론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2 연구의 내용 및 구성
      • 1.2.1 연구의 내용
      • 1.2.2 연구의 구성
      • 1.3 연구의 과정
      • 1.3.1 연구의 진행과정
      • 1.3.2 추진경위별 내용
      • 제2장 연구방법론
      • 2.1 연구동향 및 연구가설
      • 2.2 연구방법
      • 2.2.1 조사분석:주민의식 및 행태조사
      • 2.2.2 사례연구(CASE STUDY)
      • 2.2.3 공간구문(Space Syntax)모델을 이용한 동선계획평가
      • 제3장 주거단지 동선체계분류 및 조사분석대상지 선정
      • 3.1 국내외 주거단지 동선체계 동향
      • 3.1.1 서구의 주거단지 개발과 동선체계
      • 3.1.2 국내의 주거단지 개발과 동선체계
      • 3.2 국내외 사례대상지 분석
      • 3.2.1 사례 대상지 선정 및 조사방법
      • 3.2.2 주거단지 동선체계 유형분류 및 특성
      • 3.3 주공단지 보차분리 유형 및 동선체계특성
      • 제4장 조사분석결과(주민의식 및 행태조사)
      • 4.1 조사대상지 선정 및 대상지 특성
      • 4.1.1 조사목적 및 내용
      • 4.1.2 조사대상지 선정 및 조사방법
      • 4.1.3 조사대상지 사회.물리적 특성
      • 4.2 주민의식 조사결과 분석
      • 4.2.1 보차분리 유형별 만족도
      • 4.2.2 보행동선의 시설물에 대한 만족도
      • 4.2.3 단지내 동선분리에 대한 만족도
      • 4.3 거주자 이용정도 및 이용행태 조사결과분석
      • 4.3.1 주요외부공간 통행인 및 체류인 이용자수 분석
      • 4.3.2 중심도로 체류인수 분석
      • 4.3.3 거주자 이용행태 조사결과분석
      • 4.4 조사대상지 결과 종합분석
      • 4.4.1 주민의식 결과 종합분석
      • 4.4.2 이용정도 및 이용행태 결과 종합분석
      • 4.4.3 종합분석에 대한 소결
      • 제5장 동선계획요소추출 및 지침작성
      • 5.1 국내외 사례 대상지 분석
      • 5.1.1 사례조사 대상지 동선계획 요소추출
      • 5.2 단지별 동선계획 요소분석
      • 5.3 항목별 동선계획 지침작성
      • 제6장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생활중심도로 계획(안)
      • 6.1 생활중심도로 계획배경
      • 6.1.1 국내주거단지 동선계획의 문제점 인식
      • 6.1.2 보행환경개선을 위한 보차공존로 도입
      • 6.2 생활중심도로 계획 및 설계요소별 계획지침
      • 6.2.1 생활중심도로 계획 및 설계요소
      • 6.2.2 생활중심도로 설계요소별 계획지침
      • 6.3 생활중심도로 구상(안)
      • 제7장 공간구문모델을 이용한 동선체계 합리화
      • 7.1 연구대상의 선정 및 개관
      • 7.1.1 개요
      • 7.1.2 연구대상의 대상
      • 7.1.3 단지별 개관
      • 7.2 공간구문모델을 이용한 공간구조와 공간특성분석
      • 7.2.1 상계신도시의 공간구조(슈퍼그리드와 공간특성)
      • 7.2.2 공간특성과 통행패턴 및 통행량
      • 7.2.3 공간특성과 통행량예측도와의 상관성
      • 7.2.4 토의
      • 7.3 결론
      • 제8장 결론
      • 참고문헌
      • 부록:조사분석(설문지, 이용자수조사 결과)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