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 유튜브 1인 창작자 콘텐츠의 내용적 유해성에 대한 분석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217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영상 콘텐츠 공급과 소비의 중심이 모바일 스마트폰으로 이동하면서 MCN(Multi Channel Network)이라는 새로운 영상사업의 성장이 사회적 또는 산업적으로 크게 주목되고 있다. 이와 함께 MCN에 소...

      영상 콘텐츠 공급과 소비의 중심이 모바일 스마트폰으로 이동하면서 MCN(Multi Channel Network)이라는 새로운 영상사업의 성장이 사회적 또는 산업적으로 크게 주목되고 있다. 이와 함께 MCN에 소속된 1인 창작자들이 생산하는 영상콘텐츠의 유해성에 대한 관심과 우려도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환경변화에 주목하면서 국내 1인 창작자들이 생산해내는 영상 콘텐츠 내용의 유해 유형과 정도를 분석하였다. 3개 장르(게임, 엔터테인먼트, 오락)의 27개 콘텐츠를 분석한 결과, 방송프로그램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임에도 불구하고 평균 38.3개의 유해적 내용이 발견되었다. 전체적으로 욕설과 저속한 표현과 같은 문제적 언어가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게임 콘텐츠에서는 문제적 언어와 폭력적 내용, 토크 콘텐츠에서는 문제 언어와 선정적 내용, 엔터테인먼트 장르에서는 기타 유해 행위, 문제언어와 함께 선정적 내용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독자수나 영상 조회수가 높은 1인 창작자 콘텐츠에서 유해적인 내용이 상대적으로 많이 발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시에 성인 인증 로그인 등의 장치는 없었으며, 15% 정도만이 시작 부분에 유해성 경고문을 제시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과적으로 1인 창작자 콘텐츠의 주 소비층 중 하나인 청소년들의 보호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라 1인 창작자들이 만들어내고 있는 영상 콘텐츠에 대한 내용적 심의와 규제 방안에 대해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specific attributes of MCN contents by analyzing the degree of hazardous factors. Considering the visual similarities between MCN and TV contents, the study method has been designed based on the previous s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specific attributes of MCN contents by analyzing the degree of hazardous factors. Considering the visual similarities between MCN and TV contents, the study method has been design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of harmful side effects of television contents. The result of the analysis clearly showed that MCN industry is generating large amount of explicit contents: About 40 times per content. Especially, swearing and vulgar words were the most frequent problems, which adolescents should be strongly protected from. Also, different genres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ults. Talk genre contents contained higher frequency of sexuality whereas game genre contents showed more violence. Furtherm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higher frequency of harmful components, the higher number of one-person creator followers it has. Lastly, only 15% of the samples displayed warning signs regarding R-rating and there was no technical restrictions such as log-in system or adult verification process to protect adolescents from any adverse cont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고찰
      • 1) MCN 현황과 1인 창작자 콘텐츠의 이용현황
      • 2) 콘텐츠의 유해성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 요약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고찰
      • 1) MCN 현황과 1인 창작자 콘텐츠의 이용현황
      • 2) 콘텐츠의 유해성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 3) 1인창작자 콘텐츠의 문제점과 연구문제의 설정
      • 3. 연구방법
      • 1) 분석대상 및 분석틀
      • 2) 분석 단위와 코더간 신뢰도
      • 3. 연구결과
      • 1) 1인 창작자 콘텐츠의 유해적 내용 빈도와 유형에 대한 분석결과
      • 2) 1인 창작자 콘텐츠의 장르별 유해적 내용 차이에 대한 분석결과
      • 3) 1인 창작자 콘텐츠 구독자수와 유해적 내용에 대한 분석결과
      • 5. 논의 및 결론
      • 1) 연구결과의 요약 및 논의
      • 2) 연구의 한계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하승태, "한국 지상파 텔레비전에 나타난 선정성의 유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24 (24): 73-112, 2010

      2 서영남, "한국 뮤직비디오의 폭력성 연구" 한국방송공사 21 (21): 187-221, 2009

      3 강남준, "폭력물 시청과 청소년 폭력성 간의 관계에서 중재변인으로서의 자기 효능감 역할" 13 : 47-86, 1999

      4 블로터, "페이스북·유튜브스타들의 기획사, MCN"

      5 김유정, "특집 : 스페셜 이슈-1인 방송시대, MCN사업의 현황" 75 : 42-47, 2016

      6 하승태, "청소년시청보호시간대와 비보호시간대의 TV 선정성 수준 비교 : 등장인물의 인구학적, 사회관계적, 언어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133-157, 2009

      7 김형지, "청소년 대상 음악 프로그램의 선정성 연구: 지상파 방송 3사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5 (25): 49-88, 2011

      8 한균태, "지상파 텔레비전의 어린이 프로그램에 나타난 폭력성 연구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1 (21): 311-351, 2007

      9 하승태, "지상파 및 케이블 방송의 청소년 시청가 프로그램에 나타난 폭력성의 비교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9 (19): 357-384, 2008

      10 민영, "주시청시간대 지상파 텔레비전의 폭력성 연구폭력의 양과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1 (21): 84-126, 2007

      1 하승태, "한국 지상파 텔레비전에 나타난 선정성의 유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24 (24): 73-112, 2010

      2 서영남, "한국 뮤직비디오의 폭력성 연구" 한국방송공사 21 (21): 187-221, 2009

      3 강남준, "폭력물 시청과 청소년 폭력성 간의 관계에서 중재변인으로서의 자기 효능감 역할" 13 : 47-86, 1999

      4 블로터, "페이스북·유튜브스타들의 기획사, MCN"

      5 김유정, "특집 : 스페셜 이슈-1인 방송시대, MCN사업의 현황" 75 : 42-47, 2016

      6 하승태, "청소년시청보호시간대와 비보호시간대의 TV 선정성 수준 비교 : 등장인물의 인구학적, 사회관계적, 언어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133-157, 2009

      7 김형지, "청소년 대상 음악 프로그램의 선정성 연구: 지상파 방송 3사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5 (25): 49-88, 2011

      8 한균태, "지상파 텔레비전의 어린이 프로그램에 나타난 폭력성 연구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1 (21): 311-351, 2007

      9 하승태, "지상파 및 케이블 방송의 청소년 시청가 프로그램에 나타난 폭력성의 비교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9 (19): 357-384, 2008

      10 민영, "주시청시간대 지상파 텔레비전의 폭력성 연구폭력의 양과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1 (21): 84-126, 2007

      11 하승태, "주시청시간대 지상파 텔레비전의 폭력성 연구: 폭력의 맥락적 변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1 (51): 317-345, 2007

      12 유홍식, "이종격투기 프로그램의 스포츠캐스터 표현에 나타난드라마" 3 : 153-181, 2004

      13 배기형, "위기와 기회, MCN이 만드는 새로운 수익모델"

      14 김미라, "웹드라마 콘텐츠의 제작 및 서사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네이버 TV 캐스트 웹드라마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9 (59): 298-330, 2015

      15 박은빈, "왜 한국은 ‘1인방송’에 열광하나"

      16 박은희, "연예오락프로그램에서의 방송언어심의: 심의제재 사례에 나타난 문제언어유형과 방송부적합성에 대한 시청자 인식" 한국방송학회 28 (28): 74-110, 2014

      17 권중문, "알기 쉬운 방송 영상 입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8 이동후, "스마트 미디어 시대 인터넷 개인방송 규제 체계 정비" 국회입법조사처 2016

      19 정명화, "스낵컬처연구 : 웹 드라마 ‘간서치 열전’을 중심으로" 786-787, 2015

      20 닐슨코리안클릭, "뷰티 시장을 움직이는 1인 미디어, 뷰티 크리에이터"

      21 박기용, "별풍선이 욕망을 구원할 수 있을까"

      22 김유림, "별풍선 주면 다 보여줄게"

      23 강태완, "방송의 청소년 유해환경 실태조사 및 개선 방안" 청소년보호위원회 2004

      24 한국콘텐츠진흥원, "방송영상 웹콘텐츠 현황 및 활성화 방안" 한국콘텐츠진흥원 2015

      25 심미선, "방송심의 위반사례로 살펴본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의 선정성과 폭력성 현황에 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25 (25): 159-204, 2011

      26 최형우, "국내외 MCN산업 동향 및 기업실태조사 보고서" 한국전파진흥협회 2016

      27 최명호, "국내 MCN 동향과 전망 : 1인 창작을 지속 가능한 사업으로" 14 (14): 42-45, 2016

      28 일요신문, "‘PD수첩’ 가학·엽기·선정 ‘1인방송’ 문제 진단…미성년자 성관계까지 생중계"

      29 이주현, "[칼럼] 광고와 컨텐츠 마케팅"

      30 정혜진, "[유튜브 크리에이터 2,000명 시대] 1인 창작자, 만인 사로잡다"

      31 이연지, "[변화를 주목하라] 화장품, ‘뷰티 크리에이터’가 말하고 구독자가 소비 한다"

      32 이경진, "[Smart M] 톡톡 튀는 1인 미디어...유튜브·유쿠타고 글로벌 스타로"

      33 Williams, T. M., "The portrayal of aggression on North American television" 12 (12): 360-380, 1982

      34 Business Insider, "The 20 most popular youtubers in the world"

      35 Gerbner, G., "The 'mainstreaming' of America : Violence profile no. 11" 30 (30): 10-29, 1980

      36 Signorielli, N., "Television and conceptions about sex roles:Maintaining conventionally and the stats quo" 21 (21): 337-356, 1989

      37 박은아, "TV 프로그램과 광고의 선정성이 광고 시청률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광고학회 14 (14): 123-147, 2003

      38 윤호진, "TV 스포츠 방송의 의미구조분석" 66-74, 1998

      39 Pew Research Center, "Smartphone ownership and Internet usage continues to climb in emerging economies"

      40 Berkowitz, L., "On the formation and regulation of anger and aggression. A congnitive- neoassociationisic analysis" 45 : 494-503, 1990

      41 Emarketer.com, "Multichannel networks and branded content s: The good, the bad and the future"

      42 Vast media, "Multi-Channel Networks: From YouTube aggregators to media giants"

      43 Bandura, A., "Media effects: Advances in theory and research" LEA 121-154, 2002

      44 정혜미, "MCN(Multi Channel Networks)의 성장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산업 생태계 분석 연구 : 시스템 다이내믹스 방법론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5

      45 조영신, "MCN 시장의 진화와 미래"

      46 Morgan, M., "Cultivation analysis: New directions in media effects research" Sage 13-34, 1990

      47 미래창조과학부, "2016년 11월 무선데이터 트래픽 통계"

      48 한국언론진흥재단, "2016년 10대 청소년 미디어 이용 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 2017

      49 나스미디어, "2016 target report 10대" 2016

      50 방송통신위원회, "2015 방송매체 이용행태 조사" 방송통신위원회 2015

      51 김동훈, "1인 콘텐츠가 대세..IPTV·케이블로 영역 넓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8-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 한국소통학보
      외국어명 : Speech & Communication -> Journal of Speech, Media and Communication Research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4-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스피치커뮤니케이션학회 -> 한국소통학회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21 1.511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