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문기, "金官加耶系의 始祖 出自傳承과 稱性의 變化"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5 : 1-64, 2004
2 한국문화상징사전편찬위원회, "한국문화상징사전" 1992
3 원가, "중국의 고대신화" 문예출판사 2012
4 "제왕세기"
5 문성재, "정역 중국정사 조선 동이전1" 우리역사연구재단 2021
6 이덕일, "왕망과 김일제의 후손은 한 집안"
7 "신증동국여지승람"
8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 사기연기실, "신주사마천사기 16권"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 2021
9 사마천, "신주 사마천 사기 1"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 2020
10 이덕일, "신라 문무왕도 투후 김일제의 후손이다"
1 이문기, "金官加耶系의 始祖 出自傳承과 稱性의 變化"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5 : 1-64, 2004
2 한국문화상징사전편찬위원회, "한국문화상징사전" 1992
3 원가, "중국의 고대신화" 문예출판사 2012
4 "제왕세기"
5 문성재, "정역 중국정사 조선 동이전1" 우리역사연구재단 2021
6 이덕일, "왕망과 김일제의 후손은 한 집안"
7 "신증동국여지승람"
8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 사기연기실, "신주사마천사기 16권"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 2021
9 사마천, "신주 사마천 사기 1"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 2020
10 이덕일, "신라 문무왕도 투후 김일제의 후손이다"
11 김인희, "소호씨 이야기" 물레 2009
12 아리엘 골란, "선사시대가 남긴 세계의 문양" 푸른역사 2004
13 일연, "삼국유사 1" 솔 2002
14 김부식, "삼국사기 3" 솔 2001
15 김부식, "삼국사기 1" 솔 1997
16 정재서, "산해경" 민음사 1985
17 조희승, "북한학자 조희승의 임나일본부 해부" 말 2019
18 클리퍼드 기어츠, "문화의 해석" 까치 2019
19 린 헌트, "문화로 본 새로운 역사" 조합공동체 소나무 1997
20 리지린, "리지린의 고조선 연구" 말 2018
21 김명옥, "동아시아 난생신화와 중국 한족(漢族)과의 관계 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42 (42): 797-824, 2020
22 손진기, "동북민족원류" 동문선 1992
23 우실하, "동북공정의 최종판 ‘요하문명론’" 고조선단군학회 15 : 5-36, 2006
24 윤내현, "고조선 연구" 인문서원 2015
25 김명옥, "고조선 건국신화와 난생신화의 연관성 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42 (42): 119-146, 2020
26 이용현, "가야의 성씨와 ‘금관’국"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48 : 1998
27 백승충, "가야의 개국설화에 대한 검토" 한국역사연구회 33 : 112-142, 1999
28 "禮記 月令"
29 "呂氏春秋"
30 "‘위장군표기열전’ 사기"
31 "‘위서’ 삼국지"
32 "‘열전’ 북사"
33 "‘동이열전’ 후한서"
34 권덕영, "<大唐故金氏夫人墓銘>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 한국고대사학회 (54) : 395-422,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