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능산리고분군과 백제 사비기 능묘, 능원 = The Tombs of Neungsan-ri and Royal tombs, their Boundary of Baekje during the Sabi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757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부여 능산리고분군의 현황을 살펴본 후 웅진기나 주변국가와의 비교를 통해 백제 사비기 능묘와 이를 포함한 능원의 문제에 접근해 보았다.
      백제는 사비 천도 후 넓은 남사면이 있는 능산리 일대를 선택하고, 지형을 잘 이용하여 왕릉을 포함한 고분군을 조성하였다. 이러한 능산리고분군 중 왕과 왕비의 능은 차별시켜 중앙고분군에 조성되었고, 동고분군과 서고분군은 시기나 구조로 보아 각각 왕족의 무덤군일 가능성이 있다. 능원과 관련되는 고분 외 시설로는 능산리 서고분군 내 건물들과 인근의 능산리사지를 들 수 있다. 능산리사지는 그동안의 조사와 연구를 통해 위덕왕(창왕)대 조성된 능사로서, 창건 시점인 이른 단계에는 중심사역에 강당지나 공방지Ⅱ를 중심으로 의례적 성격의 건물이 있었고, 위치나 기와 등으로 보아 늦은 단계인 북편건물지 1과 2에서도 건물 구성이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어서 강당지 등의 건물 기능이 북편건물지쪽으로 확대 또는 이동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능산리 서고분군에서는 고분들과 함께 초석건물을 포함한 지상식건물 2기와 수혈주거가 확인되었다. 초석건물인 1호 건물지는 고분들과 떨어진 지점에 단독으로 위치하지만, 2호 건물지와 수혈주거지는 고분들 사이에 존재하며 쪽구들 등의 취사·난방시설을 갖추고 있다. 1호와 2호 건물지는 구조와 위치는 다르지만 기와 등으로 보아 축조 시기가 비슷하여 6세기 후엽 서고분군의 조영과 함께 축조된 건물로 추정된다. 고분들과 별도로 공존했던 1호 건물은 고분과 관련된 의례(제의 등)를 위한 건물, 2호 건물지와 수혈주거지는시차는 있지만 고분 조영과 관련하여 임시적으로 거주했던 건물이 아닌가 추정된다.
      이러한 자료들로 보아 중국 남조의 영향이 강했던 백제 웅진기와 달리 사비기 능묘에는 웅진기 양상이 이어지면서도 변화되는 부분이 있다. 웅진기 이후 능묘의 구릉 군집은 그대로 이어지지만 조영 순서뿐 아니라 배치, 석실의 구조와 벽화 내용, 능원으로서 능사를 포함한 제의 관련 건물들의 존재 등은 새롭게 나타나는 것이다. 이러한 사비기의 변화 양상은 고구려와 신라, 중국의 자료와 비교해보면 중국 북위 영향을 받은 고구려 능묘나 능사의 영향이 더 컸던 것으로 여겨진다. 백제를 포함한 삼국은 국가에 따라 약간의 시차가 있지만 공통적으로 6세기 전후부터 7세기 전엽에 걸쳐 구릉 능선을 따라 군집을 이루는 능묘, 능사가 포함된 능원이 나타나는 시기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단독 능묘와 능원으로 변화되어 가는 과도기적인 모습이며, 그 과정에는 중국의 영향과 함께 삼국간의 영향도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부여 능산리고분군의 현황을 살펴본 후 웅진기나 주변국가와의 비교를 통해 백제 사비기 능묘와 이를 포함한 능원의 문제에 접근해 보았다. 백제는 사비 천도 후 넓은 남사면이 ...

      본고에서는 부여 능산리고분군의 현황을 살펴본 후 웅진기나 주변국가와의 비교를 통해 백제 사비기 능묘와 이를 포함한 능원의 문제에 접근해 보았다.
      백제는 사비 천도 후 넓은 남사면이 있는 능산리 일대를 선택하고, 지형을 잘 이용하여 왕릉을 포함한 고분군을 조성하였다. 이러한 능산리고분군 중 왕과 왕비의 능은 차별시켜 중앙고분군에 조성되었고, 동고분군과 서고분군은 시기나 구조로 보아 각각 왕족의 무덤군일 가능성이 있다. 능원과 관련되는 고분 외 시설로는 능산리 서고분군 내 건물들과 인근의 능산리사지를 들 수 있다. 능산리사지는 그동안의 조사와 연구를 통해 위덕왕(창왕)대 조성된 능사로서, 창건 시점인 이른 단계에는 중심사역에 강당지나 공방지Ⅱ를 중심으로 의례적 성격의 건물이 있었고, 위치나 기와 등으로 보아 늦은 단계인 북편건물지 1과 2에서도 건물 구성이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어서 강당지 등의 건물 기능이 북편건물지쪽으로 확대 또는 이동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능산리 서고분군에서는 고분들과 함께 초석건물을 포함한 지상식건물 2기와 수혈주거가 확인되었다. 초석건물인 1호 건물지는 고분들과 떨어진 지점에 단독으로 위치하지만, 2호 건물지와 수혈주거지는 고분들 사이에 존재하며 쪽구들 등의 취사·난방시설을 갖추고 있다. 1호와 2호 건물지는 구조와 위치는 다르지만 기와 등으로 보아 축조 시기가 비슷하여 6세기 후엽 서고분군의 조영과 함께 축조된 건물로 추정된다. 고분들과 별도로 공존했던 1호 건물은 고분과 관련된 의례(제의 등)를 위한 건물, 2호 건물지와 수혈주거지는시차는 있지만 고분 조영과 관련하여 임시적으로 거주했던 건물이 아닌가 추정된다.
      이러한 자료들로 보아 중국 남조의 영향이 강했던 백제 웅진기와 달리 사비기 능묘에는 웅진기 양상이 이어지면서도 변화되는 부분이 있다. 웅진기 이후 능묘의 구릉 군집은 그대로 이어지지만 조영 순서뿐 아니라 배치, 석실의 구조와 벽화 내용, 능원으로서 능사를 포함한 제의 관련 건물들의 존재 등은 새롭게 나타나는 것이다. 이러한 사비기의 변화 양상은 고구려와 신라, 중국의 자료와 비교해보면 중국 북위 영향을 받은 고구려 능묘나 능사의 영향이 더 컸던 것으로 여겨진다. 백제를 포함한 삼국은 국가에 따라 약간의 시차가 있지만 공통적으로 6세기 전후부터 7세기 전엽에 걸쳐 구릉 능선을 따라 군집을 이루는 능묘, 능사가 포함된 능원이 나타나는 시기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단독 능묘와 능원으로 변화되어 가는 과도기적인 모습이며, 그 과정에는 중국의 영향과 함께 삼국간의 영향도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state of the tombs of Neungsan-ri, Buyeo and compare them with their counterparts from the Woongjin period and those of neighboring states, making an approach to the issues of royal tombs and and their boundary of Baekje during the Sabi period.
      Baekje built ancient tombs including the boundary of royal tombs in Neungsan-ri after moving its capital to Sabi. It is likely that the central tombs of Neungsan-ri were usually for the royal family(kings and queens), whereas the eastern and western ones were for the royal members of different lines. The facilities related to the boundary of royal tombs are the buildings in the western tombs of Neungsan-ri and the nearby site of Neungsan-ri Buddhist Temple. In Neungsan-ri Buddhist Temple, buildings of ritual character including the Lecture hall(강당지) and Workshop II(공방지Ⅱ) was built at an early stage around the foundation of the Buddhist temple of royal tomb(567). At a later stage, buildings for rituals might have gradually expanded or moved to the northern section of the site. And the building No.1(foundation stone building) in the the western tombs of Neungsan-ri is estimated to have been built along with the western tombs and played rituals related to tombs.
      These data suggest that the royal tombs of the Sabi period introduced new changes while continuing the patterns of the Woongjin period, unlike the previous Woongjin period when Baekje's tombs were under the huge influence of Southern Dynasties in China. The complex of royal tombs on the slopes of the mountain continued since the Woongjin period, but new changes were introduced including the order and arrangement of tombs, structure of stone chamber tomb, content of murals, and buildings for rituals including Buddhist temple of royal tomb. These patterns of the Sabi period were under the greater influence of Goguryeo's Buddhist temple of royal tomb that were affected by Northern Wei Dynasty. The Three Kingdoms including Baekje built the complex of royal tombs on the slopes of the mountain and boundary of royal tombs including Buddhist temple of royal tomb between the sixth century and the former half of the seventh century with some time differences among them. These represent a transitional period toward single royal tomb and its boundary, and it is estimated that there were influences among the Three Kingdoms as well as influences from China in the process.
      번역하기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state of the tombs of Neungsan-ri, Buyeo and compare them with their counterparts from the Woongjin period and those of neighboring states, making an approach to the issues of royal tombs and and their boundary of Bae...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state of the tombs of Neungsan-ri, Buyeo and compare them with their counterparts from the Woongjin period and those of neighboring states, making an approach to the issues of royal tombs and and their boundary of Baekje during the Sabi period.
      Baekje built ancient tombs including the boundary of royal tombs in Neungsan-ri after moving its capital to Sabi. It is likely that the central tombs of Neungsan-ri were usually for the royal family(kings and queens), whereas the eastern and western ones were for the royal members of different lines. The facilities related to the boundary of royal tombs are the buildings in the western tombs of Neungsan-ri and the nearby site of Neungsan-ri Buddhist Temple. In Neungsan-ri Buddhist Temple, buildings of ritual character including the Lecture hall(강당지) and Workshop II(공방지Ⅱ) was built at an early stage around the foundation of the Buddhist temple of royal tomb(567). At a later stage, buildings for rituals might have gradually expanded or moved to the northern section of the site. And the building No.1(foundation stone building) in the the western tombs of Neungsan-ri is estimated to have been built along with the western tombs and played rituals related to tombs.
      These data suggest that the royal tombs of the Sabi period introduced new changes while continuing the patterns of the Woongjin period, unlike the previous Woongjin period when Baekje's tombs were under the huge influence of Southern Dynasties in China. The complex of royal tombs on the slopes of the mountain continued since the Woongjin period, but new changes were introduced including the order and arrangement of tombs, structure of stone chamber tomb, content of murals, and buildings for rituals including Buddhist temple of royal tomb. These patterns of the Sabi period were under the greater influence of Goguryeo's Buddhist temple of royal tomb that were affected by Northern Wei Dynasty. The Three Kingdoms including Baekje built the complex of royal tombs on the slopes of the mountain and boundary of royal tombs including Buddhist temple of royal tomb between the sixth century and the former half of the seventh century with some time differences among them. These represent a transitional period toward single royal tomb and its boundary, and it is estimated that there were influences among the Three Kingdoms as well as influences from China in the proces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충남역사문화연구원, 2018

      2 김용성, "嶺南大學校 文化人類學科 開設40周年 紀念論叢" 학연문화사 2013

      3 扶餘郡, "陵寺 -扶餘 陵山里寺址發掘調査 進展報告書- (1차∼5차)" 2000

      4 양은경, "陵寢制度를 통해 본 高句麗, 百濟 陵寺의 性格과 特徵" 고구려발해학회 47 : 61-105, 2013

      5 이문형, "최근 고고학 성과로 본 百濟王都 益山" 익산시·원광대학교馬韓百濟硏究所 2018

      6 강현숙, "전 동명왕릉과 진파리고분군의 성격검토" 호서고고학회 (18) : 30-55, 2008

      7 김성남, "일제 강점기의 사비인식" 부여군문화재보존센터 2009

      8 이성준, "익산 쌍릉과 출토 인골의 성격에 대한 연구" 한국고고학회 (109) : 292-325, 2018

      9 국립중앙박물관, "유리건판으로 보는 백제의 고분" 2015

      10 이병호, "웅진·사비기 백제 왕실의 조상 제사 변천" 한국고대학회 (55) : 5-38, 2018

      1 충남역사문화연구원, 2018

      2 김용성, "嶺南大學校 文化人類學科 開設40周年 紀念論叢" 학연문화사 2013

      3 扶餘郡, "陵寺 -扶餘 陵山里寺址發掘調査 進展報告書- (1차∼5차)" 2000

      4 양은경, "陵寢制度를 통해 본 高句麗, 百濟 陵寺의 性格과 特徵" 고구려발해학회 47 : 61-105, 2013

      5 이문형, "최근 고고학 성과로 본 百濟王都 益山" 익산시·원광대학교馬韓百濟硏究所 2018

      6 강현숙, "전 동명왕릉과 진파리고분군의 성격검토" 호서고고학회 (18) : 30-55, 2008

      7 김성남, "일제 강점기의 사비인식" 부여군문화재보존센터 2009

      8 이성준, "익산 쌍릉과 출토 인골의 성격에 대한 연구" 한국고고학회 (109) : 292-325, 2018

      9 국립중앙박물관, "유리건판으로 보는 백제의 고분" 2015

      10 이병호, "웅진·사비기 백제 왕실의 조상 제사 변천" 한국고대학회 (55) : 5-38, 2018

      11 오동선, "영산강유역권 사비기 석실의 변천과 의미" 한국고고학회 (112) : 202-245, 2019

      12 경주시, "신라 왕릉Ⅰ∼Ⅲ" 2013

      13 김규운, "부여(扶餘) 능산리고분군(陵山里古墳群) 성격(性格)에 대한 재고(再考)" 국립문화재연구소 49 (49): 104-121, 2016

      14 부여군, "부여 능산리고분군의 조사 기록화사업Ⅰ-부여 능산리고분군의 조사와 기록" 2017

      15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고고학연구소, "부여 능산리고분군Ⅱ -서고분군" 2020

      16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고고학연구소, "부여 능산리고분군Ⅰ -서고분군" 2019

      17 서현주, "부여 능산리 서고분군 출토 금제오각형장식에 대한 고찰" 한국고대학회 (61) : 211-240, 2019

      18 윤상덕, "봉토 외형으로 본 신라 전·중기의 왕릉 추정" 한국고고학회 (93) : 164-191, 2014

      19 김종만, "백제금동대향로 발굴 10주년 기념 연구논문자료집" 2003

      20 김용성, "백제 후기 능묘와 능원의 특성" 국립문화재연구소 47 (47): 68-84, 2014

      21 김낙중, "백제 횡혈식석실의 확산 및 지역성-영산강유역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71) : 130-163, 2009

      22 국립부여박물관, "백제 중흥을 꿈꾸다 –능산리사지" 2010

      23 서현주, "백제 사비기 왕릉 발굴의 새로운 성과와 역사적 해석" 한국고대사학회 (88) : 47-98, 2017

      24 서현주, "백제 사비기 능산리유형 석실묘의 발전과 그 의미" 2018

      25 이병호, "백제 불교 사원의 성립과 전개" 사회평론아카데미 2014

      26 정호섭, "백제 벽화고분의 조영과 문화 계통" 한국고대사학회 (61) : 301-336, 2011

      27 박순발, "백제 도성 묘역의 비교 고찰" 백제연구소 (66) : 21-43, 2017

      28 권오영, "무령왕릉" 돌베개 2005

      29 이남석, "능산리 고분군과 백제왕릉" 백제문화연구소 (29) : 1-24, 2000

      30 중앙문화재연구원, "고구려의 고분 문화Ⅰ -한반도" 진인진 2013

      31 정호섭, "고구려 벽화고분의 현황과 被葬者에 대한 재검토" 민족문화연구원 (49) : 385-426, 2008

      32 박순발, "高句麗의 都城과 墓域" 한국고대사탐구학회 (12) : 43-94, 2012

      33 東潮, "高句麗考古學硏究" 吉川弘文館 1997

      34 신광섭, "百濟金銅大香爐와 古代東亞細亞" 2003

      35 김길식, "百濟始祖仇台廟와 陵山里寺址 -`仇台廟에서 廟寺로-" 한국고고학회 (69) : 44-93, 2008

      36 姜仁求, "百濟古墳硏究" 一志社 1977

      37 申光燮, "百濟 泗沘時代 陵寺 硏究" 中央大學校 2006

      38 吉井秀夫, "熊津·泗沘時代 百濟 橫穴式石 室墳의 基礎硏究"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2

      39 山本孝文, "泗?期 石室의 基礎編年과 埋葬構造 -扶餘 鹽倉里ㆍ陵山里 지역을 中心으로" 백제연구소 (43) : 135-163, 2006

      40 柳基正, "泗沘期 구들시설 建物址에 대한 一考" 3 : 2003

      41 츠치다준코, "泗 樣式土器에서 보이는 高句麗土器의 影響에 대한 검토" 한국고고학회 (72) : 118-159, 2009

      42 金日成綜合大學, "東明王陵과 그 附近의 高句麗遺蹟" 金日成綜合大學出版社 1976

      43 永島暉臣愼, "東北亞歷史與考古" 1981

      44 국립부여박물관, "日帝强占期 資料調査 報告32" 2019

      45 국립부여박물관, "日帝强占期 資料調査 報告29" 2018

      46 국립전주박물관, "日帝强占期 資料調査 報告16" 2015

      47 李根直, "新羅 王陵의 起源과 變遷" 嶺南大學校 2006

      48 姜仁求, "新羅 王陵의 再檢討(1)" 41 : 1984

      49 이병호, "扶餘 陵山里寺址 出土 瓦當의 再檢討" 한국고대사학회 (51) : 191-232, 2008

      50 이병호, "扶餘 陵山里寺址 伽藍中心部의 變遷 過程" 한국사연구회 (143) : 35-76, 2008

      51 한국전통문화학교 고고학연구소, "扶餘 陵山里寺址 -제9차 발굴 조사 보고서-" 2010

      52 한국전통문화학교 고고학연구소, "扶餘 陵山里寺址 -제11차 발굴조사-"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5 0.25 0.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1 0.34 0.727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