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武寧王妃 은팔찌 銘文의 再檢討 = Review of the Inscription Carved on the Silver Bracelets of the Queen Muryeong(武寧王妃)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546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ame seventeen characters were inscribed on a pair of sliver bracelets worn on the left hand of the Queen buried on the right side of the King in the Tomb of King Muryeong, which were discovered in 1971. According to the excavation reports at that...

      The same seventeen characters were inscribed on a pair of sliver bracelets worn on the left hand of the Queen buried on the right side of the King in the Tomb of King Muryeong, which were discovered in 1971. According to the excavation reports at that time, the full characters were read as “Kyung Ja Nyeun Yi Wael Da Ri Jak Dae Bu In Bun Yi Baek Sab Ju Yi (庚子年二月多利作大夫人分二百卅主耳)”. The former eight characters were translated into the bracelet was produced (作) by Dari (多利) in February (二月) of the Year of Kyungja (庚子年, 520 CE). Particularly, the person ‘Dari’ believed as the producer of the bracelets was considered to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Jiri’ (止利: とり) whose characters were inscribed as the producer on the back of the Buddha Triad statue (釋迦三尊像) in Horyu-ji (法隆寺) in Japan. It has been assumed that Jiri was descended from the family of artisan during Baekje period which Dari belonged to. Due to the translation based on the excavation reports, the Dari has been understood undoubtedly as the name of an artisan in Baekje. It was also translated by subsequent studies that ‘Ju (主)’ should mean either a unit of weight equivalent to ‘Su (銖)’ or a unit of quantity equivalent to ‘Ju (炷)’. Consequently, overall meaning of the seventeen characters has been translated into “The bracelet was produced by Dari in the year of Kyungja, owned by Daebuin and made from 230 Ju (主) of sliver.”However, there is over one hundred years time discrepancy between ‘Dari’ written on the bracelets and ‘Jiri’ from Japan.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study into the predecessors of ‘Toraijin (渡來人)’ Jiri, neither Jiri nor Dari had been used ever for a name of person. It could be fallible therefore to explore a person’s identity merely with a name pronounced similarly neglecting space-time. Additionally, it seems to be more reasonable that ‘Sab (卅)’ should be read as ‘Sae (世)’. Since the character understood as ‘Bun (分)’ is considerably different from the carved character on the bracelets, it could be read as either ‘Hae (兮)’, ‘Oh (於)’ or ‘Young (永)’.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full sentence employing ancient documentary records ‘Inscribed Wooden Slip (木簡)’ in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of Korea, it is suggested that the seventeen characters should be deciphered and articulated as “Kyung Ja Nyun Yi Wal. Da Ri Jak Dae Bu In, Young Young Baek Sae Ju Yi. [庚子年二月. 多利作大夫人, 永百世主耳.]”. Hence, it is considered that the Queen of Muryeong seems to be addressed as ‘Darijak Daebuin’. ‘Youngyoung (永)’ should be Youngyi (永二)’ because the ‘Yi (二)’ can be considered as the symbol standing for reiterative. Consequently, the full seventeen characters should be translated into “The bracelet was produced in February of the year Kyungja. Darijak Daebuin is the owener of Baek Sae forever, which may imply pray for the live long of the Queen of Muryeo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72년에 발굴된 무령왕릉은 왕과 왕비의 합장릉으로, 왕의 오른쪽에 묻힌 왕비가 왼손에 찬 은팔찌 한 쌍에는 똑같은 내용을 담은 글이 17자씩 새겨져 있었다. 발굴보고서에서는 이를 “庚子...

      1972년에 발굴된 무령왕릉은 왕과 왕비의 합장릉으로, 왕의 오른쪽에 묻힌 왕비가 왼손에 찬 은팔찌 한 쌍에는 똑같은 내용을 담은 글이 17자씩 새겨져 있었다. 발굴보고서에서는 이를 “庚子年二月多利作大夫人分二百卅主耳”로 판독하였으며, 앞의 8자를 경자년(520) 2월에 多利가 만들었다고 하였다. 특히 팔찌를 만든 ‘다리’는 일본 法隆寺釋迦三尊像光背명문에 보이는 불상을 만든 ‘止利(とり)’와 상통하며 ‘지리’는 ‘다리’가 속하던 백제의 工匠집안에서 갈려 나왔을 것이라고 하였다.
      이후 연구자들은 ‘다리’를 큰 의심 없이 백제의 장인 이름으로 이해하였으며, 연구를 통해 ‘主’는 ‘銖’와 같은 무게의 단위이거나 ‘炷’와 같은 수량의 단위일 것으로 추정하여 대체로 “경자년에 多利가 만들었으며, 大夫人것으로 230主가 사용되었다.”고 풀이하였다.
      그러나 은팔찌에 보이는 ‘다리’와 일본의 ‘지리’라는 인물 사이에는 100년 이상 연대 차이가 있는 데다가, 渡來人지리의 선대를 살펴보아도 지리나 다리를 인명에 사용한 예가 없었다. 시공을 무시하고 단지 양자의 음이 비슷하다는 이유로, 이를 이름으로 추정한 것은 온당하지 않다. 게다가 ‘卅’으로 보았던 것은 ‘世’로 보아야 하고, ‘分’으로 읽은 글자는 두 팔찌에 새겨진 글자가 사뭇 달라 ‘兮’, ‘於’, ‘永’ 등으로도 읽을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전체적인 문장을 다시 대입하여 분석하고 삼국시대 木簡등을 살펴 “庚子年二月. 多利作大夫人, 永二百世主耳.”로 읽고 문장을 분절하여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무령왕비를 ‘다리작 대부인’으로 일컬었다고 보아야 하며, ‘永二’의 ‘二’를 疊字부호 ‘ ’로 보아 ‘永永’이라고 보았다. 그리하여 이를 “경자년 2월에 만들었다. 다리작 대부인이 영원토록 백세의 소유주이실 뿐입니다.”라고 번역할 수 있었으며, 이는 팔찌의 주인 무령왕비를 祝壽하는 것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욱, "한국어 表記의 기원과 전개과정"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2) : 171-191, 2008

      2 이현주, "신라 상고 시기 ‘부인(夫人)’ 칭호의 수용과 의미" 한국역사연구회 (86) : 175-212, 2012

      3 국립부여박물관, "백제의 도량형"

      4 노중국, "백제의 度量衡과 그 運用盧重國 -척도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학회 (40) : 73-136, 2005

      5 양기석, "백제 성왕대의 정치개혁과 그 성격" 4 : 1991

      6 손환일, "韓國木簡字典"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1

      7 顧藹吉, "隸辨" 中華書局 2003

      8 容庚, "金文字典"

      9 "釋譜詳節"

      10 韓國古代社會硏究所, "譯註韓國古代金石文Ⅰ(고구려·백제·낙랑 편)"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1992

      1 김영욱, "한국어 表記의 기원과 전개과정"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2) : 171-191, 2008

      2 이현주, "신라 상고 시기 ‘부인(夫人)’ 칭호의 수용과 의미" 한국역사연구회 (86) : 175-212, 2012

      3 국립부여박물관, "백제의 도량형"

      4 노중국, "백제의 度量衡과 그 運用盧重國 -척도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학회 (40) : 73-136, 2005

      5 양기석, "백제 성왕대의 정치개혁과 그 성격" 4 : 1991

      6 손환일, "韓國木簡字典"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1

      7 顧藹吉, "隸辨" 中華書局 2003

      8 容庚, "金文字典"

      9 "釋譜詳節"

      10 韓國古代社會硏究所, "譯註韓國古代金石文Ⅰ(고구려·백제·낙랑 편)"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1992

      11 許愼, "說文解字注"

      12 "詩經"

      13 畢沅, "經典文字辨證書" 新文豐出版公司 1985

      14 秦公, "碑別字新編" 文物出版社 1985

      15 정재영, "百濟의 文字 生活" 구결학회 (11) : 87-124, 2003

      16 徐中舒, "甲骨文字典"

      17 조유전, "熊津都邑期의 百濟"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07

      18 "漢語大詞典"

      19 "漢語大字典"

      20 "歷代書法字彙" 大通書局 1981

      21 文化財管理局, "武寧王陵發掘調査報告書" 三和出版社 1974

      22 "正法念處經"

      23 "正字通"

      24 康殷, "文字源流淺說"

      25 潘重規, "敦煌俗字譜" 石門圖書公司 1980

      26 "承政院日記"

      27 "廣韻"

      28 "康熙字典"

      29 趙斗淳, "寶蘇堂印存 (한국학중앙연구원 청구기호 MF35-974)"

      30 "字彙"

      31 "周易"

      32 高明, "古陶文彙編" 中華書局 1990

      33 "古今圖書集成"

      34 남풍현, "上古時代에 있어서 借字表記法의 發達" 구결학회 (16) : 5-25,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6 0.97 2.484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