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李鍾書, "羅末麗初 姓氏 사용의 擴大와 그 背景" 37 : 1997
2 이수건, "한국중세사회사연구" 일조각 1984
3 송준호, "한국의 씨성제에 있어서 본관 및 시조의 문제-한중 양국의 전통사회를 비교하는 입장에서" 109 : 1986
4 李樹健, "한국의 성씨와 족보" 서울대출판부 2003
5 이기동, "한국사강좌-고대편 1" 일조각 1982
6 도수희, "한국 성명의 생성 발달" 9 (9): 1999
7 여호규, "충주고구려비의 단락구성과 건립시기" 한국고대사학회 (98) : 97-140, 2020
8 동북아역사재단 ; 한국고대사학회, "충주고구려비 공동 판독안" 한국고대사학회 (98) : 5-8, 2020
9 김광수, "중국정사 동이전 역주(一)" 국사편찬위원회 1987
10 李成茂, "조선시대 사상사연구 2" 지식산업사 2009
1 李鍾書, "羅末麗初 姓氏 사용의 擴大와 그 背景" 37 : 1997
2 이수건, "한국중세사회사연구" 일조각 1984
3 송준호, "한국의 씨성제에 있어서 본관 및 시조의 문제-한중 양국의 전통사회를 비교하는 입장에서" 109 : 1986
4 李樹健, "한국의 성씨와 족보" 서울대출판부 2003
5 이기동, "한국사강좌-고대편 1" 일조각 1982
6 도수희, "한국 성명의 생성 발달" 9 (9): 1999
7 여호규, "충주고구려비의 단락구성과 건립시기" 한국고대사학회 (98) : 97-140, 2020
8 동북아역사재단 ; 한국고대사학회, "충주고구려비 공동 판독안" 한국고대사학회 (98) : 5-8, 2020
9 김광수, "중국정사 동이전 역주(一)" 국사편찬위원회 1987
10 李成茂, "조선시대 사상사연구 2" 지식산업사 2009
11 손영종, "조선단대사 2(고구려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7
12 이종욱, "전해종박사화갑기념사학논총" 一潮閣 1979
13 권덕영, "재당 한인 묘지명 연구(역주편)"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1
14 임기환, "온달・서동설화와 6세기 사회" 22 : 1993
15 이기백, "온달전의 검토-고구려 귀족사회의 신분질서에 대한 별견" 3 : 1967
16 안정준, "새로 발견된 高句麗 遺民 「高延福墓志銘」"
17 趙法鍾, "삼국시대 신분제 연구 : 피지배층의 신분양상을 중심으로"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5
18 전덕재, "삼국사기 본기의 원전과 편찬" 주류성 2018
19 박윤선, "백제의 중국식 이름문화 수용 과정의 고찰- 백제왕과 왕족의 이름을 중심으로 -" 백제학회 (25) : 127-157, 2018
20 박윤선, "백제 인명의 이해 시론 - 막고와 해를 중심으로" 백제학회 (21) : 97-118, 2017
21 금경숙, "고구려전기 정치사 연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04
22 여호규, "고구려와 모용연의 조공・책봉관계 연구, 한국 고대국가와 중국왕조의 조공・책봉관계 연구" 고구려연구재단 2006
23 노태돈, "고구려사 연구" 사계절 1999
24 임기환, "고구려본기 전거 자료의 계통과 성격" 한국고대사학회 (42) : 21-78, 2006
25 여호규, "고구려 초기 정치사 연구" 신서원 2014
26 임기환, "고구려 정치사 연구" 한나래 2004
27 박윤선, "고구려 왕명과 왕호의 분석— 고구려 성씨문화 이해의 토대작업으로서 —" 수선사학회 (80) : 101-134, 2022
28 노중국, "고구려 국상고(하)" 17 : 1979
29 노중국, "고구려 국상고(상)" 16 : 1979
30 한상복, "개정판 문화인류학"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31 "魏書"
32 金光洙, "高句麗-古代-集權國家의 成立에 관한 硏究"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4
33 김영관, "高句麗 遺民 高鐃苗 墓誌 檢討" 한국고대사학회 (56) : 367-397, 2009
34 서영대, "高句麗 平壤遷都의 動機"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 : 81-139, 1981
35 金賢淑, "高句麗 初期 那部의 分化와 貴族의 姓氏" 16 : 1993
36 徐永大, "韓國古代 神觀念의 社會的 意味"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1
37 "隋書"
38 김효정, "金文을 통해본 주대 여성상 연구" 경성대학교 2014
39 "資治通鑑"
40 鄭求福, "譯註 三國史記 3, 4-주석편(상하)-"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7
41 "舊唐書"
42 羅振玉, "石刻史料新編 2-15" 新文豐出版公司 1982
43 閔德植, "百濟 阿旦城硏究; 百濟初期 都城硏究를 위한 일환으로" 17 : 1994
44 박인호, "溫達을 통해 본 6世紀 高句麗 貴族社會" 한국고대사학회 36 : 231-256, 2004
45 전경옥, "淵蓋蘇文執權期의 莫離支體制硏究" 46 : 1996
46 "梁書"
47 고병익, "東亞交涉史의 硏究" 서울대 출판부 1970
48 李純根, "新羅時代 姓氏取得과 그 意味" 6 : 1980
49 井上秀雄, "新羅史基礎硏究" 東出版 1974
50 "新唐書"
51 "擇里志"
52 "後漢書"
53 "左傳"
54 "宋書"
55 王连龙, "唐「高延福墓志」考略" 20 : 2019
56 "周書"
57 井上秀雄, "古代東アジア史論集(末松保和博士古稀記念)上" 吉川弘文館 1978
58 坂元義種, "古代東アジア世界の日本と朝鮮" 吉川弘文館 1978
59 "南齊書"
60 "南史"
61 "北齊書"
62 "北史"
63 "冊府元龜"
64 "全唐文"
65 김종완, "中國南北朝史硏究-朝貢・交聘關係를 중심으로" 一潮閣 1995
66 김창호, "中原高句麗碑의 재검토" 47 : 1987
67 박진석, "中原高句麗碑의 建立年代 考証" 10 : 2000
68 金英夏, "中原高句麗碑의 建碑 年代" 25 : 1983
69 임기환, "中原高句麗碑를 통해 본 高句麗와 新羅의 關係" 10 : 2000
70 "三國遺事"
71 "三國志"
72 申東河, "三國史記의 原典 檢討"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5
73 井上秀雄, "三國史記の原典をもとめて" 48 : 1968
74 "三國史記"
75 高寬敏, "“三国史記”原典的硏究" 雄山閣 1996
76 장창은, "6세기 후반~7세기 초반 高句麗의 南進과 對新羅 領域向方" 55 : 2013
77 김현숙, "4~6세기경 소백산맥 이동지역의 영역 향방" 한국고대사학회 26 : 75-114, 2002
78 田中俊明, ""三国史記"撰進と"旧三国史"" 83 : 1977
79 田中俊明, ""三国史記"中国史書引用記事の再檢討" 104 : 1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