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재당 고구려 유민 환관 高延福 묘지명의 새로운 검토 = An Analysis of the Epitaph of Go Yeon-bok,a Tang Dynasty Koguryeo Remna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658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reconstruct the life and family relationships of the Koguryeo remnant Go Yeon-bok of the Tang Dynasty through his epitaph and a new memorial stone. He was drawn into the party as a child and became a eunuch. During his time as a courtier, he adopted the talented courtier Gao Li-Shi as his adopted son, and with his son's trust in the prefectural court, he rose to the heights he could reach as a courtier and lived and died in glory.
      Although the first research on Go Yeon-bok was conducted in China, and a short article on him was introduced in Korea, there has been no detailed examination of the epitaph or memorial stone. This paper acknowledges these shortcomings and draws new results through several reviews.
      First, the original epitaph is currently housed in the Choujugu Museum in Huanxi. However, it passed through the hands of many people before it was placed there, and the parts that were not mentioned in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were newly organized and supplemented by the contents of Bomojae's tablet book.
      Secondly, the epitaph and memorial stone of Go Yeon-bok were written by famous scholars of the time. This was possible because his adopted son, Gao Li-Shi, took the lead.
      Third, regarding Go Yeon-bok's investment, there is little hesitation to conclude that he was directly connected to the Koguryeo royal family, a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However, the names of his great-grandfather, grandfather, and father are known from the epitaph, so we can assume that he was a descendant of Koguryeo nobility.
      Fourth, after entering the party, Go Yeon-bok rose to the rank of the courtier, and, as many courtiers did, he married. He also had Gao Li-Shi, who was a courtier at the time, as his adopted son, and thanks to his son, he was able to rise to the position of minister of the eunuch castle.
      Fifth, Go Yeon-bok died at the age of 63 in his private residence and was buried the following year on the west side of Baekrakwon. He was buried close to the residence and the memorial stone was erected in front of his grave.
      The significance of this article is that the epitaph of Go Yeon-bok of eunuch has allowed us to restore a picture of the Koguryeo people of the Tang Dynasty and it will add breadth and depth to the study of the Koguryeo people of Tang Dynasty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is paper attempts to reconstruct the life and family relationships of the Koguryeo remnant Go Yeon-bok of the Tang Dynasty through his epitaph and a new memorial stone. He was drawn into the party as a child and became a eunuch. During his time as a...

      This paper attempts to reconstruct the life and family relationships of the Koguryeo remnant Go Yeon-bok of the Tang Dynasty through his epitaph and a new memorial stone. He was drawn into the party as a child and became a eunuch. During his time as a courtier, he adopted the talented courtier Gao Li-Shi as his adopted son, and with his son's trust in the prefectural court, he rose to the heights he could reach as a courtier and lived and died in glory.
      Although the first research on Go Yeon-bok was conducted in China, and a short article on him was introduced in Korea, there has been no detailed examination of the epitaph or memorial stone. This paper acknowledges these shortcomings and draws new results through several reviews.
      First, the original epitaph is currently housed in the Choujugu Museum in Huanxi. However, it passed through the hands of many people before it was placed there, and the parts that were not mentioned in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were newly organized and supplemented by the contents of Bomojae's tablet book.
      Secondly, the epitaph and memorial stone of Go Yeon-bok were written by famous scholars of the time. This was possible because his adopted son, Gao Li-Shi, took the lead.
      Third, regarding Go Yeon-bok's investment, there is little hesitation to conclude that he was directly connected to the Koguryeo royal family, a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However, the names of his great-grandfather, grandfather, and father are known from the epitaph, so we can assume that he was a descendant of Koguryeo nobility.
      Fourth, after entering the party, Go Yeon-bok rose to the rank of the courtier, and, as many courtiers did, he married. He also had Gao Li-Shi, who was a courtier at the time, as his adopted son, and thanks to his son, he was able to rise to the position of minister of the eunuch castle.
      Fifth, Go Yeon-bok died at the age of 63 in his private residence and was buried the following year on the west side of Baekrakwon. He was buried close to the residence and the memorial stone was erected in front of his grave.
      The significance of this article is that the epitaph of Go Yeon-bok of eunuch has allowed us to restore a picture of the Koguryeo people of the Tang Dynasty and it will add breadth and depth to the study of the Koguryeo people of Tang Dynasty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재당 고구려 유민 고연복의 묘지명과 신도비를 통해 그의 일생과 가족 관계를 복원해 본 것이다. 그는 어린 시절 당에 끌려가 뜻하지 않게 환관이 되었다. 환관으로 활동하는 중에 재능이 출중한 환관 고력사를 양아들로 삼았고, 아들이 황제 현종의 두터운 신임을 받는 것을 발판으로 하여 환관으로서 오를 수 있는 높은 곳까지 올랐으며 영화롭게 살다가 죽었다.
      고연복 묘지명과 관련하여 중국에서 처음으로 연구가 이루어졌고 국내에서도 그에 관한 짧은 글이 소개되었지만, 묘지명이나 신도비에 관한 자세한 검토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러한 부분을 직시하고 면밀한 검토를 통하여 몇 가지 새로운 결과를 얻어낼 수 있었다.
      첫째로 고연복 묘지명은 필원에 의해 1781년 함녕의 농가에서 발견되었으며, 이후 여러 사람의 손을 거쳐 현재 회안시 초주구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기존에는 발견 시점을 명확하게 밝히지 못하였으나, 본고에서 이와 같은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두었다.
      둘째로 고연복의 묘지명과 신도비는 당대 유명한 유학자의 손에 의해서 찬술되었다. 손익과 장열에 의해 찬술된 묘지명과 신도비는 그것을 말해주고 있다. 이는 양아들인 고력사가 주도하였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셋째로 고연복의 출자와 관련하여 기존의 연구에서 밝힌 것과 같이 고구려 왕실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었다고 단정하기에는 주저되는 바가 적지 않다. 다만 묘지명에서 증조부와 조부 그리고 아버지의 이름이 알려진 것으로 보아 일단 고구려 귀족의 후예로 추정해 보았다.
      넷째로 고연복은 당에 들어온 이후 환관으로 출세하였고, 여러 환관이 그러하였듯이, 그도 혼인하였다. 또한 당시 환관이었던 고력사를 양아들로 두어 봉양을 받았으며 아들 덕분에 내시성의 장관직에까지 오를 수 있었다.
      다섯째로 고연복은 63세로 내정리 사제에서 사망하였고, 다음 해에 경조부의 백록원 서쪽에 묻혔다. 그는 사제와 가까운 곳에 묻혔으며 그의 무덤 앞에는 신도비가 세워졌다.
      환관 고연복의 묘지명을 통해 재당 고구려 유민의 한 모습을 복원할 수 있게 되었고, 앞으로 재당 고구려 유민을 연구하는 데 폭과 깊이를 더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이 글의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재당 고구려 유민 고연복의 묘지명과 신도비를 통해 그의 일생과 가족 관계를 복원해 본 것이다. 그는 어린 시절 당에 끌려가 뜻하지 않게 환관이 되었다. 환관으로 활동하는 중에...

      이 논문은 재당 고구려 유민 고연복의 묘지명과 신도비를 통해 그의 일생과 가족 관계를 복원해 본 것이다. 그는 어린 시절 당에 끌려가 뜻하지 않게 환관이 되었다. 환관으로 활동하는 중에 재능이 출중한 환관 고력사를 양아들로 삼았고, 아들이 황제 현종의 두터운 신임을 받는 것을 발판으로 하여 환관으로서 오를 수 있는 높은 곳까지 올랐으며 영화롭게 살다가 죽었다.
      고연복 묘지명과 관련하여 중국에서 처음으로 연구가 이루어졌고 국내에서도 그에 관한 짧은 글이 소개되었지만, 묘지명이나 신도비에 관한 자세한 검토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러한 부분을 직시하고 면밀한 검토를 통하여 몇 가지 새로운 결과를 얻어낼 수 있었다.
      첫째로 고연복 묘지명은 필원에 의해 1781년 함녕의 농가에서 발견되었으며, 이후 여러 사람의 손을 거쳐 현재 회안시 초주구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기존에는 발견 시점을 명확하게 밝히지 못하였으나, 본고에서 이와 같은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두었다.
      둘째로 고연복의 묘지명과 신도비는 당대 유명한 유학자의 손에 의해서 찬술되었다. 손익과 장열에 의해 찬술된 묘지명과 신도비는 그것을 말해주고 있다. 이는 양아들인 고력사가 주도하였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셋째로 고연복의 출자와 관련하여 기존의 연구에서 밝힌 것과 같이 고구려 왕실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었다고 단정하기에는 주저되는 바가 적지 않다. 다만 묘지명에서 증조부와 조부 그리고 아버지의 이름이 알려진 것으로 보아 일단 고구려 귀족의 후예로 추정해 보았다.
      넷째로 고연복은 당에 들어온 이후 환관으로 출세하였고, 여러 환관이 그러하였듯이, 그도 혼인하였다. 또한 당시 환관이었던 고력사를 양아들로 두어 봉양을 받았으며 아들 덕분에 내시성의 장관직에까지 오를 수 있었다.
      다섯째로 고연복은 63세로 내정리 사제에서 사망하였고, 다음 해에 경조부의 백록원 서쪽에 묻혔다. 그는 사제와 가까운 곳에 묻혔으며 그의 무덤 앞에는 신도비가 세워졌다.
      환관 고연복의 묘지명을 통해 재당 고구려 유민의 한 모습을 복원할 수 있게 되었고, 앞으로 재당 고구려 유민을 연구하는 데 폭과 깊이를 더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이 글의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미타무라 다이스케, "환관 이야기 : 측근 정치의 구조" 도서출판 아이필드 2015

      2 권덕영, "중국 금석문으로 한국 고대사 읽기" 학연문화사 2023

      3 任洪, "중국 고대의 환관" 울산대학교 출판부 2009

      4 류준형, "중국 宦官에 대한 영어권 학계의 연구 현황과 특징" 중국고중세사학회 (50) : 141-183, 2018

      5 안정준, "새로 발견된 高句麗 遺民 「高延福 墓志銘」"

      6 이문기, "묘지로 본 재당 고구려 유민의 선조의식의 변화" 100 : 2010

      7 閻守誠, "당현종" 서경문화사 2012

      8 김수진, "당경 고구려 유민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9 권은주, "고구려유민 高欽德, 高遠望 부자 묘지명 검토" 대구사학회 116 : 43-77, 2014

      10 "高延福 墓誌銘"

      1 미타무라 다이스케, "환관 이야기 : 측근 정치의 구조" 도서출판 아이필드 2015

      2 권덕영, "중국 금석문으로 한국 고대사 읽기" 학연문화사 2023

      3 任洪, "중국 고대의 환관" 울산대학교 출판부 2009

      4 류준형, "중국 宦官에 대한 영어권 학계의 연구 현황과 특징" 중국고중세사학회 (50) : 141-183, 2018

      5 안정준, "새로 발견된 高句麗 遺民 「高延福 墓志銘」"

      6 이문기, "묘지로 본 재당 고구려 유민의 선조의식의 변화" 100 : 2010

      7 閻守誠, "당현종" 서경문화사 2012

      8 김수진, "당경 고구려 유민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9 권은주, "고구려유민 高欽德, 高遠望 부자 묘지명 검토" 대구사학회 116 : 43-77, 2014

      10 "高延福 墓誌銘"

      11 이동훈, "高句麗遺民 『高德墓誌銘』" 고려사학회 (31) : 9-44, 2008

      12 王連龍, "高力士宦績考實-讀《高力士墓志》-" (4) : 2008

      13 "高力士 墓誌銘, 舊唐書"

      14 "資治通鑑"

      15 권덕영, "羅振玉의 금석학과 『唐代海東藩閥誌存』" 한국고대사학회 (91) : 273-300, 2018

      16 羅振玉, "淮陰金石僅存錄" 新文豊出版公司 (2) : 1841

      17 牛致功, "有關高力士的幾個問題-讀高力士的《神道碑》及《墓志銘》-" (4) : 2003

      18 "新唐書"

      19 "文苑英華 권931" 中華書局 1996

      20 조범환, "在唐 고구려 遺移民의 삶과 죽음" 한국고대사탐구학회 (35) : 39-78, 2020

      21 王連龍, "唐「高延福墓志」考略" (10) : 2019

      22 陝西省考古硏究所, "唐高力士墓發掘簡報" (6) : 2002

      23 周紹良, "唐代墓誌彙編(上)" 上海古籍出版社 1992

      24 寶玥齊, "唐 高延福・張希古 墓誌銘" 華東師範大學出版社 2018

      25 류준형, "『舊唐書』, 「宦官傳序」•「高力士小傳」 譯註와 환관 고력사" 한국중국학회 (86) : 127-156, 2018

      26 王連龍, "《高力士墓志》 硏究補証" (5) :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