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산재근로자의 사회적 관계 요인과 직장복귀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f the Social Relationship Factors and the Return to Wor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258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산재근로자의 사회적 관계 요인이 직장복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을 통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선행연구와 사회자본 이론을 검토하여 직장복귀에 영향을 미치는 개�...

      본 연구는 산재근로자의 사회적 관계 요인이 직장복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을 통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선행연구와 사회자본 이론을 검토하여 직장복귀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심리적, 조직, 제도적, 사회적 관계와 같은 총 네 가지 요인들을 선정하여 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총 5년 동안 실시하였던 산재보험 패널조사에서 산재근로자 1,500명을 대상으로 확정하여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이를 대상으로 Cox 비례위험모형 생존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인·심리적 요인 중 주관적인 건강 상태와 자기가치감이 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직 요인 중 일용직, 근로기간, 직장규모가 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제도적 요인 중 산재보험급여와 요양기간이 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적 관계 요인의 경우 모든 변수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일상생활 시 타인의 도움 유무, 인간관계 만족도, 지역사회지원 연계 서비스 이용의사, 사업장 지원 만족도가 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사회자본 이론을 바탕으로 사회 관계적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요인이 산재 후 직장복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esent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e effect of factors in the social relationship of injured workers on the return to work. This study reviewed the prior studies and social capital theory, and defined four factors, such as...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esent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e effect of factors in the social relationship of injured workers on the return to work. This study reviewed the prior studies and social capital theory, and defined four factors, such as personal and psychological, organizational, institutional and social relationship, which affect the return to work, and set up a model. In this study, 1,500 injured workers were confirmed in the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Panel Survey conducted for five years. In addition, the survival analysis of the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was implement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The subjective health condition and self-worth of the personal and psychological factors were shown to influence the return to work of injured workers. Among the organizational factors, daily workers, the period of work, and the size of workplace were shown to influence the return to work of injured workers. Also, among the institutional factors, the industrial insurance benefits and the period of medical care were shown to influence the return to work of injured workers. In particular, all variables of the social relationship factors were significant. In other words, the existence of other people's help in daily life, the satisfaction of human relationship, the willingness to use community support connected services, and the satisfaction of workplace support were shown to influence the return to work of injured workers. In this study, the social relationship factors were derived based on social capital theory. It may also be meaningful in that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se factors could serve as major variables that affect the return to work after industrial accid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혜경, "한국 고등학생의 자기-가치감 수반성 척도 타당화 연구"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34) : 91-119, 2013

      2 마강래, "최초 주택구입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생존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6 (46): 51-63, 2011

      3 정명호, "집단성과 결정에 있어서 인적자본과 사회적 자본의 효과" 한국인사조직학회 15 (15): 91-122, 2007

      4 박지연, "직장복귀 산재근로자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생태학적 요인" 이화여자대학교 2019

      5 박수경, "직업에 복귀한 산재장애인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원 직장복귀자와 타 직장복귀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소 37 : 149-174, 2013

      6 전성훈, "지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 내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방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 15 (15): 129-152, 2016

      7 김윤승, "장애인의 사회적 자본이 취업 및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2 (22): 55-86, 2012

      8 성은현, "자아존중감,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인성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6 (26): 217-228, 2005

      9 곽금주, "자기지각 검사에 의한 자기개념 연구(Ⅱ)" 10 (10): 15-26, 1997

      10 전보영, "일자리에서의 질환 및 사고로 인한 장애 발생군의 취업 상태 결정요인 분석-원일자리 복귀자, 자의퇴사자, 타의퇴사자 군의 비교 연구를 중심으로" 543-558, 2009

      1 장혜경, "한국 고등학생의 자기-가치감 수반성 척도 타당화 연구"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34) : 91-119, 2013

      2 마강래, "최초 주택구입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생존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6 (46): 51-63, 2011

      3 정명호, "집단성과 결정에 있어서 인적자본과 사회적 자본의 효과" 한국인사조직학회 15 (15): 91-122, 2007

      4 박지연, "직장복귀 산재근로자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생태학적 요인" 이화여자대학교 2019

      5 박수경, "직업에 복귀한 산재장애인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원 직장복귀자와 타 직장복귀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소 37 : 149-174, 2013

      6 전성훈, "지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 내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방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 15 (15): 129-152, 2016

      7 김윤승, "장애인의 사회적 자본이 취업 및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2 (22): 55-86, 2012

      8 성은현, "자아존중감,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인성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6 (26): 217-228, 2005

      9 곽금주, "자기지각 검사에 의한 자기개념 연구(Ⅱ)" 10 (10): 15-26, 1997

      10 전보영, "일자리에서의 질환 및 사고로 인한 장애 발생군의 취업 상태 결정요인 분석-원일자리 복귀자, 자의퇴사자, 타의퇴사자 군의 비교 연구를 중심으로" 543-558, 2009

      11 임정연, "원직복귀 산재근로자의 직장적응 영향요인 분석"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7 (17): 531-564, 2016

      12 오영희, "우리나라 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과 신체적 및 정신적 기능상태의 관련성 연구" 한국노년학회 26 (26): 461-476, 2006

      13 김원경, "아동의 창의성에 대한 심리적 관련 변인 연구" 한국아동학회 23 (23): 1-16, 2002

      14 송경일, "생존자료의 분석" 한나래 2013

      15 김양진, "생존분석" 자유아카데미 2013

      16 신창환, "삶의 특성이 노인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30 (30): 453-469, 2010

      17 전보영, "산재장애인의 취업 및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장애발생 후 직업복귀 상황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26 (26): 199-222, 2010

      18 조광자, "산재장애인의 이전직장복귀 가능성 결정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19 박수경, "산재장애인의 성공적인 직업복귀 과정과 관련 요인"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6 (16): 293-318, 2012

      20 정강화, "산재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2008

      21 김지원, "산재장애인 ‘요양기’ 재활정책이 타직복귀시 고용의 질 향상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정책학회 23 (23): 199-230, 2014

      22 이주환, "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9

      23 이웅,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 이후 일자리만족도 영향요인 탐색 - 원직장복귀자와 타직장재취업자 간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회 68 (68): 97-118, 2016

      24 한기명,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 이후 고용유지 영향 요인: 재발사건생존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8 (48): 221-249, 2017

      25 이승렬,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 실태와 결정요인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2003

      26 류만희,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1 (11): 161-184, 2009

      27 박은주, "산재근로자의 재해 이후 첫 복귀직장에서의 고용지속기간"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5 (45): 123-146, 2014

      28 김영광, "산재근로자의 원직장 복귀 후 직장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438-439, 2015

      29 박수경, "산재근로자의 원직복귀 예측요인"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7) : 177-194, 2006

      30 김선미, "산재근로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심리사회적 요인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6 (26): 389-411, 2015

      31 박은주, "산재근로자의 산재 경험 후 종사상지위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28 (28): 121-152, 2012

      32 이승렬, "산재근로자의 노동이동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5

      33 안준기, "산재근로자의 경제활동 변동 및 자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31 (31): 109-135, 2015

      34 김미옥, "산재근로자에 대한 사례관리서비스의 효과:직업복귀 및 원직복귀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0 (40): 133-156, 2013

      35 신혜리, "산재근로자들의 재활서비스 경험이 직장복귀 및 원직장복귀에 미치는 효과: 성향점수매칭(PSM)을 중심으로" 한국직업재활학회 25 (25): 105-130, 2015

      36 이승욱, "산재근로자 직업복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17 (17): 69-100, 2007

      37 양재성, "산재근로자 직업복귀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 분석 -요양종결 후 장해판정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28 (28): 153-177, 2012

      38 박수경, "산업재해장애인의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7

      39 송진영, "산업재해요양 이후 원직장복귀자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6 (26): 65-94, 2016

      40 정원미, "산업재해 근로자의 직장복귀 예측요인" 대한직업환경의학회 15 (15): 119-131, 2003

      41 강희태, "산업재해 근로자의 직장복귀 및 원직복귀 예측 요인" 대한직업환경의학회 18 (18): 221-231, 2006

      42 박희봉, "사회자본이론의 논점과 연구경향" 정부학연구소 8 (8): 1-44, 2002

      43 정재권, "뇌성마비 학생의 자아존중감 특성" 40 : 125-142, 2002

      44 박순미, "노인의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참여와 경제활동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53) : 291-312, 2011

      45 이정화, "‘괜찮은 직업복귀(Decent Return-To-Work)’: 개인, 분절된 노동시장, 제도 차원의 접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7 (37): 389-422, 2017

      46 Hou, W. H., "Workers' compensation and return-to-work following orthopedic injury to extremities" 40 : 440-445, 2008

      47 Meyer, B. D., "Workers' compensation and injury duration: evidence from a natural experiment" 85 (85): 322-340, 1995

      48 Young, A. E., "Urban-rural differences in work disability after an occupational injury" 34 : 158-164, 2008

      49 Hou, W. H., "Trajectories and predictors of return to work after traumatic limb injury: a 2-year follow-up study" 2012

      50 DeLeire, T., "The wage and employment effects of the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34 (34): 693-715, 2000

      51 Galizzi M., "The return to work of injured workers: evidence from matched unemployment insurance and workers’ compensation data" 10 : 311-337, 2003

      52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53 Bandura, A., "Social learning theory" Prentice-Hall 1977

      54 Adler, paul s., "Social capital: Prospects for a new concept" 27 (27): 17-40, 2002

      55 Coleman, J. S.,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94 : 94-121, 1988

      56 Stoller, E. P., "Self-assessment of health by the elderly: the impact of informal assistance" 25 : 260-270, 1984

      57 Schultz, I. Z., "Psychosocial factors predictive of occupational low back disability: towards development of a return-to-work model" 107 : 77-85, 2005

      58 Crook, J., "Prognostic indicators of disability after a work-related musculoskeletal injury" 3 (3): 155-159, 1995

      59 Infante-Rivard, C., "Prognostic factors for return to work after a first compensated episode of back pain" 53 : 488-494, 1996

      60 Blackwell, T. L., "Predictor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return-to-work outcomes in workers’ compensation" 46 (46): 108-114, 2003

      61 Kuijer W., "Prediction of sickness absence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a systematic review" 16 (16): 192-200, 2006

      62 Putnam, "Making Democracy Work"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3

      63 Berkman, L. F., "Health and Ways of Living: The Alameda County Study"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64 Seidel, M. L., "Friends in high places: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s on discrimination in salary negotiations" 45 : 1-24, 2000

      65 Cheadle, A., "Factors influencing the duration of work related disability a population-based study of Washington State Workers’ Compensation" 84 : 190-196, 1994

      66 Baril, R., "Early return to work of injured workers: Multidimensional patterns of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41 : 277-300, 2003

      67 Krause, N., "Determinants of duration of disability and return-to-work after work-related injury and illness: challenges for future research" 40 : 464-484, 2001

      68 Curington, W. P., "Compensation for permanent impairment and the duration of work absence: evidence from natural experiments" 29 (29): 887-910, 1994

      69 Seland K.,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return to work after ankle fractures" 49 : 197-203, 2006

      70 Brouwer, S., "A prospective study of return to work across health conditions: perceived work attitude, self-efficacy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20 : 104-112,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7 1.47 1.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5 1.46 1.648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