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마을 만들기 사업을 위한 자치단체의 주민참여 활성화 노력과 삶의 질의 관계 = 주민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434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부산지역 5개 마을 만들기 사업의 지역 주민들과 경남의 동피랑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서베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자치단체의 주민참여 활성화 노력(주민참여, 마을 ...

      본 연구는 부산지역 5개 마을 만들기 사업의 지역 주민들과 경남의 동피랑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서베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자치단체의 주민참여 활성화 노력(주민참여, 마을 만들기에 대한 설명과 홍보, 주민에 대한 동의 획득, 자치단체 사업수행능력에 대한 믿음)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의 차이가 마을 만들기 사업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삶의 질에 차이를 가져오는가를 분석하였다. 사용된 자료는 해당 지역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서베이 조사를 통해 구축하였고, 주로 AN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치단체의 주민참여 활성화 노력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 따라 생활불편을 제외한 모든 삶의 질의 평가에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생활의 불편은 마을 만들기 자치단체의 주민참여 활성화 노력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과 무관하게 모든 응답 집단에서 나타났다. 특히 참여 집단은 삶의 질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고 비참여집단은 부정적 인식을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생활의 불편은 공유할 가능성이 있다. 이는 마을 만들기 사업의 효과를 특정 주민 집단이 독점하고, 불편과 비용은 사회화 시키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마을 내 일부 주민만을 포함하는 사업단 중심에서 전체 마을 단위를 통합하는 차원으로 마을 만들기 사업의 방향을 전환시키고 자치단체의 주민참여 활성화 노력 강화의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 relationship between the municipal efforts to include residents and the quality of life(QOL) of residents in the process of community(ma-eul) building programs. The municipal efforts and the QOL were based on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 relationship between the municipal efforts to include residents and the quality of life(QOL) of residents in the process of community(ma-eul) building programs. The municipal efforts and the QOL were based on the perceptions of residents. Municipal efforts were composed of residents participation, informing and explaining, gaining the agreements of residents, and the trust in municipal abilities. For analysis we used ANOV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ifferences of municipal efforts perceived by residents results in differences of perceived QOL in the process of community building. The participating group of residents showed positive reponses to all perceived QOL categories without inconvenience of living, but the non-participating group showed negative ones. Explaining, gaining the agreements of residents, and the trust in municipal abilities showed the same results. Second, all residents responded that they have experienced the inconvenience of living in the process of community building.
      These results mean that a few engaged residents take profits from the community building programs, but the inconvenience of living which has arisen in the process of community building are shared with all residents. We think that community building programs of Busan city bring about the dividing residents of community and the socialization of inconvenience at the same tim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I. 문제제기
      • Ⅱ. 이론적 논의
      • Ⅲ. 자료 수집 및 연구 방법
      • Ⅳ. 분석결과
      • 초록
      • I. 문제제기
      • Ⅱ. 이론적 논의
      • Ⅲ. 자료 수집 및 연구 방법
      • Ⅳ. 분석결과
      • Ⅴ. 결론 및 함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흥수, "한일도시재생 비교연구를 통한 지방중소도시 도시재생사업 추진체계구축에 관한 연구 : 창원TB지역을 대상으로" 경상대학교 2012

      2 김영주,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관점에서 본 일본의 마을만들기 사례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 30 (30): 133-146, 2012

      3 김혜정, "주민참여 마을만들기 거주 후 평가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8 (28): 65-74, 2012

      4 원준혁, "주민참여 마을 만들기 사업의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 휴먼타운 시범사업’에 대한 주민인식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3 (13): 55-68, 2012

      5 김세용, "우리나라마을 만들기의 현재와 앞으로의 방향" (371) : 3-20, 2013

      6 김권수, "서울시의 도시재생사업이 주민의 마을만족도와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공사회학회 4 (4): 66-92, 2014

      7 곽현근, "사회적 자본과 마을 만들기" (44) : 8-128, 2013

      8 양재혁, "부산광역시 마을만들기 네트워크 현황조사" 시민이 운영하는 우리마을 2013

      9 박인규, "마을만들기의 성격과 현황 그리고 과제"

      10 이상훈, "마을만들기 추진과정의 성과 및 한계에 관한 연구 - ‘성북구 2011 제2기 도시아카데미’의 교육대상지(정릉1동)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4 (14): 137-149, 2013

      1 김흥수, "한일도시재생 비교연구를 통한 지방중소도시 도시재생사업 추진체계구축에 관한 연구 : 창원TB지역을 대상으로" 경상대학교 2012

      2 김영주,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관점에서 본 일본의 마을만들기 사례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 30 (30): 133-146, 2012

      3 김혜정, "주민참여 마을만들기 거주 후 평가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8 (28): 65-74, 2012

      4 원준혁, "주민참여 마을 만들기 사업의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 휴먼타운 시범사업’에 대한 주민인식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3 (13): 55-68, 2012

      5 김세용, "우리나라마을 만들기의 현재와 앞으로의 방향" (371) : 3-20, 2013

      6 김권수, "서울시의 도시재생사업이 주민의 마을만족도와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공사회학회 4 (4): 66-92, 2014

      7 곽현근, "사회적 자본과 마을 만들기" (44) : 8-128, 2013

      8 양재혁, "부산광역시 마을만들기 네트워크 현황조사" 시민이 운영하는 우리마을 2013

      9 박인규, "마을만들기의 성격과 현황 그리고 과제"

      10 이상훈, "마을만들기 추진과정의 성과 및 한계에 관한 연구 - ‘성북구 2011 제2기 도시아카데미’의 교육대상지(정릉1동)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4 (14): 137-149, 2013

      11 태윤재, "마을만들기 조례에 나타난 마을만들기의 특성 - 2000년대에 제정된 마을만들기 관련 조례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6 (26): 175-182, 2010

      12 윤혜영, "마을만들기 조례에 근거한 마을만들기 사업의운용 실태에 관한 연구- 지자체의 인식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9 (29): 113-121, 2013

      13 남원석, "마을 만들기, 성공의 조건" 1-25, 2012

      14 홍진이, "마을 만들기 사업과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한국공공사회학회 3 (3): 151-169, 2013

      15 조성호, "경기도민의 삶의 질 평가에관한 연구" 경기개발원 2009

      16 김경민, "“벽화마을 프로젝트 성공사례 ‘동피랑 마을’”, 프레시안(pressian)의김경민의 ‘도시이야기’ 시리즈의 19번 글"

      17 Roberts, P., "Urban Regeneration A Handbook" Sage Publications 2000

      18 McMillan, D. W.,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14 : 6-23,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영문명 : Critical Social Welfare Academy -> Critical Social Welfare Academy/Academy of Critical Health Policy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3-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11-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KCI등재후보
      2011-10-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상황과복지 -> 비판사회정책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8 1.28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35 1.677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