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페이스 마케팅 기반의 백화점 VMD 아트 협업 전략 연구 : 봉 마르셰(Le Bon Marche) 백화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VMD in Department Stores Using Art Collaboration Strategy Based on Space Marketing : Focusing on Le Bon March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404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가치를 중시하는 현대 소비자들의 소비 경향 변화와 수많은 유통 채널의 생성으로 인하여 백화점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보다 차별화된 공간의 정체성을 가지고 소비자를 끌어드릴 수 있는 스페이스 마케팅 전략이 백화점 VMD에서도 중요해지고 있다. 그중 아트 협업 전략은 타사와 차별을 줄 수 있는 가장 확실한 스페이스 마케팅의 방법이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스페이스 마케팅을 기반으로 한 백화점 VMD 아트 협업 전략의 구성요소를 분석하고 도출하여 VMD에 있어서 스페이스 마케팅을 기반으로 한 아트 협업 전략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먼저 스페이스 마케팅, 백화점 VMD, 아트 협업 전략 마케팅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3가지 카테고리의 특성을 도출하고 재정립한다. 다음으로 스페이스 마케팅 기반의 백화점 VMD 아트협업 전략의 특성을 심미성, 희소성, 상징성, 독창성, 연출성, 체험성, 서사성으로 구분하고 해당 측면에 기초한 분석 모형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파리의 봉 마르셰 백화점을 대표 사례로 선정하여 모형도를 통해 VMD에 대한 전체적인 양상을 종합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백화점 VMD에서 찾아볼 수 있는 다양한 아트 협업 전략의 특성들을 살펴본다. (결과) 봉 마르셰를 대상으로 한 사례 분석 결과, 먼저 스페이스 마케팅 기반의 백화점 VMD 아트 협업 전략 요소가 고루 반영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연도별로 나누어 보았을 때 2020>2019>2018>2017년 순으로 높게 적용되어 있으며, 범주별로 분석해보았을 때 희소성>연출성>상징성·독창성>심미성·체험성·서사성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스페이스 마케팅 전략을 기반으로 한 백화점 VMD에 적용된 아트 협업의 특성을 연구하였고, 유럽 백화점의 선구자인 봉 마르셰를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를 통해 도출된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트 협업 전략 마케팅은 타사와 차별을 두어 새로운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브랜드 포지셔닝에 효과가 있는 전략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둘째, 감각 및 구성요소인 체험성과 서사성이 점차 중요한 요소로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변화를 질적 향상을 원하는 현대 소비자의 요구하는 대응하기 위하여 트렌드의 요소의 반영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를 통해 제공된 내용을 바탕으로 백화점이 고객에게 다가갈 수 있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 아트 협업 전략을 통해 고객에게 새로운 서비스, 차별화된 경험, 다양한 가치를 제공하여 긍정적인 마케팅 효과를 얻고 더불어 상품 판매 촉진에도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가치를 중시하는 현대 소비자들의 소비 경향 변화와 수많은 유통 채널의 생성으로 인하여 백화점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보다 ...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가치를 중시하는 현대 소비자들의 소비 경향 변화와 수많은 유통 채널의 생성으로 인하여 백화점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보다 차별화된 공간의 정체성을 가지고 소비자를 끌어드릴 수 있는 스페이스 마케팅 전략이 백화점 VMD에서도 중요해지고 있다. 그중 아트 협업 전략은 타사와 차별을 줄 수 있는 가장 확실한 스페이스 마케팅의 방법이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스페이스 마케팅을 기반으로 한 백화점 VMD 아트 협업 전략의 구성요소를 분석하고 도출하여 VMD에 있어서 스페이스 마케팅을 기반으로 한 아트 협업 전략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먼저 스페이스 마케팅, 백화점 VMD, 아트 협업 전략 마케팅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3가지 카테고리의 특성을 도출하고 재정립한다. 다음으로 스페이스 마케팅 기반의 백화점 VMD 아트협업 전략의 특성을 심미성, 희소성, 상징성, 독창성, 연출성, 체험성, 서사성으로 구분하고 해당 측면에 기초한 분석 모형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파리의 봉 마르셰 백화점을 대표 사례로 선정하여 모형도를 통해 VMD에 대한 전체적인 양상을 종합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백화점 VMD에서 찾아볼 수 있는 다양한 아트 협업 전략의 특성들을 살펴본다. (결과) 봉 마르셰를 대상으로 한 사례 분석 결과, 먼저 스페이스 마케팅 기반의 백화점 VMD 아트 협업 전략 요소가 고루 반영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연도별로 나누어 보았을 때 2020>2019>2018>2017년 순으로 높게 적용되어 있으며, 범주별로 분석해보았을 때 희소성>연출성>상징성·독창성>심미성·체험성·서사성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스페이스 마케팅 전략을 기반으로 한 백화점 VMD에 적용된 아트 협업의 특성을 연구하였고, 유럽 백화점의 선구자인 봉 마르셰를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를 통해 도출된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트 협업 전략 마케팅은 타사와 차별을 두어 새로운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브랜드 포지셔닝에 효과가 있는 전략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둘째, 감각 및 구성요소인 체험성과 서사성이 점차 중요한 요소로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변화를 질적 향상을 원하는 현대 소비자의 요구하는 대응하기 위하여 트렌드의 요소의 반영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를 통해 제공된 내용을 바탕으로 백화점이 고객에게 다가갈 수 있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 아트 협업 전략을 통해 고객에게 새로운 서비스, 차별화된 경험, 다양한 가치를 제공하여 긍정적인 마케팅 효과를 얻고 더불어 상품 판매 촉진에도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changes in the consumption trend of value-oriented modern consumers and the creation of numerous distribution channels have brought department stores into a new phase. Against this background, a space marketing strategy that attracts consumers with a more differentiated space identity has become important in department store VMD. Before long, art collaboration strategy will be the most reliable way of space marketing in which department stores can be discriminated against against other compan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derive the components of the VMD in department stores using art collaboration strategy based on space marketing and to confirm and present the importance of this strategy. (Method) First, based on previous research, we examine the concepts and meanings of space marketing, department store VMD, and art collaboration strategy marketing. Subsequently, we derive and re-establish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categories of strategies. The characteristics are classified into aesthetics, rarity, symbolism, creativity, directivity, experience, and narrativity, and an analysis model based on each aspect is provided. Finally, by selecting the Bon Marche department store as a representative case, we analyze the results. (Results) As a result of the case analysis for Bon Marche, we can first confirm that the VMD in department stores using art collaboration strategy based on space marketing element is equally reflected, and when viewed by year, 2020>2019>2018>2017 are applied in descending order, and when analyzed by category, the order was scarce> directivity> symbolism and originality> aesthetics, experience, and narrativity. (Conclusions) In this research, we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VMD in department stores using art collaboration strategy based on Space Marketing strategy, and the characteristics obtained through case study targeting Bon Marche, a pioneer of European department stores. First, you can see that art collaboration strategy marketing is an effective strategy for brand positioning by establishing a new identity and discriminating against other companies. Second, you can see that experience and narrativity are increasingly becoming important factors. Finally, it is concluded that there is also a need to reflect the trend demands that could respond to modern consumers who want change and demand improvements in quality. Therefore, in this research, department stores can reach customers, and as a new medium between space and users as a means of effective communication, customers will be offered new services and differentiated experiences and diverse value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provide a positive marketing effect and help promote product sales.
      번역하기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changes in the consumption trend of value-oriented modern consumers and the creation of numerous distribution channels have brought department stores into a new phase. Against this background, a space marketing strat...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changes in the consumption trend of value-oriented modern consumers and the creation of numerous distribution channels have brought department stores into a new phase. Against this background, a space marketing strategy that attracts consumers with a more differentiated space identity has become important in department store VMD. Before long, art collaboration strategy will be the most reliable way of space marketing in which department stores can be discriminated against against other compan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derive the components of the VMD in department stores using art collaboration strategy based on space marketing and to confirm and present the importance of this strategy. (Method) First, based on previous research, we examine the concepts and meanings of space marketing, department store VMD, and art collaboration strategy marketing. Subsequently, we derive and re-establish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categories of strategies. The characteristics are classified into aesthetics, rarity, symbolism, creativity, directivity, experience, and narrativity, and an analysis model based on each aspect is provided. Finally, by selecting the Bon Marche department store as a representative case, we analyze the results. (Results) As a result of the case analysis for Bon Marche, we can first confirm that the VMD in department stores using art collaboration strategy based on space marketing element is equally reflected, and when viewed by year, 2020>2019>2018>2017 are applied in descending order, and when analyzed by category, the order was scarce> directivity> symbolism and originality> aesthetics, experience, and narrativity. (Conclusions) In this research, we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VMD in department stores using art collaboration strategy based on Space Marketing strategy, and the characteristics obtained through case study targeting Bon Marche, a pioneer of European department stores. First, you can see that art collaboration strategy marketing is an effective strategy for brand positioning by establishing a new identity and discriminating against other companies. Second, you can see that experience and narrativity are increasingly becoming important factors. Finally, it is concluded that there is also a need to reflect the trend demands that could respond to modern consumers who want change and demand improvements in quality. Therefore, in this research, department stores can reach customers, and as a new medium between space and users as a means of effective communication, customers will be offered new services and differentiated experiences and diverse value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provide a positive marketing effect and help promote product sal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 창윤, "컨셉이 있는 공간" 북바이퍼블리 2019

      2 주선희,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특성이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와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2 (22): 101-123, 2014

      3 한여훈, "아트 이미지를 적용한 패키지 디자인이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4 홍성용, "스페이스 마케팅을 적용한 상업 가로 활성화전략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4

      5 홍, 성용, "스페이스 마케팅" 삼성경제연구소 2013

      6 이, 우용, "마케팅원론" 형설출판사 1994

      7 Leem, Jinhee, "The Impact of Emotional Consumption Values to Art Marketing on Purchase Intentions" Sejo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8

      8 Kim, Byungseon, "The Effect to Brand Royalty in VMD Component Elements of Jewelry Stor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brand image"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5

      9 Lee, Youngsil, "Study about comparing specific character of domestic major departments store's VMD development" Dongduk Woma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8

      10 Lee, Devon, "Collabonomics" Next wave media 2008

      1 정, 창윤, "컨셉이 있는 공간" 북바이퍼블리 2019

      2 주선희,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특성이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와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2 (22): 101-123, 2014

      3 한여훈, "아트 이미지를 적용한 패키지 디자인이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4 홍성용, "스페이스 마케팅을 적용한 상업 가로 활성화전략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4

      5 홍, 성용, "스페이스 마케팅" 삼성경제연구소 2013

      6 이, 우용, "마케팅원론" 형설출판사 1994

      7 Leem, Jinhee, "The Impact of Emotional Consumption Values to Art Marketing on Purchase Intentions" Sejo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8

      8 Kim, Byungseon, "The Effect to Brand Royalty in VMD Component Elements of Jewelry Stor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brand image"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5

      9 Lee, Youngsil, "Study about comparing specific character of domestic major departments store's VMD development" Dongduk Woma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8

      10 Lee, Devon, "Collabonomics" Next wave media 2008

      11 Jeung, Bosun, "A study of the Space Contents Marketing Strategy of the Cultural Consumption Space Focused on Living Interior Showroom" Konk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20

      12 Yoo, Sooyeon, "A study of color features of department store VMD design components: based on Korean 3 major department store women's clothing VMD" Ewha Woma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4

      13 Yoo, Eunjin, "A Study on the Extension of Brand Identity through Art Collaboration among Domestic Companies in South Korea" Dankoo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0

      14 Kang, Aream, "A Study on the Art Collaboration Show Window Characteristics of Luxury Brand’s Flagship Store" Kookm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8

      15 Kim, Minsun,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VMD in Commercial Space Applied Art Collaboration" Kookm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1

      16 Lee, Jihyun, "A Study on Shopping Space that can Expand Self-Identity through a Redefinition of Space Marketing Methods"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8

      17 Hong, Mirang, "A Study on Complex Cultural Spaces Plan based on Space Marketing: with a focus on the sale space for design goods"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6

      18 Kim, Boyun, "A Study on Brand Image Management Strategy Through Collaboration"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2

      19 Kim, Kyungeun, "A Study of show window design as Visual Merchandising strategy" Ewha Woma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1

      20 Lee, Heungki, "A Study of The 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Psychological Contract, Career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cused on employees in A Department Store" Yeungnam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6

      21 Heo, Sungbong, "A Study about Difference for Experience of Department VMD elements Effect on Store Satisfaction per Customer Type: Around Department Store Interior, Display and Graphics"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1

      22 Lee, Seulah,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nsumer Awarenes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Department Store VMD"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5

      23 Han, Hyeri, "A Case-study on Complex Cultural Spaces of Companies from a Space Marketing Perspective"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Intitute of the spatial design -> Journal of Korea Intitute of Spatial Design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2 0.692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