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통일을 대비한 북한지역의 새로운 지적조사사업 = Implementation of Cadastral Survey Project in the preparation of Unification in North Korea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344898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200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 지적GIS학과 , 2006. 2

      • 발행연도

        2006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533 판사항(4)

      • DDC

        526.9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75 p. : 삽화 ; 27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 p. 66-67

      • 소장기관
        •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명지대학교 자연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세계유일의 분단국가에서 살아가야 하는 아픔을 극복하고 남북이 하나되는 방법은 상호간 정서적인 이질감의 극복과 함께 제도적인 문제를 생각하고 통일을 대비하여 한반도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들의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 외국의 지적 재조사사업 시행에서 나타는 제도적인 문제점과 기술적인 변화를 분석하여 이러한 변화에 따른 통일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국제질서의 변화와 국내·외적인 상황 변화와 통일 이후 발생될 정치·사회·경제적 문제 해결을 위한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해결책을 지시하고자 한다. 또한 남·북한 지적제도 연구의 접근에서도 그 맥락은 동일한 입장에서 통일 이후 북한 지적제도의 빠르고 안정적인 정착은 국토의 균형 있는 발전과 토지정보의 종합화를 통하여 국토이용 및 관리의 효율성과 합리성을 제고하여 통일 이후 토지정책의 혼란을 막고 통일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연구는 새로운 지적 조사사업을 통한 북한지적에서 일어날 수 있는 위험요소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고 북한 지역에 적용할 새로운 지적조사의 추진 방향을 설정하고 법·제도적, 기술적 비전을 제시 하고 있으며, 남북한의 새로운 지적조사사업의 방법제시로 시범사업을 진행하여 종합적인 분석과 통일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좌표체계의 혼란을 막고 측량의 제도적인 문제점을 해결하며, 기술적인 측면으로는 시범지역을 통해 세계측지좌표계로 기준점변환을 실시하고, 일필지 측량의 정확성을 확보하였다.
      번역하기

      세계유일의 분단국가에서 살아가야 하는 아픔을 극복하고 남북이 하나되는 방법은 상호간 정서적인 이질감의 극복과 함께 제도적인 문제를 생각하고 통일을 대비하여 한반도에서 나타날 ...

      세계유일의 분단국가에서 살아가야 하는 아픔을 극복하고 남북이 하나되는 방법은 상호간 정서적인 이질감의 극복과 함께 제도적인 문제를 생각하고 통일을 대비하여 한반도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들의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 외국의 지적 재조사사업 시행에서 나타는 제도적인 문제점과 기술적인 변화를 분석하여 이러한 변화에 따른 통일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국제질서의 변화와 국내·외적인 상황 변화와 통일 이후 발생될 정치·사회·경제적 문제 해결을 위한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해결책을 지시하고자 한다. 또한 남·북한 지적제도 연구의 접근에서도 그 맥락은 동일한 입장에서 통일 이후 북한 지적제도의 빠르고 안정적인 정착은 국토의 균형 있는 발전과 토지정보의 종합화를 통하여 국토이용 및 관리의 효율성과 합리성을 제고하여 통일 이후 토지정책의 혼란을 막고 통일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연구는 새로운 지적 조사사업을 통한 북한지적에서 일어날 수 있는 위험요소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고 북한 지역에 적용할 새로운 지적조사의 추진 방향을 설정하고 법·제도적, 기술적 비전을 제시 하고 있으며, 남북한의 새로운 지적조사사업의 방법제시로 시범사업을 진행하여 종합적인 분석과 통일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좌표체계의 혼란을 막고 측량의 제도적인 문제점을 해결하며, 기술적인 측면으로는 시범지역을 통해 세계측지좌표계로 기준점변환을 실시하고, 일필지 측량의 정확성을 확보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orean peninsula is the only one which divided two counties in the world. In this situation a preparation of unification which recovers different sentiments and institutional settings are priority issues.
      In this research the problems which has happened in foreign countries while conducting Cadastral Reform Project have been investigated for the analysis of fundamental changes in terms of technical and institutional issues. The research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present a substantial resolution on the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al problems which may be occurred after the unification.
      In order to prevent a chaos on land policy and to facilitate a stable cadastral system in North Korea area, the national land development and integration of land information is a priory issue. This approach will contribute to lessen the unification cost as well.
      This research discusses the preventive measures on possible risks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Cadastral Survey Project in North Korea area. A methodology has been presented on applicable cadastral survey project in North Korea area in terms of institutional and technical perspectives.
      In regard with a new methodology on cadastral survey project in North Korea, the implementation of pilot project has been proposed which can prevent from a chaos the coordinate system. In technical perspective, through the implementation a pilot project, a transformation methodology has been applied for securing surveying accuracy.
      번역하기

      The Korean peninsula is the only one which divided two counties in the world. In this situation a preparation of unification which recovers different sentiments and institutional settings are priority issues. In this research the problems which has h...

      The Korean peninsula is the only one which divided two counties in the world. In this situation a preparation of unification which recovers different sentiments and institutional settings are priority issues.
      In this research the problems which has happened in foreign countries while conducting Cadastral Reform Project have been investigated for the analysis of fundamental changes in terms of technical and institutional issues. The research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present a substantial resolution on the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al problems which may be occurred after the unification.
      In order to prevent a chaos on land policy and to facilitate a stable cadastral system in North Korea area, the national land development and integration of land information is a priory issue. This approach will contribute to lessen the unification cost as well.
      This research discusses the preventive measures on possible risks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Cadastral Survey Project in North Korea area. A methodology has been presented on applicable cadastral survey project in North Korea area in terms of institutional and technical perspectives.
      In regard with a new methodology on cadastral survey project in North Korea, the implementation of pilot project has been proposed which can prevent from a chaos the coordinate system. In technical perspective, through the implementation a pilot project, a transformation methodology has been applied for securing surveying accurac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0
      • 제1장 서론 = 1
      • 1.1 연구 배경 = 1
      • 1.2 연구 목적 = 3
      • 1.3 연구의 범위와 방법 = 5
      • 목차 = 0
      • 제1장 서론 = 1
      • 1.1 연구 배경 = 1
      • 1.2 연구 목적 = 3
      • 1.3 연구의 범위와 방법 = 5
      • 제2장 남북한의 지적제도 = 8
      • 2.1 지적제도 현황 = 8
      • 2.1.1 남한의 지적제도 = 8
      • 2.1.2 북한의 지적제도 = 11
      • 2.1.3 지적제도 비교 = 13
      • 2.2 지적제도 개선방향 = 16
      • 2.2.1 북한의 지도제작 = 16
      • 2.2.2 행정기관 설치 = 19
      • 2.2.3 새로운 지적제도 도입 = 20
      • 2.2.4 지적제도의 변화 = 23
      • 제3장 외국의 지적조사사업 분석 = 26
      • 3.1 외국의 지적조사사업 현황 = 26
      • 3.1.1 지적제도 = 26
      • 3.1.2 일본의 재조사사업 = 28
      • 3.1.3 대만의 재조사사업 = 32
      • 3.1.4 독일의 재조사사업 = 36
      • 3.2 외국의 지적 재조사사업 문제점 = 38
      • 3.2.1 일본의 지적조사사업 = 38
      • 3.2.2 대만의 지적도 중축사업 = 40
      • 3.2.3 독일의 지적조사사업 = 42
      • 제4장 북한지역 새로운 지적조사사업방안 = 44
      • 4.1 기본방안 설정 = 44
      • 4.1.1 수치지적제도 전환 = 44
      • 4.1.2 지적정보의 다양화 = 46
      • 4.1.3 다목적지적 전환 = 48
      • 4.1.4 사업의 타당성 = 49
      • 4.2 북한지역에 지적조사 준비 = 50
      • 4.2.1 법률의 제정 = 50
      • 4.2.2 전담기구 설치 = 51
      • 4.2.3 전문인력 양성 = 51
      • 4.2.4. 사업기간 및 예산 = 53
      • 4.3 새로운 지적조사사업을 위한 운영준비 = 55
      • 4.3.1 시범사업운영 = 55
      • 4.3.2 지적현황 조사 = 58
      • 4.3.3 지적기준점 측량 = 59
      • 제5장 결론 = 62
      • Abstract = 64
      • 참고문헌 = 6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