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공포인자의 특징에 따른 한국 공포영화의 분류 및 흥행과의 연관성 연구 =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Korean horror movies' patterns and the relationship as success factor of a movi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9280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한국영화의 눈부신 성장과 일본 공포영화의 잇따른 헐리웃 진출을 바라보면서 1998년 이후 꾸준히 제작·개봉했던 한국의 공포영화의 산업적 가치나 가능성을 검증하고 독려코자 하는 바램을 가지고, 한국 공포영화의 유형이나 개봉시기가 영화의 흥행 즉, 상업적 성공과 연관성이 있는지 분석하고 검증함으로써 공포 영화의 상품적 가치나 특성을 연구하는데 의미를 찾고자 한 것이다.
      한국 공포영화는 1998년 〈여고괴담〉 이후 부활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여고괴담〉이 공포영화 부활의 Turning Point로 지목되는 이유는, 〈여고괴담〉라는 영화의 작품적 가치나 명맥이 끊어졌던 공포영화의 재등장이라는 점 때문이 아니라 〈여고괴담〉의 흥행성공이 한국 공포영화의 상업적 가능성을 일깨워 줌으로써 이후 다른 공포영화들이 제작되고 관객과 조우할 기회를 만들었다는 것이다. 이렇듯 상업 영화는, 예술적 가치 뿐만이 아니라 상품으로써의 가치 또한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1998년 이후의 공포영화는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둘째, 이런 공포영화의 분류는 영화의 흥행에 어떤 연관성이 있는가? 흥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그런 측면에서 본 연구는 향후 한국에서 공포영화를 기획하고 마케팅하는 전 과정에 있어서 합리적인 지침이 될 수 있고자 1998년 이후 개봉한 공포영화 들의 개념과 대상을 한정하고 그 특징을 살펴본 후 그 유형을 '여고괴담 형', '살인의추억 형', '장화홍련 형'으로 나누었으며, 다음과 같이 세가지 가설을 세우고 서울관객 수를 기준으로 분석을 하였다.
      첫째, 괴물 특성에 따른 영화의 분류가 영화 흥행과 연과성이 있다. 둘째, 1998년 이후 개봉한 한국의 공포영화는 '원귀'를 괴물로 하는 여고괴담형 공포영화의 흥행성공 확률이 높다. 셋째, 영화의 흥행은 개봉시기의 영향을 받으며, 5월~9월까지의 여름에 개봉하는 것이 유리하다.
      결과적으로 한국에서는 영화 유형이 영화흥행과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데, 원귀가 등장하는 여름 개봉작이 흥행에 성공할 확률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아직 분석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으나 기존에 떠돌던 '충무로 속설'을 학문적으로 검증하였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2007년 개봉을 기다리는 한국 공포영화는 케이블TV 방영과 극장 개봉을 동시에 노리는 영화들을 포함해 어림잡아 7~8편이나 된다. 소재나 마케팅, 개봉시기는 각각 조금씩 다르지만, 이렇게 점차 그 산업적 영역을 넓혀가고 있는 한국 공포영화들이 질적으로 상업적으로 성공할 수 있도록 보다 많은, 체계적인 후속 연구들이 요구되는 때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최근 한국영화의 눈부신 성장과 일본 공포영화의 잇따른 헐리웃 진출을 바라보면서 1998년 이후 꾸준히 제작·개봉했던 한국의 공포영화의 산업적 가치나 가능성을 검증하고 독려...

      본 연구는 최근 한국영화의 눈부신 성장과 일본 공포영화의 잇따른 헐리웃 진출을 바라보면서 1998년 이후 꾸준히 제작·개봉했던 한국의 공포영화의 산업적 가치나 가능성을 검증하고 독려코자 하는 바램을 가지고, 한국 공포영화의 유형이나 개봉시기가 영화의 흥행 즉, 상업적 성공과 연관성이 있는지 분석하고 검증함으로써 공포 영화의 상품적 가치나 특성을 연구하는데 의미를 찾고자 한 것이다.
      한국 공포영화는 1998년 〈여고괴담〉 이후 부활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여고괴담〉이 공포영화 부활의 Turning Point로 지목되는 이유는, 〈여고괴담〉라는 영화의 작품적 가치나 명맥이 끊어졌던 공포영화의 재등장이라는 점 때문이 아니라 〈여고괴담〉의 흥행성공이 한국 공포영화의 상업적 가능성을 일깨워 줌으로써 이후 다른 공포영화들이 제작되고 관객과 조우할 기회를 만들었다는 것이다. 이렇듯 상업 영화는, 예술적 가치 뿐만이 아니라 상품으로써의 가치 또한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1998년 이후의 공포영화는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둘째, 이런 공포영화의 분류는 영화의 흥행에 어떤 연관성이 있는가? 흥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그런 측면에서 본 연구는 향후 한국에서 공포영화를 기획하고 마케팅하는 전 과정에 있어서 합리적인 지침이 될 수 있고자 1998년 이후 개봉한 공포영화 들의 개념과 대상을 한정하고 그 특징을 살펴본 후 그 유형을 '여고괴담 형', '살인의추억 형', '장화홍련 형'으로 나누었으며, 다음과 같이 세가지 가설을 세우고 서울관객 수를 기준으로 분석을 하였다.
      첫째, 괴물 특성에 따른 영화의 분류가 영화 흥행과 연과성이 있다. 둘째, 1998년 이후 개봉한 한국의 공포영화는 '원귀'를 괴물로 하는 여고괴담형 공포영화의 흥행성공 확률이 높다. 셋째, 영화의 흥행은 개봉시기의 영향을 받으며, 5월~9월까지의 여름에 개봉하는 것이 유리하다.
      결과적으로 한국에서는 영화 유형이 영화흥행과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데, 원귀가 등장하는 여름 개봉작이 흥행에 성공할 확률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아직 분석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으나 기존에 떠돌던 '충무로 속설'을 학문적으로 검증하였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2007년 개봉을 기다리는 한국 공포영화는 케이블TV 방영과 극장 개봉을 동시에 노리는 영화들을 포함해 어림잡아 7~8편이나 된다. 소재나 마케팅, 개봉시기는 각각 조금씩 다르지만, 이렇게 점차 그 산업적 영역을 넓혀가고 있는 한국 공포영화들이 질적으로 상업적으로 성공할 수 있도록 보다 많은, 체계적인 후속 연구들이 요구되는 때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search started as seeing that lately, Korean movies have been dramatically popularized and keeping an eye on that Japanese horror movie have continuously succeeded in Hollywood. This study aimed at providing the valuation and picture of the future of Korean horror movies through industrial approaches. it analysis and verifies if there is a link between the run of the horror movie and its type or when to release.
      In this situation, Korean horror movies also had been actively produced since 1998, releasing 〈Whispering Corridors〉. The reason why it is pointed out with "Turning Point" of Korean horror movie resurrection is not only because of the comeback since long disappearance of horror movie but because of commercial success. It realized the hope for success and the possibility for earning money.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the matter for discussion as following. Firstly, how are Korean horror movies produced since 1998 classified? Secondly, this grouping has serious implication for the run? What make the run of Korean horror movie better?
      From like that side, this study would like to be a reasonable guide from the pre-production to the marketing for Korean horror movie in the future. Therefore the study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f analytical object, through the designation and limitation before, groups into 3 parts, "Goast in the real world","Homicide in the real world", and "Mystery based on the surreal world" and investigates following the constructions based on Seoul spectator measurement.
      Firstly, there is a link between the grouping and the run. Secondly, Korean audience prefer the horror movie of "Goast in the real world". Lastly the run of the horror movie receives a effect of the seas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se three constructions are demonstrated! There is a limit to verification much more positively due to not enough data. However it has meaning to prove the Chungmuro common talk and to approach academically. Additionally I hope that this study stresses that a more systematic research is necessary.
      번역하기

      The research started as seeing that lately, Korean movies have been dramatically popularized and keeping an eye on that Japanese horror movie have continuously succeeded in Hollywood. This study aimed at providing the valuation and picture of the futu...

      The research started as seeing that lately, Korean movies have been dramatically popularized and keeping an eye on that Japanese horror movie have continuously succeeded in Hollywood. This study aimed at providing the valuation and picture of the future of Korean horror movies through industrial approaches. it analysis and verifies if there is a link between the run of the horror movie and its type or when to release.
      In this situation, Korean horror movies also had been actively produced since 1998, releasing 〈Whispering Corridors〉. The reason why it is pointed out with "Turning Point" of Korean horror movie resurrection is not only because of the comeback since long disappearance of horror movie but because of commercial success. It realized the hope for success and the possibility for earning money.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the matter for discussion as following. Firstly, how are Korean horror movies produced since 1998 classified? Secondly, this grouping has serious implication for the run? What make the run of Korean horror movie better?
      From like that side, this study would like to be a reasonable guide from the pre-production to the marketing for Korean horror movie in the future. Therefore the study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f analytical object, through the designation and limitation before, groups into 3 parts, "Goast in the real world","Homicide in the real world", and "Mystery based on the surreal world" and investigates following the constructions based on Seoul spectator measurement.
      Firstly, there is a link between the grouping and the run. Secondly, Korean audience prefer the horror movie of "Goast in the real world". Lastly the run of the horror movie receives a effect of the seas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se three constructions are demonstrated! There is a limit to verification much more positively due to not enough data. However it has meaning to prove the Chungmuro common talk and to approach academically. Additionally I hope that this study stresses that a more systematic research is necessa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 목차 = 3
      • 제1장 서론 = 5
      • 제1절 문제제기 = 5
      • 제2절 연구의 의의 = 10
      • (국문초록) = 1
      • 목차 = 3
      • 제1장 서론 = 5
      • 제1절 문제제기 = 5
      • 제2절 연구의 의의 = 10
      • 제2장 공포영화의 정의 = 15
      • 제1절 한국 공포 영화의 개념과 범주의 정의 = 17
      • 제2절 공포 영화가 관객에게 주는 즐거움 = 19
      • 제3장 1998년 이후 한국 공포영화의 흐름 = 21
      • 제1절 최근 한국 공포 영화의 내용상의 특징 = 21
      • 1) 토착 민담과 사회 문제 의식의 투영 = 21
      • 2) 개인의 욕망과 죄의식의 반영 = 25
      • 제2절 외국 공포영화로 부터의 영향 = 27
      • 1) 헐리우드의 영향 = 27
      • 2) 일본의 영향 = 30
      • 제3절 1998년 이후 개봉한 한국공포영화의 흥행 = 32
      • 제4장 연구문제 = 35
      • 제5장 대상 및 방법 = 38
      • 제1절 대상 = 38
      • 제2절 방법 = 43
      • 제6장 결과 = 45
      • 제1절 공포 영화의 분류 = 45
      • 1) '여고괴담 형' 공포영화 = 46
      • 2)'살인의 추억 형' 공포영화 = 49
      • 3)'장화홍련 형' 공포영화 = 51
      • 제2절 유형별 흥행 연관성 분석 = 55
      • 1) 관객수 데이터 분석을 통한 유형별 선호도 연구 = 57
      • 2) 유형別 최대 관객동원 영화를 제외한 데이터 분석을 통한 유형別 선호도 조사 = 66
      • 제3절 공포영화 개봉시기와 흥행 연관성 분석 = 76
      • 제 7장 결론 = 81
      • 제 1절 연구 결과의 요약 및 결론 = 81
      • 제 2절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 89
      • 참고문헌 = 91
      • (Abstract) = 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