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장갑차 등의 기동장비에 적용되는 자동소화장치의 화재감지선 손상에 따른 소화장치 오동작 방지에 대하여 다루었다. 자동소화장치는 화재탐지부, 자동제어부, 화재진압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809281
2023
Korean
505
KCI등재
학술저널
181-186(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장갑차 등의 기동장비에 적용되는 자동소화장치의 화재감지선 손상에 따른 소화장치 오동작 방지에 대하여 다루었다. 자동소화장치는 화재탐지부, 자동제어부, 화재진압부...
본 연구에서는 장갑차 등의 기동장비에 적용되는 자동소화장치의 화재감지선 손상에 따른 소화장치 오동작 방지에 대하여 다루었다. 자동소화장치는 화재탐지부, 자동제어부, 화재진압부로 구성되는데, 화재감지선의 경우 화재탐지부의 주요 구성품으로 화재 발생 시 육안으로 식별하기 힘든 엔진실과 같은 곳에 배치되어 화재감지선 내부에 있는 2종의 와이어의 기전력 변화량으로 화재를 감지하여 자동제어부에 화재감지 신호를 전달한다. 야전에서 운용 중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소화기의 분사가 다수 발생하여 소화장치의 오동작에 대한 고장 현상 재현을 실시하였고, 화재감지선 손상이 발생하였을 때 기준값 이상의 기전력이 발생하여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소화기가 분사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화재감지선의 완전 단락과 부분 단락을 모사하여 기전력을 측정하여 일정 기전력 이상 발생하였을 경우, 예외처리하여 소화장치가 작동되지 않게 S/W 개선하였다. 또한 손상이 발생한 화재감지선에 대하여 운용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통합조종상자의 램프에 점멸기능을 추가하였다.
본 연구는 기동장비 자동소화장치의 오작동에 대한 원인분석을 실시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자동소화장치의 신뢰성을 향상하였으며 향후 유사장비의 고장 원인분석에 기여 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dealt with the prevention of malfunction of a fire extinguishing system due to damage to the fire detection wire in mobile equipment such as armored vehicles.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consists of a fire detection unit,...
In this study, we dealt with the prevention of malfunction of a fire extinguishing system due to damage to the fire detection wire in mobile equipment such as armored vehicles.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consists of a fire detection unit, an automatic control unit, and a fire suppression unit. The fire detection line is the main component of the fire detection unit. It detects a fire with the change in electromotive force of a wire and transmits a fire detection signal to the automatic control unit. 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the electromotive force was measured by simulating the complete short circuit and partial short circuit of the fire detection line. When a certain electromotive force or a higher one occurred, the S/W was improved so that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would not operate by handling an exception. In addition, a flashing function was added to the lamp of the integrated control box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know about the damaged fire detection line. This study improved the reliability of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by analyzing the cause of malfunction of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mobile equipment and deriving improvement plan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analysis of the cause of failure of similar equipment in the future.
목차 (Table of Contents)
다중 깊이 카메라 기반 배 과실의 실시간 3차원 복원 및 부피 측정 기술 개발
스위치 타이 탬퍼 작업주행용 카르단 샤프트의 고장 데이터 분석에 의한 교환주기 예측
심층 신경망을 이용한 인간의 특정 행동에 따른 EEG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