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매체 언어 쓰기 교육의 방향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urses for Writing of Media Langu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331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매체 언어 쓰기 교수-학습의 과정을 모색하고, 메시지 생산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매체 언어 쓰기 교수-학습이 어떠한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이 연구의 목적은 매체 언어 쓰기 교수-학습의 과정을 모색하고, 메시지 생산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매체 언어 쓰기 교수-학습이 어떠한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논의하는 데 있다.
      매체 언어 쓰기 교수-학습 과정을 ‘구상-생성-조직-재현’의 4단계로 설정하였다. 매체 언어 쓰기는 일반적인 쓰기와는 달리 영상 체계의 언어의 구조와 특질을 파악해야 하고, 인지적, 사회적 측면뿐만 아니라 기술적 측면까지를 고려하여야 하는 매우 복잡한 과정이다.
      창의적인 언어로 소통할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만들어내는 일은 매체 언어 쓰기 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매체를 통한 재현 방법, 매체 언어 구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메시지 생산, 독자의 참여와 반응, 신념과 가치의 전달, 목적과 의도의 효과적인 전달과 같은 핵심 개념을 설정하여 언어적, 사회적, 기술적으로 매체 언어 쓰기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텍스트의 생산자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습득한 전략을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의미를 구성해 나가며, 주어진 상황과 환경에 따라 표현의 다양화를 도모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매체 언어 쓰기는 인간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의 범위를 확장하고, 인지경험의 공유와 기록, 문화적 전수 측면에서 언어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큰 의미를 지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production process of media and to discuss the courses of writing in media education. The discusses are focused on the core concepts to be considered in manufacturing media message. This study suggests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production process of media and to discuss the courses of writing in media education. The discusses are focused on the core concepts to be considered in manufacturing media message.
      This study suggests the writing process ‘conception-formation-organization-representation’. The manufacturing media is very complicated progress to understand the structures and features of visual language system and to consider even cognitive, social and technical sides of media.
      Making messages to communicate efficiently using a creative language is very important problem and aim in media education. To achieve this aim this study suggests these courses:What are you writing and how to representate? Do you understand the media language structures(format, technology and factors) to need to make message? Have you determined the target audience and is your message engaging the audience? Do you frame values and points of views in the contents clearly? What purposes and intentions do you have?
      The producer has composed the meanings efficiently using obtained strategies through social interaction and expressed variously according to situation and environment. In this context ‘writing media’ extends the area of haman's communication and includes linguistic, social and cultural values in the way of the sharing and recoding for cognitive experience and the inheriting sociocultural background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 2. 매체 언어 쓰기 교수-학습 과정
      • 3. 매체 언어 쓰기 교육의 방향
      • 3.1. 매체 문식성과 쓰기 능력
      • 3.2. 재현 과정으로서 매체 언어 쓰기 교육의 방향
      •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 2. 매체 언어 쓰기 교수-학습 과정
      • 3. 매체 언어 쓰기 교육의 방향
      • 3.1. 매체 문식성과 쓰기 능력
      • 3.2. 재현 과정으로서 매체 언어 쓰기 교육의 방향
      • 4.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벽, "환경으로서의 미디어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언론연구소 정기세미나 자료집. 중앙대학교 언론연구소"

      2 권성호, "초등학교 고학년을 위한 미디어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8 (8): 2002

      3 D. Buckingham, "전자매체 시대의 아이들" 우리교육 2000

      4 정현선, "성찰적 문화 교육으로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국어교육학회 14 : 2002

      5 김대행, "방송의 언어문화와 미디어교육"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6 김영순, "미디어와 문화 교육" 한국문화사 2005

      7 이정춘, "미디어교육론" 집문당 2004

      8 A. Silverblatt, "미디어 리터러시 접근법" 차송출판사 1999

      9 김영순, "미디어 교육과 사귐" 나남출판사 2004

      10 D. Buckingham, "미디어 교육(학습, 리터러시, 그리고 현대문화)" jnBook 2003

      1 김성벽, "환경으로서의 미디어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언론연구소 정기세미나 자료집. 중앙대학교 언론연구소"

      2 권성호, "초등학교 고학년을 위한 미디어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8 (8): 2002

      3 D. Buckingham, "전자매체 시대의 아이들" 우리교육 2000

      4 정현선, "성찰적 문화 교육으로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국어교육학회 14 : 2002

      5 김대행, "방송의 언어문화와 미디어교육"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6 김영순, "미디어와 문화 교육" 한국문화사 2005

      7 이정춘, "미디어교육론" 집문당 2004

      8 A. Silverblatt, "미디어 리터러시 접근법" 차송출판사 1999

      9 김영순, "미디어 교육과 사귐" 나남출판사 2004

      10 D. Buckingham, "미디어 교육(학습, 리터러시, 그리고 현대문화)" jnBook 2003

      11 박인기, "문화적 문식성의 국어교육적 재개념화" 국어교육학회 15 : 2002

      12 최병우, "매체언어와 국어교육:매체 언어의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 2000-6>"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00

      13 김대행, "매체언어교육론 서설"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97) : 1998

      14 김동환, "매체 언어와 국어교육:매체 언어의 소통원리와 교육적 대상화의 방법, <연구보고서 2000-5>"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00

      15 김양은, "리터러시 관점에서의 미디어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문화학회 27 (27): 425-448, 2005

      16 목영해, "디지털 문화와 교육" 문음사 2001

      17 정현선, "디지털 리터러시의 국어교육적 고찰" 한국국어교육학회 21 : 2004

      18 강상현, "대중 매체의 이해와 활용" 한나래 1996

      19 이삼형, "국어교육학" 소명출판사 2000

      20 박인기, "국어교육과 미디어 텍스트" 삼지원 2000

      21 노명완, "국어과 교육론" 갑을 출판사 1994

      22 김대희, "국어 교육에서의 미디어 교육 수용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2007

      23 정현선, "교과 교육과 미디어 교육,학교로 간 미디어" 다?미디어 2005

      24 朴泳穆, "協商을 통한 意味 構成과 協同 作文" 한국어교육학회 107 (107): 6-134, 2002

      25 UNESCO, "Outlooks on Children and Media. Children and Media Violence Yearbook 2001. The UNESCO International Clearinghouse on Children and Violence on the Screen, Nordicom, and G?teborg Univ"

      26 D.Baacke, "Medienpaedagogik, Niemeyer" Tuebingen 1997

      27 A.Silverblatt, "Media Literacy:Keys to Interpreting Media Messages" PRAEGER 2001

      28 J.Potter, "Media Literacy" Sage Publications 2001

      29 Certer for Media Literacy, "Literacy for the 21st Century" CML 2008

      30 New London Group, "A Pedagogy of Multiliteratices:Designing Social Futures’" 66 :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6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초등국어교육
      외국어명 : Jounal of Elementary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 0.9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4 1.458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