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명박 정부의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에 대한 비판적 논의 = A critique of the policy discourse of school-based curriculum autonomy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70011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policy discourse of school-based curriculum autonomy in Korea. It first deals with three questions which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concepts of autonomy over curriculum as a background of this study: 1) What are the meaning and status of autonomy in an educational context? 2) What are policy strategies which promote the competence of school-based curriculum autonomy? 3) Should the result of school-based curriculum autonomy be considered to be desirable if the autonomy of autonomy-making is guaranteed? In the main body of the study, a critical examination was conducted on the policy discourse of school-based curriculum autonomy in Korea. The first critical discourse was on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central government`s policy of school-based curriculum autonomy. The second was on the equity issue over the degree of autonomy among different types of schools. The third wa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central government`s policy of school-based curriculum autonomy. As a conclusion, a suggestion was made that the current paradigm of heteronomous policy of school-based curriculum autonomy should be replaced with one of autonomous policy of school-based curriculum autonomy.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policy discourse of school-based curriculum autonomy in Korea. It first deals with three questions which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concepts of autonomy over curriculum as a background of this study: 1) What a...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policy discourse of school-based curriculum autonomy in Korea. It first deals with three questions which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concepts of autonomy over curriculum as a background of this study: 1) What are the meaning and status of autonomy in an educational context? 2) What are policy strategies which promote the competence of school-based curriculum autonomy? 3) Should the result of school-based curriculum autonomy be considered to be desirable if the autonomy of autonomy-making is guaranteed? In the main body of the study, a critical examination was conducted on the policy discourse of school-based curriculum autonomy in Korea. The first critical discourse was on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central government`s policy of school-based curriculum autonomy. The second was on the equity issue over the degree of autonomy among different types of schools. The third wa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central government`s policy of school-based curriculum autonomy. As a conclusion, a suggestion was made that the current paradigm of heteronomous policy of school-based curriculum autonomy should be replaced with one of autonomous policy of school-based curriculum autonom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범모, "한국의 세 번째 기적: 자율의 사회" 나남 2008

      2 오세희, "학교자율화 정책의 학교현장 영향 조사" 교육과학기술부 2010

      3 박재윤, "학교자율화 정책의 추진실태와 개선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0

      4 교육과학기술부, "학교단위 책임경영을 위한 학교자율화 추진 방안" 2009

      5 정영근,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운영 실태 및 지원 방안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6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2010

      7 교육과학기술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2009

      8 Sandel, M., "정의란 무엇인가" 김영사 2010

      9 강영혜, "자율의 주체와 자율화의 목적에 대한 단상" 2011

      10 김영철, "자율의 개념 및 교육적 함의" 2011

      1 정범모, "한국의 세 번째 기적: 자율의 사회" 나남 2008

      2 오세희, "학교자율화 정책의 학교현장 영향 조사" 교육과학기술부 2010

      3 박재윤, "학교자율화 정책의 추진실태와 개선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0

      4 교육과학기술부, "학교단위 책임경영을 위한 학교자율화 추진 방안" 2009

      5 정영근,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운영 실태 및 지원 방안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6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2010

      7 교육과학기술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2009

      8 Sandel, M., "정의란 무엇인가" 김영사 2010

      9 강영혜, "자율의 주체와 자율화의 목적에 대한 단상" 2011

      10 김영철, "자율의 개념 및 교육적 함의" 2011

      11 홍원표, "우상과 실상 :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의 모순된 결과와 해결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9 (29): 23-43, 2011

      12 두산동아, "두산백과사전" 2010

      13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 "교육학 대사전" 1981

      14 정영근,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 수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고찰" 한국교육과정학회 29 (29): 93-119, 2011

      15 정원식, "교육개혁의 기본방향" 교육개혁심의회 1986

      16 Ravitch, D., "The death and life of the great American school system: How testing and choice are undermining education" Basic books 2010

      17 Gim, C.,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Can it change Korean education" 89-98, 2010

      18 Kennedy, K.,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as a policy option for the 1990s: An Australian perspective" 7 (7): 180-195, 1992

      19 김재춘, "2009 개정 교육과정(총론)의 가능성과 한계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57-83, 2010

      20 한혜정, "2009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학교자율과정’ 편성 현황 분석 및 시사점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9 (29): 69-90,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81 2.81 2.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65 2.69 3.561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