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성인 심장수술 환자의 섬망 발생 위험요인 = Risk Factors for Postoperative Delirium in Adult Patients Undergoing Cardiac Surge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6783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성인 심장수술 환자의 수술 후 섬망 발생 정도를 확인하고, 일반적, 질병 및 치료 관련 특성, 간호 관련 특성을 포함하여 섬망 발생의 위험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D시 소재 Y대학 병원의 심장 수술을 받은 성인 환자 19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전자의무기록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WIN 25.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Chi-square test,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심장 수술을 받은 성인 대상자 195명 중 섬망 발생은 67명 이었고, 섬망 발생 장소는 중환자실에서 53.7%, 일반병동에서 46.3%였다. 섬망 발생 위험 요인은 수술 후 염증반응(OR=10.18, p=.002), 수술 후 지속성 신대체요법(CRRT)(OR=9.05, p=.006), 수술 후 수면장애(OR=8.98, p<.001), 연령(OR=6.23, p=.006), 중환자실 재실기간(OR=3.83, p=.031), 뇌졸중의 과거력(OR=3.71, p=.033), 수술 후 도관 보유 개수(OR=1.53, p=.065), 질병의 중증도(APACHE Ⅱ score)(OR=1.12, p=.006), 수술 시간(OR=1.01, p=.042)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심장수술 후 섬망 발생은 중환자실뿐만 아니라, 일반병동 이동 후에도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심장수술 후 중환자실 관련 요인이 일반 병동에서의 섬망 발생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고려하여, 중환자실 관련 요인을 일반병동 이동 후에도 지속적으로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성인 심장수술 환자의 수술 후 섬망 발생 정도를 확인하고, 일반적, 질병 및 치료 관련 특성, 간호 관련 특성을 포함하여 섬망 발생의 위험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후향적 조사연구...

      본 연구는 성인 심장수술 환자의 수술 후 섬망 발생 정도를 확인하고, 일반적, 질병 및 치료 관련 특성, 간호 관련 특성을 포함하여 섬망 발생의 위험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D시 소재 Y대학 병원의 심장 수술을 받은 성인 환자 19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전자의무기록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WIN 25.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Chi-square test,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심장 수술을 받은 성인 대상자 195명 중 섬망 발생은 67명 이었고, 섬망 발생 장소는 중환자실에서 53.7%, 일반병동에서 46.3%였다. 섬망 발생 위험 요인은 수술 후 염증반응(OR=10.18, p=.002), 수술 후 지속성 신대체요법(CRRT)(OR=9.05, p=.006), 수술 후 수면장애(OR=8.98, p<.001), 연령(OR=6.23, p=.006), 중환자실 재실기간(OR=3.83, p=.031), 뇌졸중의 과거력(OR=3.71, p=.033), 수술 후 도관 보유 개수(OR=1.53, p=.065), 질병의 중증도(APACHE Ⅱ score)(OR=1.12, p=.006), 수술 시간(OR=1.01, p=.042)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심장수술 후 섬망 발생은 중환자실뿐만 아니라, 일반병동 이동 후에도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심장수술 후 중환자실 관련 요인이 일반 병동에서의 섬망 발생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고려하여, 중환자실 관련 요인을 일반병동 이동 후에도 지속적으로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cidence of postoperative delirium in adult patients with cardiac surgery and its risk factors including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disease and treatment-related and nursing-related characteristics.
      Method: The study was performed on adult patients who underwent cardiac surgery in Y University Hospital in D city and a total of 195 patients met the inclusion criteria.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ethods by SPSS/WIN 25.0.
      The results of this study determined that 67 of 195 adult cardiac surgery patients occurred postoperative delirium and it occurred 53.7% in the intensive care unit and 46.3% in the general ward. Risk factors of postoperative delirium were postoperative symptoms of inflammatory (OR=10.18, p=.002), CRRT application after surgery(OR=9.05, p=.006), postoperative sleep disorder(OR=8.98, p<.001), age(OR=6.23, p=.006), length of stay in the intensive care unit(OR=3.83, p=.031), past history of stroke(OR=3.71, p=.033), the number of postoperative catheter retention(OR=1.53, p=.065), APACHE Ⅱ score(OR=1.12, p=.006), and time of operation(OR=1.01, p=.042).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after cardiac surgery, patients were occurred with postoperative delirium during their intensive care unit stay and after their transfer to a general ward. considering that intensive care unit-related factors after cardiac surgery affect the incidence of delirium in the general ward, there is a need for continuous monitoring of intensive care unit-related factors after patient transfer to a general war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cidence of postoperative delirium in adult patients with cardiac surgery and its risk factors including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disease and treatment-related and nursing-related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cidence of postoperative delirium in adult patients with cardiac surgery and its risk factors including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disease and treatment-related and nursing-related characteristics.
      Method: The study was performed on adult patients who underwent cardiac surgery in Y University Hospital in D city and a total of 195 patients met the inclusion criteria.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ethods by SPSS/WIN 25.0.
      The results of this study determined that 67 of 195 adult cardiac surgery patients occurred postoperative delirium and it occurred 53.7% in the intensive care unit and 46.3% in the general ward. Risk factors of postoperative delirium were postoperative symptoms of inflammatory (OR=10.18, p=.002), CRRT application after surgery(OR=9.05, p=.006), postoperative sleep disorder(OR=8.98, p<.001), age(OR=6.23, p=.006), length of stay in the intensive care unit(OR=3.83, p=.031), past history of stroke(OR=3.71, p=.033), the number of postoperative catheter retention(OR=1.53, p=.065), APACHE Ⅱ score(OR=1.12, p=.006), and time of operation(OR=1.01, p=.042).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after cardiac surgery, patients were occurred with postoperative delirium during their intensive care unit stay and after their transfer to a general ward. considering that intensive care unit-related factors after cardiac surgery affect the incidence of delirium in the general ward, there is a need for continuous monitoring of intensive care unit-related factors after patient transfer to a general war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목적 4
      • 3. 용어정의 4
      • Ⅱ. 문헌고찰 6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목적 4
      • 3. 용어정의 4
      • Ⅱ. 문헌고찰 6
      • 1. 성인 심장수술 환자의 섬망 6
      • 2. 성인 심장수술 환자의 섬망 발생 위험요인 10
      • Ⅲ. 연구방법 16
      • 1. 연구설계 16
      • 2. 연구대상 17
      • 3. 연구도구 18
      • 4. 자료수집 23
      • 5. 자료분석 24
      • 6. 윤리적 고려 24
      • Ⅳ. 연구결과 25
      • 1. 대상자의 일반적, 질병 및 치료 관련 특성 25
      • 2. 대상자의 간호 관련 특성 28
      • 3. 대상자의 수술 후 섬망 발생 정도와 양상 30
      • 4. 대상자의 수술 후 섬망 발생에 따른 일반적 특성 32
      • 5. 대상자의 수술 후 섬망 발생에 따른 질병 및 치료 관련 특성 34
      • 6. 대상자의 수술 후 섬망 발생에 따른 간호 관련 특성 37
      • 7. 대상자의 수술 후 섬망 발생 위험요인 39
      • Ⅴ. 논의 41
      • 1. 대상자의 수술 후 섬망 발생 41
      • 2. 대상자의 수술 후 섬망 발생 위험요인 43
      • Ⅵ. 결론 및 제언 49
      • 참고문헌 51
      • 부록 61
      • 영문초록 77
      • 국문초록 7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