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 영어 학습자의 문법 학습을 위한 협력적 출력 과제 효용성 탐색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different types of collaborative output tasks for college students’English grammar lear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419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two types of collaborative output tasks (reconstruction cloze task & text-editing task) on grammar learning among Korean college English learners. A total of 56 learners taking required English courses in a technical ...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two types of collaborative output tasks (reconstruction cloze task & text-editing task) on grammar learning among Korean college English learners. A total of 56 learners taking required English courses in a technical college participated in this study, divided into three groups: one control and two experimental groups. The activity procedures for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the same as dictogloss, except for the main part, that is, how to complete the story the learners were told. Instead of having to reconstruct a whole text with their own sentences, the students carrying out a reconstruction cloze task worked with their partners with a cloze version of the original text. The group for a text-editing task collaboratively corrected a text to improve its accuracy and expression of content, discussing what they had listened to and taken notes on. The control group read the original text individual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wo types of collaborative output tasks successfully encouraged the participants to focus on the target structure. Also, the two groups’grammar test scores significantly enhanced with the text-editing group showing higher increas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control group as for the post-test scores. Furthermore, the participants reported highly positive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the two types of the collaborative task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희, "한국폴리텍대학 취업경쟁력을 위한 전공영어 기초연구" 한국폴리텍대학 2013

      2 박정주, "중학교 영어 문법 수업에서 Dictogloss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6 (16): 147-171, 2009

      3 심한숙, "절대 영문법 100" 디딤돌 2014

      4 이기열, "영어문법 단권화 영어영역" 디딤돌 2013

      5 선명진, "영어 듣기능력 향상을 위한 딕토글로스(dictogloss)" 한국중원언어학회 (20) : 111-128, 2011

      6 최지연, "딕토글로스(dictogloss)를 통한 초등 6학년 학습자의 의문문 습득 양상"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17 (17): 107-126, 2011

      7 김지정, "딕토글로스(Dictogloss) 활동을 통한 초등 6학년 학습자의 과거 시제 습득 양상" 한국언어연구학회 23 (23): 47-65, 2018

      8 이효신, "딕토글로스 활용 대학생 영어뉴스청취 학습의 듣기능력 신장 효과 분석"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8 (18): 225-251, 2011

      9 최윤정, "딕토글로스 활동이 초등학생의 부정문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11 (11): 157-176, 2012

      10 이명관, "딕토글로스 활동이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 미치는 영향"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58 (58): 237-263, 2014

      1 김경희, "한국폴리텍대학 취업경쟁력을 위한 전공영어 기초연구" 한국폴리텍대학 2013

      2 박정주, "중학교 영어 문법 수업에서 Dictogloss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6 (16): 147-171, 2009

      3 심한숙, "절대 영문법 100" 디딤돌 2014

      4 이기열, "영어문법 단권화 영어영역" 디딤돌 2013

      5 선명진, "영어 듣기능력 향상을 위한 딕토글로스(dictogloss)" 한국중원언어학회 (20) : 111-128, 2011

      6 최지연, "딕토글로스(dictogloss)를 통한 초등 6학년 학습자의 의문문 습득 양상"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17 (17): 107-126, 2011

      7 김지정, "딕토글로스(Dictogloss) 활동을 통한 초등 6학년 학습자의 과거 시제 습득 양상" 한국언어연구학회 23 (23): 47-65, 2018

      8 이효신, "딕토글로스 활용 대학생 영어뉴스청취 학습의 듣기능력 신장 효과 분석"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8 (18): 225-251, 2011

      9 최윤정, "딕토글로스 활동이 초등학생의 부정문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11 (11): 157-176, 2012

      10 이명관, "딕토글로스 활동이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 미치는 영향"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58 (58): 237-263, 2014

      11 김연희, "딕토글로스 학습법을 통한 공과대학생의 영어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한국공학교육학회 12 (12): 24-30, 2009

      12 박옥희, "딕토글로스 지도 방법이 학습자들의 듣기 및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453-479, 2013

      13 주미란, "딕토글로스 듣기학습이 토익 듣기 파트별 성취도와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하위집단 중심으로" 21세기영어영문학회 27 (27): 273-291, 2014

      14 김창호, "대학교 교양영어 학습에서 딕토글로스(Dictogloss)의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영어영문학회 38 (38): 191-218, 2012

      15 강은영,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서 딕토글로스를 활용한 말하기 중심과 쓰기 중심 듣기 후 활동이 학습자의 듣기 능력과 그들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대한영어영문학회 43 (43): 187-210, 2017

      16 Kowal, M., "Using collaborative language production tasks to promote students’language awareness" 3 (3): 73-93, 1994

      17 Swain, M., "The output hypothesis : Just speaking and writing aren’t enough" 50 : 156-164, 1993

      18 García Mayo, M. P., "The effectiveness of two form-focused tasks in advanced EFL pedagogy" 12 : 156-175, 2002

      19 Storch, N., "The editing talk of adult ESL learners" 6 : 221-232, 1997

      20 김도연, "The Effects of Implicit and Explicit Grammar Instruction on Learner Output" 한국영어학회 6 (6): 521-548, 2006

      21 Nassaji, H., "Teaching grammar in second language classrooms: Integrating form-focused instruction in communicative context" Routeledge 2011

      22 Swain, M., "Researching pedagogic tasks: Second language learning, teaching, and testing" Pearson Education 2001

      23 Storch, N., "Investigating the merits of pair work on a text editing task in ESL classes" 11 (11): 143-159, 2007

      24 de la Colina, A. A., "Investigating tasks in formal language learning" Multilingual Matters 91-116, 2007

      25 García Mayo, M. P., "Interaction in advanced EFL pedagogy : A comparison of form-focused activities" 37 : 323-341, 2002

      26 Storch, N., "Comparing second language learners' attention to form across tasks" 7 (7): 176-191, 1998

      27 Nassaji, H., "Collaborative and individual output tasks and their effects on learning English phrasal verbs" 14 (14): 397-419, 2010

      28 Quirk, R., "A comprehensive grammar of the English language" Pearson Longman 1985

      29 Storch, N., "A classroom-based study: Insights from a collaborative text reconstruction task"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3 1.014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