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집단화 전략의 관점에서 사회적 기업과 협동조합을 중심으로 구성되는 원주시 사회적경제의 협력관계를 설명한 사례연구이다. 공동체생태학의 개념을 설명한 Astley & Fombrun (1983)...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272781
2014
Korean
사회적 경제 ; 협력적 전략 ; 원주 ; 지속가능한 개발 ; Social Economy ; Collective Strategy ; Wonju ; Sustainable Development
KCI등재
학술저널
1-26(2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집단화 전략의 관점에서 사회적 기업과 협동조합을 중심으로 구성되는 원주시 사회적경제의 협력관계를 설명한 사례연구이다. 공동체생태학의 개념을 설명한 Astley & Fombrun (1983)...
이 논문은 집단화 전략의 관점에서 사회적 기업과 협동조합을 중심으로 구성되는 원주시 사회적경제의 협력관계를 설명한 사례연구이다. 공동체생태학의 개념을 설명한 Astley & Fombrun (1983)은 집단화 전략을 “조직의 집단 속에서의 공동의 자원동원 및 공동의 행동방식”(Astley and Fombrun, 1983, 578) 이라고 설명한다. 이들은 집단화 전략이 조직이 속한 공동체의 발전단계별로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면서 발전에 기여한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원주시 사회적 경제의 다양한 협력적 전략은 다양한 사회적 혁신을 가능하게 했으며 조직의 수익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이는데 기여하였다. 따라서 저자들은 사회적 경제의 발전과정에서 지역사회 안팎의 문제를 극복하고 다음 발전 단계로 나아가는데 각기 다른 집단화전략이 사용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은 다음의 순서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째, 집단화 전략과 도시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개념화를 시도했으며, 둘째, 원주시 사회적경제의 발전을 개관하였다. 셋째, 원주시 사회적경제 발전의 단계별로 주요 행위자들이 다양한 자원과 역량을 공유했던 집단화 전략의 변화를 사례연구 했고, 마지막으로 이해관계자들이 공통의 비전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협력적 전략이 사용되었는지 검토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reports on a case study of the collaborative actions that have been implemented by the Wonju social economy involving social enterprises, cooperatives, nonprofit organizations, and local government through a collective strategy framework. A...
This paper reports on a case study of the collaborative actions that have been implemented by the Wonju social economy involving social enterprises, cooperatives, nonprofit organizations, and local government through a collective strategy framework. Astley and Fombrun (1983) posit that collective strategy refers to “the joint mobilization of resources and formulations of actions within collectivities of organizations” (Astley and Fombrun, 1983, 578). Wonju’s collective strategies involving various community organizations have brought about significant social innovation and, in turn, promoted organizational profitability and community sustainability. Adopting Astley and Fombrun’s (1983) perspective, the authors attempt to demonstrate that different collective strategies are employed to address emerging community problems and advance into the next stages of the developmental process. This paper considers the topic in four sections: a conceptualization of collective strategy and sustainability in an urban area; an overview of Wonju’s social economy; a case study of how different resources and competencies from various key players were combined and shared in Wonju’s social economy; and, finally, conclusions that highlight how collective strategies can be used to develop a common and unified vision among stakeholders.
지속가능한 생태계 조성을 위한 국내 협동조합의 주요 특징과 핵심 과제 연구
사회적 자본시장과 성장자본: 보조금 연계형 사회영향투자